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창덕궁 대보단의 공간구성과 단제 특성에 관한 고찰 = Studies on the Spacial Compo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 System at Daebodan in the Changdeok Palac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18-345(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고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정치사에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는 창덕궁 대보단의 시대별 공간구성을 조명하고 단제(壇制) 형성에 이입된 요소를 고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 보단에는 병자호란 이후 지배질서의 위기를 느낀 조선의 지배층이 타개책으로 내세운 존명의리의 이념적 장치가 녹아들어 있으며, 조선중화의식의 자부심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맞물려 있는 등 복합적 요인이 한데 얽혀 조적(組積)되어 있었다. 표면적으로 대보단은 사직단의 구성요소와 부속건물의 배치를 그대로 가져오되 지형의 제약과 후원의 출입 제한으로 인해 변통한 배치를 보이고 있었으나, 입 면적 구조에서 9급의 계단, 5척의 단고(壇高), 단유(壇棒)에 나타난 2성(成)의 정황 그리고 황장방 내부의 형태 등 황명제의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수용되었다. 또한『예기·교특생』에서 따왔다는 단명(壇名) 은 다분히 교천(郊天)을 상징하고 있었으며, 중국과 조선의 사직단의 제도를 적절히 조합하여 참례(僭禮) 의 혐의를 피하여 건립되었다. 이러한 점은 대보단의 단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으로서 중화계승 의식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제단의 구조와 형식을 통해 표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보단의 창건, 확장, 쇠퇴, 훼철의 과정을 편년적 방법으로 살펴보았는데, 각 변천의 기점에서 당대의 정치·문화적 배경에 따른 조선 통치엘리트 집단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제단의 공간형식 에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상자료에 나타난 대보단에 조응되는 위치를 찾아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덕궁 천연기념물 다래나무 주변에서 대보단의 석재, 전돌과 와편 등의 유구가 발견되어 향후 발굴조사를 통한 확인이 요구된다.
더보기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factor on the periodical space organization of Daebodan (大報壇 : the altar of great recompense) in Changdeok Palace, whi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political hist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consider the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al system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drawings. Daebodan has the ideology of righteousness to the Ming Dynasty which the hierarchy of the Joseon Dynasty. who felt the crisis of the domination order, imposed as a solution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In addition, Daebodan was built by complex factors that entailed the self-esteem of the ‘Joseon Centralism Ideology (朝鮮中華)’ and the desire of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that were imminent to the kings of Joseon. Superficially, Daebodan has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ajik (社稷) Altar and the placement of an annex building, but had the applied placement due to limited topography and access to the backyard. Furthermore, the lateral structure of Daebodan multiply accepted various factors of the nine step’s stairs, the hight of five cheok (尺), the circumstance of two floors that were showed in the altar and platform with small fences and an imperial order including the internal form of Hwangjangbang (黃帳房). Moreover, the name of the alter came from ‘the Jiaote Sheng Book of Rites(괋記郊特牲)’ representing ‘the suburban sacrifice ritual for Heaven (郊天)’, and it was built by not only combining the system of the Sajik Altar in the Joseon Dynasty and China but also avoiding ‘excessive etiquette (僭禮).’ The point is a remarkable feature shown by the structural system of Daebodan.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中華繼承意識)’ and the desire of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were expressed by the structure and form of altar.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creation, expansion, decline and disposal of Daebodan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found that the ruling ideology of the governing elite by the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era at each transitional point was reflected in the spatial formation of the altar.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field survey to find the location in accordance with Daebodan in drawing materials, there remains items such as worked stones from Daebodan, precast pavers and fragments of proof tile discovered in the surrounding of tora vine (Actinidia arguta) which is a natural monument of Changdeok Palace. As such, verification through futur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is requir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