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DDC
370 판사항(20)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viii, 73p. : 도표 ; 26cm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지도교수: 한지수
참고문헌: p. 58-68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364573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First,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creativity,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ird,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creativity,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Fourth, what are the relativ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Data were collected from 231 teachers working at chil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eoul, Incheon, and Jeju Island. The measures used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the RIBS developed by Park(2019), the Korean version of SPSI-R translated by Choi(2002), and the measure of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developed by Shin and colleagues(200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Desc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s of childcare teachers’ creativity,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were all above average. Comparing the means of composite scores, ideas were higher than fluency, and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voidance style, impulsive-carelessness style, rational problem-solving an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For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expectations for play results were higher than beliefs about their play guidance abilities.
Second,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over 35 years of age and those with over 12 years of experience were found to be highly creative. Child rearing experience, pla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and creativit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Levels of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la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and creativit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eachers between 35~40 years of age, those with academic backgrounds higher than graduate school, those with more than 1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ose who attended more than three teacher training sessions were found to have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differed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la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and creativit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Teachers between 35~40 years of age, those with academic backgrounds higher than graduate school, those with more than 1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ose who attended 3~6 play-related teacher training sessions, and those who attended more than six creativity-related training sessions were found to have higher teaching efficacy on play.
Thir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of child care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play teaching efficacy,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mutu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after controlling the age, educatio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la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and creativity-relate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childcare teachers'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a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creativity, and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 study showed that the creativity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are important predictors that explain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al sites to help improv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on children’s play, which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when implementing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경기도, 서울시, 인천시, 제주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3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로부터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육교사의 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적 아이디어 행동 검사(Runco Ideational Behavior Scale: RIBS)에 기초하여 번안 및 수정한 박경빈(2019)의 한국어판 창의적 아이디어내기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개정판(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SPSI-R)을 번안한 최이순(2002)의 한국어판 SPSI-R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의 놀이교수효능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먼저 보육교사의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보다 아이디어가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에서는 긍정적 문제지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합리적인 문제해결, 부정적 문제지향, 충동-부주의, 회피적 반응의 순으로 나타났다.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는 놀이결과기대가 놀이효능신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35세 이상의 교사, 12년 경력 이상의 교사가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양육 경험, 놀이 관련 교사연수 경험, 창의성 관련 교사연수 경험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놀이 관련 교사연수 경험, 창의성 관련 교사연수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 35~40세 미만의 교사, 1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 3회 이상의 교사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았으며 자녀 양육 경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놀이교수효능감은 연령, 최종학력, 경력, 놀이 관련 교사연수 경험, 창의성 관련 교사연수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5~40세 미만의 교사,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 12년 경력의 교사, 3~6회 미만의 놀이 관련 교사연수 경험을 가진 교사, 6회 이상의 창의성 관련 교사연수 경험을 가진 교사가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았다. 기관 유형, 자녀 양육 경험, 학급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창의성,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 모두 상호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경력, 놀이 관련 교사연수 경험, 창의성 관련 교사연수 경험 여부를 통제한 후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창의성보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약간 더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보육교사의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놀이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개정된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함에 있어 더욱 강조되는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창의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역할을 강조하고, 이러한 역량을 개발시키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