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술시장의 확장: 1980~90년대 미술장의 변모와 가나화랑 = The Expansion of Art Market: The Change of Artistic Field in 1980s and 1990s and Gana Gallery
저자
서유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근현대미술사학(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0-314(35쪽)
제공처
미술장(artistic field)은 작가가 전시와 매매를 통해 상징자본과 경제자본을 획득하여 위치를 확보해 나가는 상징계적 공간이며 제도적 네트워크이다. 화랑은 근대적 미술시장의 구성주체이자 미술장의 행위자로서, 전시와 매매를 통해 작가의 상징자본을 생성시키고 경제자본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주요 화랑으로 기업적으로 성장한 화랑 가운데 하나인 가나화랑은, 창립한 1980년대에 한국 경제가 자유주의적으로 유연화되기 시작하자, 미술시장의 제도 변화에 빠르게 부응하여 작품의 수요와 공급을 매개하며 양자를 양적으로 증대시켜왔다. 1983년 건축조례 개정에 따라 건축물 장식을 위한 조각시장이 형성되자, 《신라야외조각전》을 신설하여 대규모의 조각 작품 중개 매매를 시도하였고, 해외 서양 미술의 수입 개방에 따라 서양의 근현대 유명작가의 전시와 판매를 꾀했으며, FIAC에서 한국 작가의 작품 판매를 시도했다. 한편 화랑업 고유의 ‘시간의 경제학’을 따라, 신형상회화와 민중미술 작가들을 구입하고 1987년 이후 전시, 매매했으며 시립미술관에 기증함으로써 화랑의 명예를 축적했다. 1990년대에는 미술작품의 대중적 상품화와 케이블 티브이의 방송 판매를 시도하였고, 1998년에 옥션을 설립하여 구매 경쟁이 가격과 작품성의 신화를 상승시키는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이러한 가나화랑의 활동은 한국 미술이 시장 속에 존재의 거처를 만들어나간 역사적 과정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것은 또한 한국에서 화랑업이 정착하고 미술이 상품으로 순환되는 경제 체제가 구축되며, 미술장의 주요 부분을 국가가 아닌 미술시장이 대체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더보기The artistic field is a symbolic space and institutional network in which artists acquire symbolic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through exhibition and sale in order to establish their positions. As a constituent of the modern art market and an agent of the artistic field, a gallery plays a role in generating symbolic capital and transforming it into economic capital through exhibitions and sales. Gana Gallery, one of Korea’s major galleries that has grown into a corporation, responded quickly to the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art market, mediating the supply and demand of artworks and increasing both quantitatively when the Korean economy began to open up liberally and flexibly in the 1980s. In 1983, when the revision of the Building Decoration Code created a large market of sculpture for architectural decoration, the gallery organized large-scale exhibitions at the Shilla hotel’s Open Air Sculpture Park to mediate the sale of sculptures. In response to the opening up of Western art imports from abroad, the gallery sought to exhibit and sell famous Western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and sold Korean artists’ works at the FIAC. Meanwhile, following the ‘economics of time’ inherent in the gallery business, the gallery purchased artworks of New Figurative Painting including Minjung Art and exhibited and sold them after 1987. Eventually, the gallery gained its own prestige by donating them to the Seoul Museum of Art. In the 1990s, it attempted the mass commercialisation of artworks and the broadcast sale of artworks on cable television. In 1998, Gana Gallery established Seoul Auction, a kind of system in which competition for purchase drives up price and exaggerates the myth of art. The activities of the Gana Gallery illustrate the historical course of how Korean art has found its home in the marketplace. It also reveals how the gallery business was established in Korea, and how an economic system was built in which art was circulated as a commodity. It is also a history of how the art market, instead of the state, has replaced a major part of the artistic fiel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