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글쓰기 수업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편견 일지> 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Writing Class -Focusing on the program of <Prejudice Diary>-
저자
박지영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5-147(3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영역에서 실시되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의 한 모형으로 <편견일지> 쓰기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편견일지> 쓰기 프로그램 설계의 주요 목적은 자기 서사 글쓰기에서 자기계발식 계몽적 서사에 익숙한 대학생들의 사유 방식을 지양하고 성찰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 성찰 과정에도 비판적 사회문화 인식을 결합해 내야 한다는 것이 주요 논점이다. ‘편견’은 사회정치적 권력 담론의 자장 안에서 구성된 비합리적 인식으로, 이것에 대한 합리적 비판은 자기 삶 속에서 사회철학적 인식을 수행하는 성찰적 글쓰기에 적합한 제재가 될 수 있다. 또한 편견을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사유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진정한 자존감이 구성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처럼 성찰이 이성적 성찰이 매개가 되어야 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본 프로그램은 글감 선정 과정에서부터 어느 정도의 학술적 학습의 과정을 거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성찰’은 완결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 사유의 해체를 수행할 때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후기 구조주의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 ‘사회 과정 중심 글쓰기 이론’을 결합시켰다.
특히 면담 과정에서는 데리다가 주장한 서구중심 인식론의 이항대립을 해체하기 위한 질문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루는 ‘편견’이 사회의 권력 구조 내부에서 구성된 이원적 관념의 일종이라는 점을 인식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성찰이 끊임없이 수행되어야 할 사회철학적 인식태도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글쓰기를 지도할 때 문제가 해결된 계몽적 서사가 아니라, 끊임없이 자기 사유를 해체하는 열려진 결말로 유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편견일지> 프로그램은 주관적 인식의 영역으로만 치우칠 수 있는 성찰적 글쓰기 과정에 사회철학적 인식을 강화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자기 삶 속에서 사유의 자기 주도성을 확보해 내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riting program of <Prejudice Diary>. The main purpose of the program design is to avoid the thinking methods of college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self-developmental enlightenment narratives in self-narrative writing and to restore self-esteem through reflection. The main point of this is that the critical social and cultural awareness should be combined with the self-reflection process. 'Prejudice' is an irrational recognition composed in the magnetic field of social and political power discourse, and can be a suitable material for reflective writing that carries out social philosophical recognition in his life., Above all, it was judged that students' true self-esteem could be formed only when they reflect on themselves with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is 'bias'.
Therefore, this program is designed to go through some academic learning process from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writing sense in that the reflection is a process that should be mediated by 'rational (critical) judgment'., In addition, 'reflection' is not completed, but it is possible when performing the continuous dissolution of self-thinking, so it combines 'social process-centered writing theory' based on post-structuralist epistemology. Thu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writing and interviewing with the instructor after writing, the questioning method for the discovery learning found in McComisky's theory was used.
In particular,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questioning method was used to dismantle the binary opposition of the Western-centered epistemology that Derrida insisted, and the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at the 'bias' dealt with is a kind of dualistic idea formed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society. In addition, to emphasize that reflection is a social-philosophical attitude that should be constantly performed, when teaching writing, it was induced not to solve the problem but to open ending to disintegrate self-thinking constantly. Through this process, the <Prejudice Diary> program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o-philosophical awareness in the reflective writing process that can be biased only to the domain of subjective awareness and to induce students to secure their own self-directedness in their own liv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2 | 1.76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