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신도시 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커뮤니티 형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세종시 첫마을 주민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Is a park a daily leisure space for citizens or a social space at the community level?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citizens and are an important plac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ut they are not greatly utilized in fact. As a key resource in a regional area, however, the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lead to community building and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can promote the improvement of spac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utiliz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explores the growing social rol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community building that occurs through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newtown settle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creating, managing and operating a community-based park and green spaces. First Village, a residential complex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 Sejong, was selected as a subject city. And this study analyzed community building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First, from the spatial perspective, I discussed urban planning factors leading to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are changing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 dealt with the trend of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has sustained community building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 activities. Lastly, I touched on how the development of a newtown and the manag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by the public administration have affec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limitation thereof,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

      In this study, I have observed resident activitie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for about 2 year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I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various subjects in a local society, such as residential communities, interested organizations, and park users. For analysis, I drew analysis factors from advance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I analyzed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categorized into the conditions for community building, resident activities, and conflicts. Furthermore, I examined the mechanism for building a community based o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drew its implications in terms of space, resident activities,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residents have built a community in a daily leisure space through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nd have changed it into a social space for enhancing such capability. Especially, the participatory activities of residents made a difference in the subject space to enhance regional identities and helped residents settle into a newtown where the stabilization of a community is important. This was possible because, from the aspect of space, natural green areas with great resources and high usability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urban planning. Natural green areas traversing a neighborhood had good accessibility and high usability, as connected to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Green spaces have provided abundant resources and flexible spaces, which facilitat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an unfinished state has driven the demands of resident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continuing community building through the improvement process. From the aspect of resident activities, as native-born residents resettled in a newtow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local resources were high. And young migrants increased their interest in urban spaces and resources with a will to improve poor surroundings at the initial stage. A residential community voluntarily organized based on thes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was the intermediary group facilitating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Resettled native residents have re-identified local resources and built a residential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migrants, while young migrants were able to continue community activities by bonding together and using unused spaces at an early stage of the settlement process. In this process, civil publicness played a critical role in encouraging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creating a social network within the region. From the operational aspect,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and social network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newtown where the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did not exist. In particular, residents established neighborhood governance to continuously improve and use parks and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region, enhancing the capability of communitie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came a means of community building in the newtown, while having been managed and improved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As residents have continuously improved the landscape and maintained a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systematization, facilitie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requests from residents, leading to enhanced convenience. In addition, physical improvement was linked to programs for using parks and green spaces, so as to share the value of participation with general residents.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residential communities significantly activated the use of parks by local residents and helped them recognize parks and green spaces, which is public property, as an important asset for local residents.

      As shown in this study, however, in a new urban planning in Korea, resident participation for community building has not been systematically facilitated, contrary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Japan. As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are an important public space affecting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rive resident participation. It is also requir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operation and managemen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going from planning to operation. In this regard, I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urban planning, a plan for creat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include extending the conservation of natural green spaces as a key resource in the community to make the most of them. Second, in formulating the plan for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linked between urban planning, creation and oper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have a consultative body between different agents in each stage of newtown development and the existing residents excluded from such stages. Now, look at the operation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irst, residents should be granted enough authority to operate and manage spaces. Second,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awareness of administration for flexible and favorable administrative attitudes.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governance at the neighborhood level and form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at the city level, which can connect each neighborhood governance and provide integrated support.

      더보기

      공원은 시민들의 일상적 여가공간인가, 그 이상의 커뮤니티 차원의 사회적 공간인가.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도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이지만 실상 그 활용수준은 높지 않다. 하지만 지역의 중심자원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할 뿐 아니라 주민 참여를 통해 공간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이용의 질이 향상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확장된 사회적 역할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도시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자발적인 주민참여 사례를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지역 커뮤니티 형성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시범단지인 첫마을을 선정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주민참여를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은 공간적 측면, 주민활동적 측면, 운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공간적 측면은 주민참여를 유도한 도시계획적 요소와 주민참여를 통해 변화하는 공원녹지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민활동 측면에서는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 형성(Community building)을 지속시켰던 자발적 주민참여 양상을 논의 하였다. 운영 측면에서는 공공 행정 중심의 도시 계획 및 운영 관리가 주민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 논의 하였다. 이를 통해 신도시 내 커뮤니티 기반의 공원녹지 조성과 운영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참여관찰방법을 기초로 연구자가 2여년 동안 주민 활동에 참여하여 관찰하였다. 주민공동체, 이해관계기관, 공원이용자 등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분석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형성 과정을 형성 조건, 주민활동, 갈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 기반한 커뮤니티의 형성 기제를 공간적, 주민 활동적, 운영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주민들은 참여활동을 통해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사회적 공간으로 변화시켜나갔다. 특히 커뮤니티 안정화가 중요한 신도시에서 주민참여 활동은 대상공간을 차별화해 지역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주민들이 새로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공원녹지와 주민활동 간의 기제를 살펴보면 먼저 공간적 측면에서 도시계획을 통해 자원성과 활용성이 높은 자연녹지를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생활권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연녹지는 접근성이 높고 주변에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과 지역자원이 연계되어 있어 활용도가 높았다. 특히 녹지 중심 공간은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자원과 공간을 풍부하게 제공하였으며, 덜 손질되고 비완결된 상태는 주민들이 참여하는 개선을 유도해 지속적인 커뮤니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주민활동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신도시 내에 원주민의 재정착이 이루어지면서 기존 지역자원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은 계층의 새로운 이주민들은 초기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개선의지를 바탕으로 도시공간과 지역자원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주민 특성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조직된 주민공동체는 신도시 내 커뮤니티 형성을 촉진하였다. 예컨대 원주민들은 참샘이라는 지역자원을 재발굴하면서 이주민들과 연대해 주민공동체를 형성시켜나갔고, 젊은 이주민들은 용도가 없던 생태통로 하부공간과 근린공원 내 방치된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조직들과 연대하며 공동체 활동을 확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민적 공공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는데,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내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운영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주민참여 시스템이 부재한 신도시에서 호의적인 행정태도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주민참여를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동력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민들은 근린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공원녹지를 지역 중심 자원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활용하면서 커뮤니티의 역량을 강화시켰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신도시 커뮤니티 형성의 수단이 되는 동시에 주민참여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가꾸어지면서 향상되었다. 주민들은 조직화를 통해 지역 경관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하였고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시설을 개선하고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 물리적 개선을 이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일반 주민들과 참여 가치를 공유하였다. 그 결과 주민공동체의 활동은 지역주민들의 공원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지역주민들이 공공재인 공원녹지를 중요한 주민자산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하였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는 주민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시민적 공공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공공공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신도시계획은 커뮤니티 형성을 목적으로한 주민참여가 시스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민참여 계획과 운영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계획에서 운영으로 이어지는 주민참여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계획 측면에서 첫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 시 커뮤니티를 중심 자원으로 자연녹지 보존을 확대하여 활용성이 높게 계획해야 한다. 둘째, 공원을 커뮤니티 차원에서 점진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유연하고 중장기적인 새로운 주민참여형 조성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계획에서 주민참여가 신도시 계획부터 조성과 운영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신도시개발 단계별로 다양한 주체들과 기존에 배제된 주민들 간의 협의체가 필요하다.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운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주민들에게 공간에 대한 충분한 운영관리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둘째, 유연하고 호의적인 행정태도를 위한 행정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근린차원의 거버넌스 구축과 도시차원에서 각 근린 거버넌스를 연대시키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이 필요하다.

      더보기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5
      • 제 2 절 연구 범위 7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8
      • 1. 연구의 방법 8
      • 2. 연구의 내용 8
      • 제 4 절 연구흐름도 10
      • 제 2 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2
      • 제 1 절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주민참여 12
      • 1. 자발적 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Community Building) 12
      • 2. 도시계획에서의 주민참여의 위상 변화와 한계 15
      • 3. 자발적 주민 참여를 위한 조건 19
      • 제 2 절 신도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와 커뮤니티 형성 24
      • 1. 신도시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특성 변화 24
      • 2. 커뮤니티 형성 차원에서 해외 신도시 공원녹지의 이해 31
      •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44
      • 1. 공원녹지 물리적 환경과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44
      • 2.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의 주민참여 활동과 요인에 대한 연구 44
      • 3.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서의 주민참여 운영시스템에 대한 연구 46
      • 4. 소결 48
      • 제 3 장 연구대상지 이해 및 분석의 틀 53
      • 제 1 절 연구대상지 선정 53
      • 1. 선정기준 53
      • 2. 선정이유 54
      • 제 2 절 연구 대상지 이해 56
      • 1. 첫마을 생활권 이해 56
      • 2. 연구 대상지별 공간 구조와 주민공동체 특성 61
      • 제 3 절 분석 방법과 분석의 틀 71
      • 1. 분석 방법 71
      • 2 분석의 틀 78
      • 제 4 장 세종시 첫마을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가꾸기 및 커뮤니티 형성 과정 79
      • 제 1 절 주민공동체 형성 조건 79
      • 1. 신도시계획을 기반한 공간적 차원 79
      • 2. 초기 이주민의 특성에 기반한 활동적 차원 81
      • 3. 주민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미친 신도시 건설의 운영적 차원 84
      • 제 2 절 주민참여 활동 확장 88
      • 1.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자발적 활용과 관리 88
      • 2. 조직운영과 근린 거버넌스를 통한 협의 91
      • 3. 주민참여를 통한 공간의 변화 양상 93
      • 제 3 절 지속적 운영을 위한 갈등관리 100
      • 1. 주민 참여 활동 부담 증가와 해결 노력 100
      • 2. 공원녹지 행정지원의 한계와 제도문제 극복노력 102
      • 제 4 절 소결 104
      • 제 5 장 첫마을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에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 기제 및 시사점 106
      • 제 1 절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공간적 측면 106
      • 1. 도시계획을 통한 생활권 내 녹지자원의 보존 및 활용성 강화 106
      • 2. 근린생활권 내 일상적 이용과 장소애착 형성 111
      • 3. 주민 요구를 반영한 점진적인 공간 개선 114
      • 제 2 절 근린생활권 공원녹지의 주도적 주민참여 측면 119
      • 1. 주민들의 지역자원 및 공간의 이해 119
      • 2. 공공성에 기반한 참여 의지와 가치 공유 122
      • 3. 주민 주도의 지속적 공원 이용 프로그램 운영 129
      • 제 3 절 커뮤니티의 지속적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운영 측면 133
      • 1. 커뮤니티 차원의 신도시 개발을 위한 행정태도 필요 133
      • 2. 사회적 네트워크와 근린 거버넌스를 통한 역량 강화 137
      • 제 4절 시사점 142
      • 1. 신도시 계획 측면에서 주민참여의 유도 143
      • 2. 근린생활권 공원녹지 운영 측면에서 주민참여 유도 145
      • 제 6 장 결론 148
      • 제 1 절 요약 및 시사점 148
      • 제 2 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154
      • 참고문헌 152
      더보기
      • 1 김인권, "영국의 신도시", 밀톤킨즈에 관한 연구, 1997
      • 2 이현출, "거버넌스와 NGOs", 정치학회지, 35(3), 2001
      • 3 김연금, "소통으로 장소만들기", 서울: 한국학술정보 (주), 2009
      • 4 김의영, "결사체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한국정치학회보, 39(3), 433-455, 2005
      • 5 이은진, "마을만들기운동의현황과과제", 지역사회학 8(1):5-31, 2006
      • 6 김성균,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마당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9(3), 2001
      • 7 김명숙, "로컬 거버넌스와 주민의 정치참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3), 325-347, 2005
      • 8 구자훈, "주민참여형주거지정비수법개발.KR", 서울연구원, 1996
      • 9 공윤경, 양흥숙, "도시 소공원의 창조적 재생과 일상", 한국지역지리학회 지 제, 17(5), 582-599, 2011
      • 10 신명호, "“도시공동체 운동의 현황과 전망”", 도시연구6(6):51-81, 2000
      • 11 이석현, "공감의 도시를 위한 커뮤니티 디자인", 서울:미세움, 2014
      • 12 서순탁, 신국현, "“사회적기업의 거버넌스 심층 분석”", 도시행정학보, 27(1), 317-343, 2014
      • 13 손장권, 정희태, 이경상, 양춘, "신도시의 형성: 문화와 삶의 질의 연구", 서울:백산서당, 2004
      • 14 박종민, 배정현, "한국에서 단체는 민주주의의 학교인가?", 한국정치학회 보 42(3): 121-141, 2008
      • 15 전경구, "주민참여형 근린개발과 도시근린공동체", 地域社會開發硏究 23(2): 103-128, 1998
      • 16 김현종, "자발적 결사체 참여를 통한 시민성 형성. KR",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17 김연금, 조석만, 이규목, 성종상,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 계 및 조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78-89, 2003
      • 18 강대기, "“패러다임 변화와 공동체의 통합개념 구축”", 농촌사회, 13(2), 7-40, 2003
      • 19 임윤수, 최완호,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법학연 구, 54, 169-187, 2014
      • 20 김명숙, "결사체의 민주주의적 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1(2), 1-24, 2010
      • 21 성순아, 황희연, 이규선, "청주시 사직 2 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 구", 국토계획, 47(4), 145-157, 2012
      • 22 김찬호, "“도시계획의 패러다임 전환과 의사소통이론”", 사회발전연구 -(6): 167-196, 2000
      • 23 권영상, "도시계획의 새로운 이정표,세종시계획수립과정", LHIArchivesp27, 2012
      • 24 최병두, "“살기좋은 도시를 위한 지역 공동체 복원방안”", 국토지리학회지 40(4): 513-528, 2006
      • 25 김희정, "공유공간을 통한 지역공동체 전개과정과 의미. KR",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6
      • 26 서윤, "주민주권의 실현을 위한 주민참여의 실태 분석. KR",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27 박종택, 배순석, "公營宅地開發制度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안양 :", 국토개발연구원, 1995
      • 28 이병철, "미국사회복지정책의 한국적용에 관한 정책적 연구.", 사회과학 논집 5(1): 27-56, 1995
      • 29 강황선., "정부중재형 거버넌스 체제의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와 행정연구, 14(3), 201-227, 2003
      • 30 배웅규, "地區單位의 都市整備를 위한 住民參與 方案 硏究. KR", 서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31 이정화, "“도시계획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32 김인호, 조현길, 조세환, 이명훈, 오정학, 안승홍, "아파트 단지 조경사 업에서 발생하는 민원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1(5), 79, 2013
      • 33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 연구, 11(4), 59-86, 2008
      • 34 김혜정, 이승종, 서재호, "지방정부의 가치지향으로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6(1), 33-57, 2012
      • 35 여혜진, "“공공주도 근린재생사업의 로컬 거버넌스 특징 연구,”", 대한건축 학회논문집(계획계) 30(12): 91-100, 2014
      • 36 신재욱, "신도시 건설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주민참여 제고방안. KR",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37 권효림, "결사체주의 관점에서 본마을공동체 만들기의 민주주의적 의의", 한국사회학, 49(5), 151-180, 2015
      • 38 지남석, 이왕기, "사례 비교를 통한 인천시 재생사업의 주민참여 개선 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9(3): 307-323, 2015
      • 39 박협찬, "서울특별시 마을공동체 기본계획수립 및 종합지원센터 설 치연구", 서울연구원, 2012
      • 40 김용국,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2(3), 76, 2014
      • 41 이석현, 채진해, 조경진, "가로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형 교육 프로그 램의 효과 분석 연구", 국토계획, 47(3), 21-35, 2012
      • 42 김주일, 최성지, "공간 구성 차원에서 살펴 본 우리나라 신도시 공원 녹 지체계의 변화",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4(3), 145-159, 2013
      • 43 문승규, 박소현, "지역 커뮤니티 중심공간으로서 생활밀착형 공동체시설 에 대한 연구",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2013
      • 44 이계원, "都市開發에 있어서의 住民參與模型設定에 관한 硏究. KR, 중 앙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2
      • 45 Tocqueville, Alexis de, "Democracy in America, J.P. Mayer(ed.). 임 효선 박지동 역(1997), 미국의 민주주의", 서울: 한길사, 1969
      • 46 안현찬, "근린공간 거버넌스에 대한 제도주의적 분석.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47 김순희, "주민참여에 따른 공원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6
      • 48 오정학, "택지개발지구 조경공사의 주민관여 분석 : 경기도 광교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4(6): 51-59, 2016
      • 49 김성균, 정태영, "전주시 객사길 보행자 중심 걷고 싶은 거리 설계 : 주 민참여형 가로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3(3): 94-104, 2005
      • 50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6(1): 53-87, 2013
      • 51 김선희, "비판적 실재론 관점에서 본 제도분석틀(IAD)의 정책 다이나믹스 분석 유용성 고찰", 한국정책학회보, 21(2), 61-90, 2012
      • 52 이승훈, "한국사회의 '시민됨' 형성과정 : 자발 결사체 참여 경험을 중 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53 정재만, "조경 시공과정에서의 사용자 관심 및 요구 분석 : 광교 택지개 발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8(2): 143-150, 2015
      • 54 이진욱, "축소도시 유휴공간의 변환 과정에 관한 연구 : 충남 장항읍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55 심경미, 이상민, "공원 녹지의 질적 관리를 위한 제도 도입 방안 - 영국 의 Green Flag Award를 중심으로. KR",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 56 육은정, "지역 내 공원관리 참여주민의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울, 서 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4
      • 57 HIroshi Matsuno, Iwao Mori, "KOZA MACHIZUKURI KAIHATSU NYUMON. 장준호, 김선직. 역 (2010) 커뮤니티를 위한 마을만들기 개론", 서울:형설출판사, 1992
      • 58 윤영안, "신도시개발계획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방안에 관한연구. 서울, 건 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9
      • 59 정민석, "‘정책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KR,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60 이차희, "도시근교 농촌의 일상경관에 대한 거주민의 주관적 인식과 경 관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61 장명기, "광교 호수공원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조성의 주민참여 활 성화 방안 연구. KR,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62 김혜정, 이승종, "지방정부 정책혁신의 영향요인으로서의 지역시민사회 역량.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책학회, 2006
      • 63 Merlin, P., "Les Villes nouvelles: urbanisme r gional et am nagement...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박전자 역(1986), 신도시개발", 서울: 성문당, 1969
      • 64 서재호,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 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행정연구 24(2): 437-459, 2013
      • 65 김왕근, "특집 2: 개혁 세계화 민주시민교육; 시민성의 두 측면-형식으 로 보는 관점과 내용으로 보는 관점", 시민교육연구, 20, 61-72, 1995
      • 66 Iwao Mori, "Hiroshi Matsuno. KOZA MACHIZUKURI KAIHATSU NYUMON. Tokyo:Gyosei 장준호 김선직 역(2010). 커뮤니티를 위한 마 을 만들기", 서울:형설, 1992
      • 67 박열, 최진희, "도시공원의 공공성과 중심시설로서 커뮤니티센터의 역할 에 관한 연구 - 얼바인시 지역사회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6(1): 5-14, 2018
      • 68 박현옥, "신도시 경관디자인 형성을 위한 개발기법 적용방안 연구 : 행 정중심복합도시 토지공급방식 사례를 중심으로. ZZ", 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7
      • 69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Fifth). 신 경식, 서아영, 송민채 역 (2016), 사례연구방법(5판), 서울:한경사 City of Irvin. (2017)", Park master plan, 2014
      • 70 임해경, "지방정부 시민사회 관계에서 주민참여제도의 성격 분석: 연계 된 자율성 관점에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 71 신현주, "도시재생사업 참여주체의 의사결정과 역할, 그리고 주민참여 수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학위 논문, 2018
      • 72 김우주, 이차희, 성종상, "근린 생활권 공원에서의 자발적 공동체 활동 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세종시 ‘참샘을 사랑하는 모임’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46(2): 37-51, 2018
      • 73 신예철, "지역 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 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 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 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KR,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