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 서간체 문학연구 = A Study of the Epistolary Novel in Russian Literatur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9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83(2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18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형성된 서간체 소설이 러시아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러시아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러시아 서간체 소설에 대한 연구를 한 논문들은 아주 적다. 사실 연구한 것 중에서도 대부분이 뿌쉬킨의 서간체 유산에 대한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 우리는 유럽의 서간체 소설이 러시아로 흘러 들어와서 러시아적 토양에 독특하게 뿌리를 내린 러시아 서간체 소설의 장르적 특정을 살펴보고 있다. 러시아 문학에서 일군의 작가들과 문예 이론가들은 자신의 독특한 이론이나 작품의 세계를 펼치기 위해 자유로운 형식, 은밀한 고백, 자아
의 성찰 그리고 내변에 천착하는 펀지 특유의 형이상학적인 친밀함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장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 장르 자체의 문체,그리고 장르적 언어를 유지하는 비예술적 - 반허구적이고 반기록적 인장르인 ‘편지’와 소설의 통합에 관심을 돌였다. 이러한 서간체 소설은 19세기뿐만 아니라 20세기 초 - 특히 1920년대 -에 소설의 장르와
문체형성의 무게 중심을 ‘인간의 내면’에 머무르게 하였다.‘하찮은 인간’의 이 ‘편지’를 통해 ‘자아’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형상화한 도스토예프스키 의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한 작품들의 한 축과 남성과 여성의 사랑의 관계를 통해 소통을 열망하는 고독한 자아를 형상화한 투르게네프(『서신왕래』(Пepeпиcкa))를 필두로 하는
작품들의 또 다른 한 축이 같이 흘러 들어가는 곳은 바로 ‘편지의 형식을 통해서 대화를 지향’한 19세기-20 세기 러시아 문학의 서간체 소설이라는 큰 강이다. 러시아 서간체 소설의 큰 강의 물줄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거스를 수 없는 것이다. 비록 고립(고독)과 격리(독백)가 편지의 전제조건이기 하지만 ‘내연의 성찰’을 통한 타인과의
소통을 요구하는 19 세기-20 세기의 러시아 문학의 서간체 소설은 초기의 서간체 소설이 유행한 18세기뿐만 아니라 ‘소설의 위기’시기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른 20세기 초를 넘어 오늘을 사는 동시대인들에게도 필요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소설형식인 것이다.
Despite the fact that the epistolary novel have taken an important place in Russian literature from eighteenth-century to twentieth-century, little critic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it in Russia and abroad alike. Moreover, most of criticism on it has been devoted to the legacy of Pushkin's epistolary literature. Thus, in this article I will explore the way how the European epistolary novel took its root in the Russian soil and examine the generic features of the Russian epistolary novel. In order to develop their own literary world and theory, a group of Russian writers and literary theorists concerned themselves with the combination of fiction and 'letter', which is in essence non -artistic (non-fictional) and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free form, secret confession, reflection on the self, the psychological tension and inner conflict. For this reason, the inner (life) world of man occupied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Russian epistolary fiction. Fyodor Dostoevsky used the epistolary format for his first novel, 'Poor Folk'(l846), as a series of letters between two lovers, struggling to seek after 'I (the ego)' and struggling to cope with their impoverished circumstances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Russia. Later, Ivan Turgenev wrote an epistolary novel 'Correspondence'(l852), which has shaped everything from observations about solitary 'the ego'.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KCI등재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