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시대와 교회의 가치관 교육 = Value Education of the Church in a Changing World
저자
김성수 (고신대학교 총장)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3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9-149(21쪽)
제공처
오늘날의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교회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성경에 기초한 독특한 가치를 가르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가정과 학교, 또래집단, 그리고 사회 전반의 지배적인 가치들이 모두 기독교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와는 상반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인본주의와 세속주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다원주의, 물질주의와 쾌락주의적인 가치관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한 가치관 교육을 어떠한 내용과 방법으로 감당해야 할 것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70년대 이후로 도덕적 가치교육에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지배적이었다. 하나는 시드니 사이몬(Sidney Simon)의 가치정화이론(values clarification)이고, 다른 하나는 콜버거(Law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에 근거한 도덕적 추론접근(moral reasoning approach)이다. 그러나 가치정화이론과 콜버거의 도덕발달이론은 모두 변화하는 시대의 아동을 위한 가치관교육의 올바른 방법이 될 수 없다. 가치는 일반적으로 가르쳐지는 것이라기 보다는 '붙잡는 것'(caught)이기 때문에 교회는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아동들의 가치에 무엇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조심스럽게 살펴야 한다. 교회의 가치관 교육은 가정 및 학교와 협력하는 가운데 모범을 통해서,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가치교육의 내용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요약될 수 있다. 위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아래로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포괄적인 계명을 근거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It certainly is not an easy task to teach the values that are based upon the Bible to the children andthe youth of the church in today's changing society where the dominant values are radically opposed to the values of the faith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nd with what content should the church within a society that is dominated by the values of humanism, secularism, postmodernism, pluralism, materialism, and hedonism educate the covenant children about values.
Since after the 1970's, two kinds of approaches have prevailed in the areas of moral education. One is the values clarification approach of Sidney Simon, and the other is the moral reasoning approach by Lawrence Kohlberg. Kohlberg's moral reasoning approach can serve as appropriate methods of moral education for the covenant children. Since values are not things that are taught but rather caught, the faith community should observe carefully what is affecting the values of the children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The value education of the church should be carried on cooperatively with the family and the school. The church's education of values should be done cooperatively with the family and the school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of the value education of the church should focus on the great commandment to "love your God and love your neighbours yourself."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