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Human cDNA Microarray Chip = 인간의 Cdna Microarray Chip 개발
저자
Kim, Jong-Man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Hangyang University) ; Hwag, Seung-Yong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Hangyang University)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4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99(3쪽)
제공처
소장기관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을 통하여 새로운 유전자 발현 분석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것은 고밀도로 집적된 microscopic array를 말하는 것으로서 유리판 위에 인간의 cDNA를 고밀도로 부착시켜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53개의 인간 cDNA가 포함된 high density microarray chip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유리판 위에 spot된 cDNA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질세포 유전자은행으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유전자는 5‘ 말단부위가 amine으로 변형을 시킨 primer(T3, T7)를 이용하여 PCR을 통하여 얻었다. 유전자는 DNA microarrayer(Cartesian Tech)를 사용하여 유리판 위에 spotting 하였다. 3.24cm^(2)의 공간 위에 부착된 유전자는 두 가지 색깔의 형광색으로 만들어진 sample과 hybridization 시킬 것이며 두 가지 조건에서 나타나는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Advance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new gene expression assay. This 'chip-based' approach utilizes microscopic arrays of cDNAs printed on a glass as high-density hybridization targets. We have made high-density microarray chip containing 1953 human cDNAs. The human cDNA clones that spotted on a glass were acquired from a medical college of Kyungpook Univ. The inserts were amplified by PCR using primers(T3, T7) containing an amino modification on the 5' ends. The PCR products were array products were arrayed using a high-density DNA microarrayer(Cartesian Tech). These 3.24 cm^(2) chips can be used to quantitatively monitor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 cognate human genes using a highly sensitive two-color hybridization assay. The hybridization of fluorescently labeled samples to the array were detected and quantitated with a laser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Parallel gene analysis with microarrays provides a rapid and efficient method for large scale human gene discovery. Mass produced microarrays provide a new tool for genome expression analysis that may revolutionize genetic dissection, drug discovery and human disease diagnostic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