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비주류의 주류: 국전 동양화부 여성 작가 수상작을 중심으로 = The Majority of the Minority: Award-Winning Works by Women Artists in the Oriental Painting Division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저자
이민수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근현대미술사학(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2-128(27쪽)
제공처
이 글은 1949년 제1회를 시작으로 1981년 제30회로 막을 내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에서 여성 동양화가들의 활동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역대 국전 동양화부 수상작의 남녀 비율을 통계로 비교하고, 이와 관련해 신문 기사 및 미술계 평가를 분석했다. 또한 주요 여성 수상자들의 작품 양상을 국전 동양화부의 흐름 안에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당시 사회가 용인하는 여성 작가의 활동 범위, 남성 작가 중심의 제도, 여성 작가를 가십으로 소비하는 매체의 태도 등을 생생하게 포착할 수 있었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신여성과 현모양처 담론의 여파가 해방 후에도 지속된 상황과 연관된다. 이 가운데 점차 증가하는 여성 동양화가들의 작업에는 재래의 동양화에서 현대 미술로 변모하고자 하는 동양화단의 분투와 더불어 여전히 사회적인 편견과 제약에서 자유롭지 않은 ‘규수작가’, ‘주부작가’로서의 한계가 공존하게 되었다. 요컨대 국전에서 활약한 여성 동양화가들은 해방 후 한국미술계에서 동양화라는 비주류 분야의 주류로서, 또한 비주류인 여성 작가들의 주류로서 각광을 받았으나, 사실상 가부장적 사회가 만든 틀이 작동한 것이었다.
더보기This paper explores the involvement of female oriental-style painters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NAE), which began in 1949 and concluded with its 30th exhibition in 1981. It compares the statistical proportions of male and female winners in the Oriental Painting Division, analyzing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art reviews.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works of major female winners within the trends of the NAE’s Oriental Painting Division. This process reveals noteworthy phenomena such as the limited artistic scope society allowed to women painters, the male-centered system, and the media’s misogynistic attitudes toward women artists. These issues relate to the expansion of the discourses of the New Woman and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which emerged during Japanese rule and persisted after Korea’s liberation. While the number of female oriental-style painters grew, their works displayed two contrasting tendencies: the first was an attempt to move beyond traditional painting, recalibrating it as contemporary art, the second reflected the social constraints and biases faced by gyusu painters (lady painters), which restricted them within particular limitations. Thus, while female oriental-style painters in the NAE formed the majority within oriental painting-minority in the larger art world-they also constituted the majority among women painters, even as women painters remained a minority in the overall art field. These ironic dynamics were shaped by a patriarchal socie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