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과학 교사들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활용 실태와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 The actual conditions of blended learning o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plan to enhance blended learning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2009. 8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한국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ⅸ, 58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순태
소장기관
The off-line learning of school education is popular in secondary high schools. However, the traditional off-line learning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s constrained. E-learning makes up the weak points and the disadvantage of the traditional off-line method of teaching. However, in the e-learning, some disadvantage such as bunder of teachers, and matter of valuation was pointed out. Because of this disadvantage, the blended learning began to receive attention.
We need to know how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y roles in on-lin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learners. However, there is no analysis about recognizing the blend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e try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lended learning o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We present plan to enhance the blend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I developed questionnaire and I executed survey on 227 teachers in 146 schools. After collection, SPSS Win 15.0 program was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 got result by the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est), t-test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teacher community, it was recognized that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use the blended learning, the computer skills are necessary. According to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blended learning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lass participation of their students, and also, in order to use the blended learning it takes long time to produce the material. To enhance the blended learning, it seems that the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need the computer facilities, especially in Jeju Islan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computer skills are not always necessary in using the blended learning. To use the blended learning effectively, we need media or content development to be easily used. We must develop guidance plan for teaching systematically. Also,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regions should be supported.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others is the enthusiasm and willingness of teachers in their class.
학교 교육은 기본적으로 오프라인 교육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육방법으로는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e-러닝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수법의 단점이 보완된다는 이유로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e-러닝에게도 단점(교수자의 부담 가중, 시간적 부담, 인프라 구축, 정보통신 기술 활용 구비,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도 문제, 정보 접근 속도 문제 등)들이 지적 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이란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 매체나 학습 방법 등을 혼합하는 것을 말한다. 블렌디드 러닝은 오프라인 교육에서의 장점과 온라인에서의 장점을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정보통신 기술 및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혼합방식을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또한 블렌디드 러닝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들이 다수였으며, 교사의 입장에서 실제적으로 교사들의 활용 실태파악의 연구는 미비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등 과학교사들의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블렌디드 러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제시를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개발 하였으며, 편의표집 하여 146학교에서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실시된 설문은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검정), t 검정, 일원 분산분석을 통해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
분석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이 많이 활용 되고는 있었으나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이용 실력이 좋아야 한다는 인식이 블렌디드 러닝을 이용하지 않는 교사에게 더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 할 의향이 있는 교사들은 그 이유를 흥미유발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의향이 없는 교사들은 자료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 이라고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블렌디드 러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소득이 낮은 가정의 학생들에게 컴퓨터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지역 간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컴퓨터 실력이 좋아야 한다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매체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 하다고 생각 된다. 그리고 체계적인 블렌디드 러닝 활용을 위한 학습 지도안 개발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의견으로 보아 교사들이 수업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정적 부담 감소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각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지원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성화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의 열의와 의지가 무엇보다 가장 중요할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