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구굴무치과에 속하는 동사리와 얼룩동사리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저자
김명선(Moung-Sun Kim) ; 백승한(Seung-Han Baek) ; 김현영(Hyun-Young Kim) ; 김수영(Soo-Young Kim) ; 정계임(Kye-Im Geong) ; 권문정(Moon-Jeong Kweon) ; 하봉석(Bong-Seuk Ha)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SCOPUS,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3-820(8쪽)
제공처
소장기관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 특산의 담수어인 구굴무치과의 동사리와 얼룩동사리의 표피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로 분리하고 NaBH₄에 의한 환원반응, I₂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고 IR, ¹H-NMIR 및 mass spectrum을 측정하여 carotenoid를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사리 표피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4윌산에 3.01㎎%, 9월산에 3.67㎎%로서 산란기에 가까워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carotenoid 조성은 4월산에 β-carotene(25.6%), lutein(18.5%), zeaxanthin(12.0%)이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isocryptoxanthin, diatoxanthin, tunaxanthin, cynthiaxanthin, canthaxanthin 및 α-crypto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였으며, 9월산에는 β-carotene(16.5%), zeaxanthin(13.7%) cynthiaxanthin(13.6%)이 주성분을 이루며, 그 외 lutein, isocryptoxanthin, tunaxanthin, α-cryptoxanthin, diatoxanth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여, 산란기에 가까워질수록 cynthiaxanthin과 α-cryptoxanthin의 조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얼룩동사리 표피의 총 carotenoids 함량은 4월산에 2.00㎎%, 9월산에 2.84㎎%로서 산란기에 가까워질수록 높게 나타났고, carotenoid 조성은 4월산과 9월산 모두에서 β-carotene(24.9%, 27.5%), zeaxanthin(14.4%, 20.9%), lutein(l2.6%, 11.4%)이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cynthiaxanthin, tunaxanthin, diatoxanthin, isocryptoxanthin, α-cryptoxanth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여, 산란기에 가까워질수록 zeaxanthin의 조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동사리와 비교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구굴무치과이면서도 서식 환경 및 표피 색체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아진다. 그리고 동사리와 얼룩동사리는 다른 담수어에서는 드물게 볼 수 있는 cynthiaxanthin과 diatoxanthin의 함량이 높게 함유하며 해산어 특유의 tunaxanthin도 함유하여 매우 특이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comparative biochemical studies of carotenoid pigment for the fresh water fish. Carotenoids in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dark sleeper,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which are all the Korean native fresh water fish,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separated carotenoid were then reduced and isomerized by NaBH₄ and I₂ respectively to investigate UV-Vis spectrophotometeric patterns and characterized by IR, ¹H-NMR and Mass spectrum.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Korean dark sleeper was 3.01㎎% in April, but it was increased to 3.74㎎% in September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consisted of β-carotene(25.6%), lutein(18.5%) and zeaxanthin(12.0%)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isocryptoxanthin, diatoxanthin, tunaxanthin, cynthiaxanthin, canthaxanthin and α-cryptoxanthin as minor carotenoids. Similarly, in September the carotenoid consisted of β-carotene(16.5%), zeaxanthin(13.7%) and cynthiaxanthin(13.6%)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lutein, isocryptoxanthin, tunaxanthin, α-cryptoxanthin, dia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cynthiaxanthin and α-cryptoxanthin were increased. The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in the integument of dark sleeper was 2.00㎎% in April but it was increased to 2.84㎎% in September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arotenoid isolated in April and September consisted of β-carotene(24.9%, 27.5%), zeaxanthin(14.4%, 20.9%) and lutein(l2.6%, 11.4%) as major carotenoids and also contained cynthiaxanthin, tunaxanthin, diatoxanthin, isocryptoxanthin, α-cryptoxanthin and canthaxanthin as minor carotenoids. At the near of spawning period, the content of zeaxanthin wa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carotenoid composition were dependent upon their living conditions and their integument colors. Both Korean dark sleeper and dark sleeper contained high amount of cynthiaxanthin and diatoxanthin which are found as rare carotenoids in the other of fresh water fish. It is interest that they also contained tunaxanthin which is a specific carotenoid in marine fishe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