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05인사건」 피의자의 사건 이후 행적과 활동 : 국외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한 19인을 중심으로 = The conduct and activity of the figures concerned to ‘the Korean conspiracy case’ after the fact : With 19 figures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in foreign countries as the central ones
저자
윤경로 (한성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3(6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에서는 「105인사건」 관련자 중 중 1913년 3월 경성복심법원(2심)에서 무죄로 풀려난 인물 가운데 국외로 망명한 19인의 事後 행적과 활동을 추적했다. 이들 105인사건에 관련된 인물들은 이후 행적과 활동을 통해 크게 독립운동에 가담한 인물과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로 구분할 수 있다. 출옥할 때 이들의 나이가 20~40대의 젊은 나이였기에 이후 이들의 행적이 매우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상의 사후 추적을 통해 이들의 행적과 활동을 요약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이들이 출옥 후 해외 망명길에 나설 수 있었던 요인의 하나로 경제적 이유를 들 수 있다. 본 사건 피의자 가운데 국내에 남아 훗날 친일로 경도되었던 인물들에 비해 재산 정도가 매우 열악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事後 국외로 나간 19인의 망명지는 크게 3지역으로 구분된다. 국경을 접하고 있던 중국 동북부 안동현 지역으로 망명한 인물들은 대부분 대한청년단연합회와 한족회 활동 그리고 상해 임정 산하의 연통제와 관련된 행적과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간도·노령지역으로 망명한 인물들은 서간도 柳河縣 三源堡와 龍井村 일대의 민족학교에서 교육사업에 종사하는 한편 만주일대 여러 독립군 단체에 가입하여 당시 산재되어 있던 독립단체를 통합하기 위해 결성된 全滿統一議會籌備會 등에 적극 참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상해지역으로의 망명자는 대부분 상해 임정에 관계하며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임되어 국내와의 연락사무를 맡고 있다. 또한 상해지역 한인거류민단의 실무와 재정지원 활동을 주로 했다. 그러나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창조파와 개조파로 나뉘어 내홍을 겪는 과정에서 일부는 안창호의 흥사단계로 다른 한편은 만주 혹은 미주로 떠났다. 미주로 건너간 인물들은 주로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의 한인들로 구성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군자금 모금운동과 비행사양성소 연습생을 양성하는 일 등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 19인의 국외활동은 망명지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여러 형태로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대체로 안창호의 운동노선을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 traced 19 figures’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who took refuges abroad among the figures acquitted of the charge at the court of appeal in Kyeongseong (their second trial) regarding the event of 105 people in March, 1913. The figures concerned to the event of 105 people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large, when they are classified by their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the group composed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group composed of people who leaned toward a pro-Japanese disposition. As they were released from prison at the young age of 20~40, I could not but be anxious to know their conduct after the fact. I could summarize and arrange data about their conduct and activity after the fact as follows;
Firstly, one of the factors that they could exile themselves abroad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was economic one. Comparing their financial conditions with those of people who stayed in Korea and leaned toward the pro-Japanese disposition later, their financial conditions were very poor. Secondly, 19 figures defected to 3 places in large. Most figures who defected to the area in Andung-hyeon (安東縣), northeast China, where Korea and China shared a common border, chief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Daehancheongnyeondanyeonhaphoi (the Federation of Korean Young Men’s groups: a bod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njokhoi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a body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Yeontongje (secret regional administrative structures established in Korea and Manchuria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hich operated unde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The figures who defected to Gando and the areas which belonged to Russia were engaged in educational work in the schools for Koreans around Samwonpo, Ryooheo-hyeon (柳河縣 三源堡) and Longjincun, and joined various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a preparatory committee for unified parliament in the whole Manchuria formed for unifying the scattered organizations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others.
Most fugures who defected to Shanghai were engaged in the work for the Provisional Goverment and elected as members of the Korean Interim National Assembly, and carried out liaison work with Korea. Also they participated in the affai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Shanghai and the activities for financial support. But as the Meeting of National Representatives was divided into the Creation Group and the Reorganization Group, and underwent internal troubles, some of them followed “Young Korean Academy” led by Ahn, Chang-ho, and others left for Manchuria or the United States. The figures who left for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e fund raising for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activities for training aircraft pilots with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s the central organization, which was chiefly composed of Koreans in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It seems that 19 figures took part in various kinds of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of exile, however, they adhered to Ahn, Chang-ho’s line for Independence movemen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2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1.442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