KCI등재
개념으로서의 건강: 비판적 고찰 = Health as a Concept: A Critical Review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9-100(4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ubjective and objectiv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health’, and link the health concept with the dimension of existential meaning. Anyone can form a subjective health concept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s and interpretative frameworks. Health as a concept, however, is explained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s health a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is definition clearly emphasized the complexity of health concepts, but overlooked the nature of health as a dynamic process. WHO‘s definition of health was made possible through a perspective that considers humans in the totality of mind and body. The roots of health paradigm based on the human totality extends far back to Mesopotamia, ancient Greece and early Christianity.
WHO’s health definition lacks analytical nicety, and this limitation is overcome by scholars’ thoughts which delineated the specific attributes of health according to normativism and naturalism. According to their considerations, the concept of health which is not free from social expectations is summarized as functional normality. The health concept, moreover, can be explained through attributes such as value, pain (discomfort), statistical normality, physical inability, adaptability and homeostasis. This health theory, however, focuses on the ‘factuality’ about health, and there is a lack of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health here. A typical example of an effort to understand health as the basis of existential planning can be seen in the insights of the French philosopher Georges Canguilhem. With the efforts of philosophers such as Canguilhem, it became clear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uality of health must be integrated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health.
본 연구는 건강개념의 주관적-객관적 속성들을 살펴보고, 건강 개념을 실존적의미의 차원과 연관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강에 대한 의미규정은 학자들만의몫이 아니며, 삶을 살아가는 누구나 개인의 체험과 각자가 지닌 해석의 틀에 따라 주관적으로 건강 개념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개념’으로서의 건강은 보편적인 전망 안에서 설명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따르면 건강은 한 사람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정의는 건강 개념이 지닌 복합성을 분명히 부각시켰으나, 역동적 과정으로서의건강의 성격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다. WHO의 건강 규정은 인간을 정신과육체의 총체성 안에서 파악하는 시각을 통해 가능한 것이었으며, 이처럼 인간의전인성(全人性)을 전제로 하는 인간-건강관의 뿌리는 저 멀리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이스, 초기의 그리스도교로 까지 소급된다.
WHO의 건강 규정은 분석적 세련됨을 결여하고 있고, 이런 한계는 규범주의와자연주의에 따라 건강의 세부적 속성을 규정한 학자들의 성찰을 통해 극복된다. 이들의 성찰에 따르면, 사회적 기대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건강 개념은 ‘기능적 정상성’으로 요약되며, 가치, 통증, (통계적) 정상성, 육체적 불능성, 적응성, 항상성등의 속성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건강론은 건강에 관한 ‘사실의설명’에 치중하는 관점이며, 여기서 건강의 의미에 관한 성찰은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건강을 실존기획의 토대로서 이해하려는 노력의 한 전형을 프랑스의의철학자 깡귀엠의 통찰에서 엿볼 수 있다. 깡귀엠과 같은 의철학자들의 노력으로, 건강에 관한 사실성의 파악은(수치의 파악) 건강의 의미에 대한 이해 속으로통합되어야 한다는 점이 더욱 분명해졌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9-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5 | 0.538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