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찰기관 정보공개 처분의 실태와 시사점 -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분석을 중심으로 - = Current Status and Dispositions of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by Police Agenci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ruling of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
저자
신관우 (한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7(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arantee the citizen's right to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by illumin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illegal or unreasonable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police agencies that perform the duties of maintaining public peace and order.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disclosure procedur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administrative judgment, which is a means of dissatisfaction with police dispositions, and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illegal or unjust information disclosure dispositions by police agencies through the analysis of 22 rulings of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after reviewing the implications.
When a citizen who is guaranteed the right to know requests information disclosure to the police agency, the police agency and the person in charge of information disclosure must comply with the information disclosure procedures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decide whether or not to disclose information. If a person requesting information disclosure is dissatisfied with the disposi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the police agency, he/she may request a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to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which received the request for administrative adjudication, reviews and decides on the illegality or injustice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disposition of the police agency.
In 2021,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ruled citing or partially citing 22 cases regarding illegal or unreasonable police agency information disclosure disposition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misunderstanding in the application of legal principles of information disclosure laws as some police agencies are refusing to disclose information by ‘without revealing specific reasons for non-disclosure’ or ‘misjudging information subject to disclosure or disclosure’. In addition, some information disclosure managers of police agencies did not comply with the procedures set forth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d violated them. In addition, some insufficient matters were confirmed in the management of re-disposa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ruling adjudication of the police agency.
Based on the matters reviewed above, the proposals for the disposi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police agenc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cases of illegal and unfair rulings by police agencies every year, to produce a casebook of administrative judgment rulings on police information disclosure, and to prepare a system for regular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disciplinary responsibility exists for those who have violated the duty of good faith or the duty to comply with the law, which was revealed through the ruling by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citing the disposition of illegal or unreasonable information disclosure by the police ag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 that can fulfill the duty of redistribution stipulated by law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uling specified in the disposition of illegal or unreasonable information disclosure by the police agenc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