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문 장편소설 속 역사 기반 선협형 악인 여성의 존재 서사 -<완월회맹연>의 진소아, <임씨삼대록>의 묘월과 능운을 중심으로 = Narrative of the existence of historically-based, Seonhyeop(仙俠) female characters in Korean full-length nove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7-232(36쪽)
제공처
이 글의 목적은 18세기 이후 본격화되는 선협형 여성 인물의 서사적 특징을 살피고, 이러한 인물형의 등장이 지닌 의미를, 국문장편소설의 서사문법과 장르적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 고소설사를 살펴보면, 시대마다 특정 장르를 중심으로 유의미한 인물형이 본격화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10세기 이후 등장하는 애정 전기소설의 ‘전기적(傳奇的) 인간’과 17세기 이후 초기 장편소설의 ‘악녀형(惡女型) 인물’이 대표적이다.
18세기에는 방대한 편폭의 국문 장편소설이 유행하는데, 이때 새롭게 부상하는 인물 유형 가운데 하나가 선협형(仙俠型) 인물이다. 선협형 인물은 다시 선인형과 악인형, 유협형과 도협형, 문협형과 무협형, 내단형과 외단형, 도술수련형과 서책수련형 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작중 인물은 하나의 유형만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의 성격을 결합하여 형상화된다.
그 가운데 역사를 기반으로 구성된 선협형 악인 여성의 존재서사를 도선과 무협의 이미지, 역사의 패자 서사, 반역의 의리 담론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각각은 주변부 속성들을 결합하고, 타자의 기억을 소환하며, 탈관계와 경계적 성원의 목소리를 지향하는 특징이 보인다. 이러한 인물 특성은 국문 장편소설의 중요한 서사문법 중 하나를 이루며, 이후 부각되는 협객서사와 무협소설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장르 확장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특히 오늘날까지도 인기를 끄는 무협소설의 초기적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 역사와 허구의 융합, 역사관의 재해석, 사회의 우회 비판 외에 선협의 능력을 드러내는 방식, 문파 중심의 관계 설정, 정(正)과 사(邪)의 쟁론적 성격이 대표적이다.
선협형 인물의 부각은 이전의 소설에서 보이지 않던 대상, 들리지 않던 목소리를 발견하게 하고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담론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로 표현된 세계는 비가시적 존재를 가시화하여, 우리가 사는 세계에 참여하는 목소리의 비중과 분할 비율을 새롭게 구성한다. 그것은 작가의 의식적 의도와는 무관한 소설의 자기 구성방식으로, 작가가 지향하는 목소리들 사이에서, 소설이 새로운 인물의 목소리를 확대해 들려주는 것은 당시의 상황을 증언하는 동시에 사회 구성원 간에 배분된 목소리의 몫에 변경을 가져오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character of the Seonhyeop(仙俠, hermit martial arts) type, which became popular in the 18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character in terms of the narrative grammar and genre possibilit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If we look at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novels, we can discover the phenomenon of meaningful character types being developed in earnest around specific genres in each era.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fantastic existence’ in biographical romance novels that appeared after the 10th century and ‘evil woman-type characters’ in early full-length novels after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with a large volume were popular, and one of the newly emerging character types at this time was the Seonhyeop type character. This character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good and evil people, Confucian and Taoist people, civilized and martial people, internal and external, Taoist and martial arts practitioners, and so on. However, one character does not embody only one type, but is embodied by combining several types of personality.
Among them, if we divide the narrative of the existence of Seonhyeop female character character based on history into the image of Taoist and martial arts, the narrative of the loser of history, and the discourse of loyalty in rebellion. Ea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bining peripheral properties, recalling memories of others, and aiming for the voice of non-relationship and marginal members. These character characteristics form one of the important narrative grammar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reveal the possibility of genre expansion in that they are connected to the epics of heroism and martial arts novels that appeared in later generations. In particular, we can discover the early aspects of martial arts novels that are still popular to this day.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way of revealing the ability for Seonhyeop,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centered on factions, and the nature of the argument between right and evil.
The highlighting of the character of the Seonhyeop type can be said to be a discourse event in that it discovers and embodies an object that had not been seen and a voice that had not been heard in previous novels. The world expressed in language makes invisible beings visible and reorganizes the proportion and division ratio of voices participating in the world we live in. It is a self-organizing method of the novel that is unrelated to the author’s conscious intention. Among the voices aimed at by the author, the novel’s expansion of the voices of new characters testifies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the voices distributed among members of society. It can be said to be an event that brings about a change in the share of.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