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초심상담자들의 상담전공 입문 전 자기 치유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Autobiographical narrative study on self-healing experiences of inexperienced counselors prior to their majoring in counsel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Korean Journal of Counseling: Case Studies and Practi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6(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is aimed 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ow inexperienced counselors who recently began their training acquired self-healing experiences, which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growth of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wound and healing experiences of the 3 novice counselors before entering the counseling course and examined how such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 midst of their activities as counselors. Narrative stud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 wound, the process of healing experience, the factors of wound healing, the meaning of wound healing, and effects on the life as a counselor in narrative format, and it was integrated and redescribed For this purpose, 3 novice counselors,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wrote autobiographies looking back their experiences by referring to their records including diaries, review of group counselling experience, notebooks, and verbatim records of personal counseling. Moreover, they assess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in-depth interviews of each oth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such as; ‘wound: frustration of mind to be loved’, ‘healing: confrontation with disregarded self’, ‘becoming a counselor: healing the wound’ as the starting point’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wound signified the experience of frustration of their desire to be loved by the primary care-giver during their early childhood. The research participants chose to adopt the survival strategy of aligning themselves to the expectations of the primary care-giver by disregarding their emo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frustration. When these survival strategies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healing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in the format of sudden appearance from unexpected pla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finally recognized their wounds through healing experiences,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enable the continuous self-healing experiences as they began to equip themselves to look after the wounded inner child. In addition, such experiences of healing were the strongest motivation for majoring in counseling and strength for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wounds of their clients.
더보기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성장과정에 꼭 필요한 자기 치유 경험이 이제 막 수련을 시작한 초심 상담자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이 상담학 입문 전 경험했던 상처와 상처치유 경험을 조명하고 이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활동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상처의 의미, 치유 경험의 과정, 상처 치유의 요인, 상처 치유의 의미, 상담자로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내러티브로 기술하고, 그것을 통합하여 재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인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은 일기, 집단상담 경험 소감문, 수첩, 개인상담 축어록 등의 기록물을 참고하여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자전적 글쓰기를 하였으며, 서로가 서로를 심도 있게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파악했다. 그리고 연구결과 ‘상처 : 사랑받고 싶은 마음의 좌절’, ‘치유 : 내가 외면했던 나와의 만남’, ‘상담자가 되다 : 출발선이 된 상처치유’라는 세 개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상처란 어린 시절 주 양육자로부터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 좌절되었던 경험을 의미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 좌절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외면하면서 주 양육자가 기대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맞추는 생존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생존전략들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때 치유 경험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방식으로 경험되어졌다. 상처 치유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비로소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자기 내면에 있는 상처 받은 어린아이를 보살피려는 의지를 갖게 되면서 지속적인 자기 치유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치유 경험은 상담학에 입문하게 된 가장 강력한 동기이자 내담자의 상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힘으로 작용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