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의 법학 학문후속세대 양성체계와 시사점-최종학위 취득 이후 과정을 중심으로- = How the U.S. Law Society Prepares the Next Generation of Legal Scholar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저자
이유경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2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scholarly mission of the legal education has been under attack by academic critics in the U.S for years. To break through this longstanding controversy in an effective way, the law schools have developed various programs to prepare the next generation of legal scholars. Two examples of the most successful programs are fellowship programs and law centers. Fellowship programs offers mentoring system by law school professors, and entails duties to publish a legal article and to give lectures to law school students. Law centers have enriched the diversity and interdisciplinarity of legal scholarship by conducting research on a broad variety of legal issues in a society in collabo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This article studies the examples of fellowship programs and law centers in the U.S. and considers its implications for Korea in terms of two key points: fostering the future legal scholars and characterized legal education in law schools.
미국 법학계는 실무중심의 로스쿨 체제 내에서 학문후속세대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왔다. 그 중 현재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박사 후)연구과정제도와 연구센터제도가 있다.
미국 로스쿨의 연구과정제도는 교수법 및 연구방법론의 심화 및 개발을 위하여 학문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신진 학자들을 대상으로 개설되었으며, 교수법을 개발할 수 있는 체계적인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로스쿨 교수진들과의 소통과 지도를 통하여 연구자 자신만의 연구방법을 찾아가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미국 로스쿨의 연구센터의 경우에는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연속성 있게 연구할 수 있는 학제적 연구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전임연구원 제도 등을 통하여 로스쿨의 학문적 자산을 쌓아나가고 있다.
이 논문은 미국 로스쿨에서의 연구과정제도 및 연구센터제도의 구체적 사례들을 검토하고, 이들 중 한국법학교육의 상황과 취지에 부응할 수 있는 지점들을 찾아보았다.
연구과정제도는 신진 학자들이 전통적인 법학방법론·실무와의 연계성·학제적 연구방법 창출이라는 중첩된 과제들을 풀어나갈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교수법 및 교육철학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도입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연구센터의 경우, 로스쿨제도 도입 시부터 강조된 각 학교의 특성화교육을 위한 자원을 마련하고 학생들의 학술연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 논의의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7 | 0.735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