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 1960s-70s Joseon Dynasty’s Agricultural History Research and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Early Modern Society Era Theory
저자
염정섭 (한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02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2(42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among the agricultural history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I would like to search through the proposal of the ‘early modern society era theory'. In the 1960s, the Korean historians had published a lot of research result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raising the logic of overcoming colonialism in history,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Korean society, the development of economics. In the 1960s and 1970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Kim Jong-seop's research on land registers, were largely based on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intrinsic developmental theory that was established as a premise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age division of the transition from mediev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herefore new alternatives to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should be made in the division of times.
It will be possible to distinguish the Korean society from the Joseon society by focusing on the social personality, the ruling class, especially the domination system which is seen between the Joseon dynasty society and the Koryô dynasty society, and it can be established as the middle age and the early modern age. Specifically,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uling system of the early modern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mid-19th century. In addi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o the modern society and look for the change factors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ernally and emphasiz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earch to capture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history and trace the direction of redefine of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본 논문에서 한국사연구회 창립(1967년)을 전후한 시기 즉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선 시대 농업사 연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대안을 시대구분론에 입각한 ‘근세사회론’의 제기를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한국사학계는 앞선 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극복논리의 제기, 한국사회의 변화 발전, 경제학계의 후진국개발론, 일본학계의 영향 등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발전을 설명하는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金容燮의 量案 연구에서 비롯한 1960년대와 70년대의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성과는 대체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또는 내재적 발전론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 조선 후기 농업사 연구성과의 결론이자 전제로 자리잡았던 내재적 발전론은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라는 시대구분 인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새로운 대안 제시가 시대구분론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왕조사회와 고려왕조사회 사이에 보여지는 사회성격, 지배층, 특히 지배체제의 차별에 주목하여 대략 고려사회와 조선사회를 구별하여 중세와 근세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근세사회의 지배체제가 대략 15세기 후반에 정립되어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시기적인 부침을 거치면서 지속된 것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근세사회의 지배체제는 양반(사족) 지배층이 신분제와 관료제를 기본 골격으로 삼고, 성리학적 이념을 현실화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향촌사회 지배세력의 노력이 하층민에게 가해지는 역사과정이 전개되면서, 직접생산에 대한 부세수취와 인신 노동력에 대한 신역부과를 재정적 기반으로 삼아 유지되는 체제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근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에 주목하여, 근세 사회의 변화 요인을 내부적으로 찾고 또한 역사상의 변화 발전이라는 점을 포착하기 위한 이론적, 실증적 모색을 강조하고 내재적발전론의 재정립’이라는 방향성을 추적해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6 | 2.615 | 0.5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