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에 전래된 구영의 작품과 구영 화풍의 의의 = Qiu Ying’s (ca. 1494-ca. 1552)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Perception and Significance of His Style in Korea
저자
서윤정 (명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71(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Qiu Ying had an enormous influence on the Korean artworld since both his genuine paintings and copies and forgeries of his originals, were transferred to the Joseon dynasty via multiple route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questions to provide Joseon literati’s and artis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Qiu Ying’s painting and his style and reconsider the Chinese master’s legacy and influence on late Joseon art. How were forged paintings closely copied after bona fide works of Qiu Ying? Which kinds of paintings, copies, and forgeries bearing Qiu Ying’s signature and seals were available to Joseon audiences? How wa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Qiu Ying’s works exported to Korea in comparison with his paintings circulate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art market? Where were Joseon Koreans’ reception and appreciation of Qiu Ying’s artistic achievements based? What is Qiu Ying’s impact on the spread of new iconography and the innovative style in late Joseon art? Through delving into the extant documents and his accomplished work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ainter’s critical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thematic scopes, which form his legacy as an artist with unmatched versatility and technical virtuosity in beautiful-woman paintings and blue-and-green landscapes. Noting that copies and forgeries of Qiu Ying’s genuine paintings that flooded the markets as well as woodblock illustrations modeled after his work served as a significant source for Joseon Koreans to understand the artist’s style, this research attempts to relocate Qiu Ying’s place in a transcultural context and redefine the Chinese art collections in the Joseon dynasty from multivalent perspectives.
The study offers not only vital clues to various routes from which Chinese paintings were transferred to Korea, but also explores cross-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 through issues in connoisseurship and art market. It also closely examines the creation of copies and forgeries, the flourishing of commercial art in the Suzhou area, and the wide circulation of Suzhou fakes and Huizhou woodblock prints in East Asia. In addition, this is pertinent to the changes of style and iconography in various visual media, the eclectic adaptation of new motifs and styles, the Joseon elite’s increased interest in the garden culture of Suzhou during the Ming dynasty.
구영의 작품은 다양한 경로와 매체를 통해 조선에 전해져 조선의 화단과 문화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실제로 조선에 유입된 구영의 관서가 있는 작품은 얼마나 충실하게 구영의 화풍을 반영하고 있는 것일까? 조선시대 사람들이 생각한 구영의 이미지와 화풍은 어떤 층위의 작품을 토대로 형성되었으며, 그들의 이해가 실상과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당시 문화계와 화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필자는 문헌기록을 상세히 검토하여 조선시대 문인들이 감상했던 구영의 작품과 그들이 그려낸 ‘구영상(仇英像)’을 재구성하고 조선에 유입된 구영 회화의 다양한 면모를 제시하였다. 조선에 전해진 구영의 작품은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중국에서 유통되던 구영의 작품과 차이를 보이며 실상과는 다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즉 중국에서 보는 ‘회화사’나 ‘구영의 화풍’은 조선에서 이해한 ‘회화사’와 ‘구영의 화풍’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는 비단 구영의 작품뿐 아니라 조선에 전해진 중국 회화의 질과 양에 관한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으며, 국내에서의 중국 회화 수집에 관한 경향과 그 지식의 형성 과정과도 연관되어 있다. 구영 그림의 동전(東傳)과 그의 화풍에 대한 연구는 중국화의 조선 유입과 그 경로, 중국 서화 수장과 감상이라는 문제뿐 아니라, 작품의 진위 여부, 모사와 복제, 소주 지방에서 이루어진 상업 회화의 제작과 유통, 소주편과 휘주 판화의 동아시아적 확산이라는 동아시아 문화교류 현상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조선에 전래된 구영 그림과 그의 화풍에 대한 검토는 회화, 소설 삽화, 판화 등 매체에 따른 양식의 변화와 작품을 통한 화풍과 도상의 전래 문제, 새로운 화제의 전래와 도상의 선택적 변용 과정, 명대 소주의 정원과 문인 문화에 대한 조선시대 문인들의 관심을 규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5 | 0.9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