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종테러범죄, 이른바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에 대한 국내외 연구현황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the New Terrorism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 trends of the new terrorism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begins by analyzing pros and cons of studies on the research trends of terrorism studies b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llowed by reviewing studies on the concept of the new terrorism and its caus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ew terrorism, which especially after the events of 9/11 has come into the spotlight and has been deemed to have different structures, aims and methods from typical (or old) terrorism, this article examines studies on the various types of the new terrorism such as cyber terrorism, nuclear terrorism, bioterrorism and public facilities terrorism. Lastly, this article introduces studies on effective countermeasures of each type of the new terrorism and compares the differences of the new terrorism studie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Germany,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더보기
      • 1 고재선, "화학물질 테러에 대한 소방적 대응활동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6 (6): 22-51, 2013
      • 2 김오식, "화학무기 및 지구적 테러 대처 전략" 2008
      • 3 문일, "화학 테러리즘의 동향 및 대응기술" (6) : 221-, 2009
      • 4 조현빈, "현행법상 사이버 테러의 규제 가능성에 대한 검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4 (4): 23-34, 2008
      • 5 황병하, "현대 이슬람원리주의와 알카에다 그리고 동남아시아 이슬람 테러조직의상호연계성" (4) : 305-, 2007
      • 6 김석철, "핵테러리즘에 대한 원자력 시설 대응능력 평가 방법론" (5) : 225-, 2008
      • 7 김태우, "핵태러 방지와 국제 협력 강화" 69-, 2014
      • 8 이만종, "핵물질 불법거래 실태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한국테러학회 4 (4): 131-155, 2011
      • 9 "해킹에 뚫린 항공 시스템… 사이버 테러 위협 현실로" 서울신문
      • 10 송봉규, "해적행위의 실태 및 초국가적 공조방안" 한국테러학회 5 (5): 5-33, 2012
      • 11 이윤철, "해적행위 및 해상테러 규제를 위한 법제적 대응역량 강화방안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4 (24): 31-68, 2012
      • 12 노호래, "해양범죄의 유형분석과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20 (20): 9-46, 2011
      • 13 최석윤, "해상테러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한국해사법학회 18 (18): 27-47, 2006
      • 14 이윤철, "해상테러의 국제법적 규제 및 국내적 대응방안" 한국해사법학회 18 (18): 195-238, 2006
      • 15 이정덕, "해상테러리즘의 실태와 초국가적 공조방안" 한국테러학회 6 (6): 122-156, 2013
      • 16 장운재, "해상테러 위험요소의 구조와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29 (29): 487-493, 2005
      • 17 권한용, "해상테러 및 해적행위 방지를 위한 국제법적 논의" 법학연구소 (48) : 895-926, 2010
      • 18 김재운, "해상보안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3 (23): 43-64, 2014
      • 19 신창훈, "해상 테러리즘의 규제와 방지에 관한 국제법 동향과 우리나라 대응동향" (2) : 109-, 2005
      • 20 조홍제, "한반도 핵 테러리즘 가능성에 대한 대응방안" 한국테러학회 6 (6): 113-145, 2013
      • 21 송대성, "한미관계와 한반도 정세" 32-, 2005
      • 22 오태호, "한국의 핵 테러리즘 발생가능성 및 대응방향" 한국테러학회 3 (3): 97-118, 2010
      • 23 신승균, "한국의 철도테러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유럽 철도테러사례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40-154, 2012
      • 24 권정훈, "한국의 생물테러 대비 및 대응 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83-200, 2011
      • 25 최응렬, "한국을 대상으로 한 뉴테러리즘의 분석 및 정책적 제언" 한국공안행정학회 19 (19): 451-478, 2010
      • 26 고시면, "특별형법으로서 ‘가칭(테러방지법)’ 제정 및 수정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7) : 9-60, 2004
      • 27 윤해성, "테러활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경찰의 대응과 정보수집 활용방안 모색" 한국테러학회 5 (5): 94-124, 2012
      • 28 허진경, "테러형 사이버범죄와 침해사고 대응" 한국테러학회 2 (2): 170-199, 2009
      • 29 정운종, "테러지원국 해제의 실효성과 북핵 문제" (443) : 177-, 2008
      • 30 박보라, "테러조직의 인터넷 이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4 (4): 111-129, 2011
      • 31 윤이, "테러이용가능 화학물질의 국내 규제 방안 연구 : 미국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09-126, 2012
      • 32 김범식, "테러의 효과적 예방과 척결을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6 (16): 353-375, 2014
      • 33 김승대, "테러와의 전쟁과 입헌주의의 위기에 관한 헌법적 연구" 법학연구소 55 (55): 91-121, 2014
      • 34 김명기, "테러와의 전쟁과 국제법상 자위권" 18 : 153-, 2003
      • 35 김종오, "테러예방과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7 (7): 262-281, 2014
      • 36 남완우, "테러에 대한 자위권행사 범위에 대한 연구 -2차 레바논 전쟁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 2 (2): 151-169, 2009
      • 37 김종오, "테러범죄와 기본권보장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46 : 449-468, 2009
      • 38 박미숙, "테러범죄에 대한 형사재판 관할권 소고" (8) : 275-, 2011
      • 39 김영규, "테러범죄 관할권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과 입법론" 대검찰청 (32) : 1-49, 2011
      • 40 제성호, "테러범에 대한 재판관할권 행사의 일고찰" (3) : 25-, 2006
      • 41 이대성, "테러방지법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7 (7): 105-134, 2005
      • 42 조재현, "테러방지법의 제정필요성 및 제정방향" 한국테러학회 2 (2): 112-150, 2009
      • 43 강대출, "테러방지법안의 입법적 검토" 한국테러학회 2 (2): 57-80, 2009
      • 44 이대성, "테러방지법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429-450, 2009
      • 45 양승돈, "테러방지법안에 대한 입법적 제언" 한국테러학회 4 (4): 85-108, 2011
      • 46 국가인권위원회, "테러방지법(안)의 쟁점과 대안" 2001
      • 47 임준태, "테러방지법 입법 방향에 대한 소고 - 영국의 테러관련법과 그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한국테러학회 5 (5): 168-183, 2012
      • 48 신소영, "테러방지법 도입과 기본권제한의 한계" 한국범죄심리학회 10 (10): 195-213, 2014
      • 49 이만종, "테러방지 관련 법제의 필요성 및 발전방향 -테러방지법 제정 중점-" 한국테러학회 35-, 2010
      • 50 양승돈,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정책과 인권의 조화" 한국테러학회 5 (5): 138-156, 2012
      • 51 유형석, "테러리즘에 대한 국제적 규제" 한국법학회 (36) : 307-328, 2009
      • 52 권정훈, "테러리즘과 테러대응 시스템의 재조명" 한국학술정보㈜ 2012
      • 53 김현기, "테러리즘과 북한의 선택" (359) : 62-, 2001
      • 54 이세련, "테러리즘과 ‘훼손 불가능한 인권’" 국제법평론회 (30) : 201-224, 2009
      • 55 Gus Martin, "테러리즘-개념과 쟁점" 명인문화사 2008
      • 56 최창훈, "테러리즘 트렌드" 좋은땅 2014
      • 57 이황우, "테러리즘" 법문사 2010
      • 58 권정훈, "테러대응 관련 법제의 국가별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43-352, 2010
      • 59 이대희, "테러대상시설의 특수경비원 직무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3 (3): 115-146, 2010
      • 60 박대우, "초고층건축물의 테러사례분석 및 예방시스템구축: 1993, 2001년 WTC 테러사례를 중심으로" (16) : 73-, 2010
      • 61 박상진, "초고층 빌딩의 테러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27-150, 2012
      • 62 강경연, "초고층 건축물의 폭발물테러 예방을 위한 건축계획 가이드라인 연구 - 1, 2차 방어선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191-216, 2010
      • 63 허경미, "철도교통 테러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8) : 243-, 2011
      • 64 권정훈, "지하철 테러의 사례분석과 위기관리 체계 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87-104, 2011
      • 65 이승철, "지하철 테러안전 대책에 관한 고찰" 한국테러학회 3 (3): 187-211, 2010
      • 66 임유석, "지능형 지속위협(APT)에 의한 사이버공격에 관한 고찰" 한국테러학회 6 (6): 158-178, 2013
      • 67 음건봉, "중국의 테러활동범죄에 관한 입법 연구" 법학연구소 (49) : 251-296, 2010
      • 68 이황우, "주요 선진국의 대테러정책 조명" (3) : 93-, 2006
      • 69 조성제, "제3세계 국가의 테러방지법제정과 우리나라에 있어서 시사점" 한국콘텐츠학회 9 (9): 274-283, 2009
      • 70 오준근, "재난?테러 등 각종 위기상황에 대비한 시설물의 종합적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35 : 359-379, 2007
      • 71 박석정, "일본의 테러대책에 관한 고찰" 한국테러학회 7 (7): 131-151, 2014
      • 72 권정훈, "일본의 테러대책 현황과 한국의 과제" 한국테러학회 5 (5): 5-25, 2012
      • 73 박용현, "인터넷을 활용한 테러 대응의 법사회학적 접근 - 예방 홍보 관리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2 (12): 225-234, 2007
      • 74 선계훈, "인도네시아의 테러 범죄와 테러방지법-경찰의 대테러 활동의 중요성과한계를 중심으로-" 3 (3): 101-, 2014
      • 75 손주영, "이슬람의 이테올로기화와 급진 이슬람 원리주의" (1) : 265-, 2004
      • 76 홍순남, "이슬람과 테러리즘" (1) : 313-, 2004
      • 77 오태곤, "유엔 체제 내의 테러리즘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3) : 479-499, 2006
      • 78 조호대, "우리나라 테러방지관련법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3 (3): 13-25, 2007
      • 79 윤태영, "영국의 대테러리즘 위기관리 체계와 전략 - 실제, 문제점 및 정책적 함의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6 (6): 82-100, 2010
      • 80 조성제, "영국·프랑스·독일의 테러방지법제정과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소 18 (18): 337-361, 2010
      • 81 박동삼, "아프간 테러전 이후 북・미관계의 전망" 40-, 2002
      • 82 고재선, "시나리오 설계를 통한 지하철 화재(방화)테러 비상대응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5 (5): 5-24, 2012
      • 83 장수복,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사이버테러리즘에 관한 고찰" 한국테러학회 6 (6): 1-21, 2013
      • 84 최보율, "생물테러의 역학적 특징과 대응" (1) : 151-, 2004
      • 85 허영주, "생물테러 정책 및 대응전략" (1) : 185-, 2004
      • 86 정육상, "생물테러 대응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2) : 113-144, 2010
      • 87 전병율, "생물테러 대응을 위한 주요 정책방향" (5) : 123-, 2008
      • 88 정재한, "사이버테러로부터의 개인정보보호 강화방안 연구" 한국테러학회 7 (7): 66-85, 2014
      • 89 김태계, "사이버테러 범죄 대응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과 대책"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337-1381, 2014
      • 90 곽관훈, "사이버테러 방지에 관한 일본의 법제도 및 시사점" IT와 법연구소 (8) : 261-287, 2014
      • 91 정태진, "사이버테러 및 범죄방지를 위한 국제기구 설립의 필요성: SNS를 이용한 인터넷사기와 사이버 폴리싱을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 5 (5): 175-206, 2012
      • 92 윤해성, "사이버테러 동향과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 93 이철원, "사이버테러 동향 및 대응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119-135, 2009
      • 94 양근원, "사이버테러 대응과 현행 절차법 검토" 3 (3): 181-, 2004
      • 95 박노형, "사이버전의 국제법적 분석을 위한 기본개념의 연구- Tallinn Manual의 논의를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59 (59): 65-93, 2014
      • 96 김영환,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구축의 이론적 함의 -사이버테러형 범죄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4 (14): 165-171, 2009
      • 97 조성택, "사이버 테러의 추세와 관련 법․제도에 관한 고찰 : 해킹 범죄를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 1 (1): 44-71, 2008
      • 98 송병호, "사이버 테러리즘의 변화에 따른 보안ㆍ수사기관의 대응강화 방안" 한국테러학회 6 (6): 75-92, 2013
      • 99 조호대, "사이버 테러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 (2): 14-29, 2006
      • 100 박기갑, "사이버 전쟁 내지 사이버 공격과 국제법" 국제법평론회 (32) : 37-83, 2010
      • 101 서재진, "비핵화이후 북한의 체제 내구력 전망" 북한연구소 33 (33): 41-71, 2008
      • 102 정웅, "북한테러 억제를 위한 효과적 전략물자 수출통제체제 구축방안" (8) : 373-, 2011
      • 103 한영진,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와 내부통제 강화" (443) : 121-, 2008
      • 104 이만종, "북한의 테러지원 무기밀매 실태와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21 (21): 145-179, 2012
      • 105 이제영, "북한의 테러 가능성과 법적 대응방안" 한국테러학회 3 (3): 213-235, 2010
      • 106 이만종, "북한의 테러 가능성과 대비전략" 한국테러학회 3 (3): 7-52, 2010
      • 107 이승철, "북한의 위협에 따른 한국의 테러 대응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테러학회 3 (3): 147-165, 2010
      • 108 최선우, "북한의 사이버 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1 (21): 211-239, 2012
      • 109 이대성, "북한의 대남테러리즘 분석과 향후전망-김일성·김정일·김정은 집권기를 중심으로-" 한국테러학회 5 (5): 125-147, 2012
      • 110 신충근, "북한의 대남 사이버테러 전략 분석 및 대응 방안에 관한 고찰" 경찰대학 13 (13): 201-226, 2013
      • 111 정재극, "북한군 특수부대 테러 대비 특수경비원의 방호능력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 11 (11): 195-220, 2012
      • 112 박헌옥, "북한, 테러지원국 해제와 핵 검증 합의" (443) : 86-, 2008
      • 113 한영진, "북한 사이버테러 인력양성 모체, 제1중학교" 134-, 2015
      • 114 이선기, "북한 미사일발사에 따른 한국의 전략적 대응방향" 한국테러학회 7 (7): 98-126, 2014
      • 115 정진석, "베이징 항공테러협약:새로운 위협 새로운 대응" 국제법평론회 (36) : 31-59, 2012
      • 116 강영숙, "바이오테러리즘의 위협요인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3 (3): 7-38, 2010
      • 117 최시영, "미래 첨단무기체계의 대테러 무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3 (3): 167-191, 2010
      • 118 박원탁,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에 관한 연구" (1) : 65-, 2004
      • 119 제성호, "미국의 반테러법 실천과 한국의 입법적 대응방향" (1) : 1-, 2004
      • 120 김성한, "미국의 대북한정책과 한・미 공조방안" 33 (33): 30-, 2002
      • 121 홍순남, "미국의 대 중동정책- 부시행정부를 중심으로 -" 지중해지역원 10 (10): 97-127, 2008
      • 122 최진태, "미국과 영국의 테러조직 지정 및 관리에 대한 고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85-202, 2011
      • 123 Loretta Napoleoni, "모던지하드 테러, 그 보이지 않는 경계" 시대의창 2004
      • 124 최보율, "두창의 특성과 생물테러" (3) : 231-, 2006
      • 125 손동권, "독일의 테러대책법과 활동방향" (1) : 43-, 2004
      • 126 권정훈, "독일의 테러대응 법제적 현황과 우리의 방향" 1-, 2011
      • 127 이성용, "독일열차 폭탄테러 미수사건과 감시카메라 설치에 대한 논의" 6 (6): 245-, 2006
      • 128 이대성,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분석-경찰청 대테러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 13 (13): 295-314, 2014
      • 129 이대성,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 분석: 학계와 국가기관에서 발간한 대(對)테러리즘 관련 학술논문 비교" 한국테러학회 7 (7): 63-97, 2014
      • 130 이대성,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 분석 - 한국테러학회 학술세미나 자료집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21-136, 2014
      • 131 윤해성, "대 테러 활동에 관한 수사시스템 정비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 132 이경훈, "다중이용시설의 테러예방을 위한 건축물 보안통제(building security control) 디자인의 실태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5 (5): 44-58, 2009
      • 133 이명찬,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테러 가능성 및 경호경비 대비방안" 한국테러학회 6 (6): 138-157, 2013
      • 134 허태복, "다중교통시설 테러에 대한 일반적 고찰 –지하철 분야를 중심으로-" (7) : 223-, 2010
      • 135 박재풍, "뉴테러리즘의 의미재정립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8 (8): 165-187, 2011
      • 136 곽영길, "뉴테러리즘의 실태와 대응전략" 한국테러학회 2 (2): 32-56, 2009
      • 137 이창용, "뉴테러리즘과 국가위기관리" 대영문화사 2007
      • 138 오태곤, "뉴테러리즘 시대 북한테러리즘에 관한 공법적 검토" 한국법학회 (21) : 369-392, 2006
      • 139 박준석, "뉴테러리즘 대응전략의 産・學・管・硏상호 협력방안" (5) : 195-, 2008
      • 140 박용현, "뉴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국제경찰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19) : 327-345, 2005
      • 141 김응수, "글로벌 테러리즘" 한울 2012
      • 142 성기주, "국제해양범죄의 형사관할권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해사법학회 26 (26): 175-200, 2014
      • 143 우성구, "국제해상운송에 있어서 해상안전의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15) : 143-190, 2010
      • 144 문준조, "국제테러에 대한 국내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2
      • 145 유재형, "국제테러리즘에 대한 국제기구의 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 국제연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183-230, 2009
      • 146 조병선, "국제테러리즘과 국제사이버테러에 대한 국제형사사법 공조의 문제점과개선방안" (7) : 45-, 2010
      • 147 김영석, "국제법상 테러행위의 규제 방안에 관한 고찰" (2) : 79-, 2005
      • 148 정육상, "국제범죄의 새로운 양상과 그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7 (7): 155-178, 2011
      • 149 이태윤, "국제 핵테러의 발생가능성에 관한 연구 - 현황과 전망, 대안을 중심으로 -" 한국테러학회 2 (2): 38-86, 2009
      • 150 황호원, "국내외 항공테러와 최근 위협동향 - 주요 항공 테러사건과 대응동향 중심 -" 한국테러학회 2 (2): 200-247, 2009
      • 151 박진희, "국내 핵테러 발생 시나리오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63-186, 2012
      • 152 허태회, "국내 다중이용시설 테러대응체계와 위기관리" (8) : 205-, 2011
      • 153 이정덕, "국가재난 발생 시 효율적 대처를 위한 한국형 모델 구축 방안" 한국테러학회 7 (7): 125-154, 2014
      • 154 한희원, "국가안보와 대테러 정책 –미국 국가대테러센터(NCTC)에 대한 심층연구" (8) : 535-, 2011
      • 155 문재명,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테러 대응방안 연구" 한국테러학회 4 (4): 5-32, 2011
      • 156 오태곤, "국가 사이버안전 관리 법제의 개정방향에 관한 소고"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 (19): 163-170, 2014
      • 157 이재은, "국가 사이버 위기관리체계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4 (4): 69-93, 2008
      • 158 이하섭, "공공시설 테러예방을 위한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 5 (5): 158-186, 2012
      • 159 이인영,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21 (21): 171-194, 2009
      • 160 최성재, "경비경찰과 인권 간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한 조망" 경찰대학 (9) : 286-320, 2005
      • 161 신의기, "각국의 테러대응책과 우리나라 테러방지법" (4) : 31-, 2007
      • 162 김영호, "각국 대테러 관련법의 제정 동향 및 추세" 6 : 83-, 2009
      • 163 김흥광, "가상화된 DDos 사이버테러기법과 북한군 사이버전력" 465 : 100-, 2010
      • 164 김석균, "韓․中․日 해양보안(Maritime Security) 의 입법적 수용에 대한 비교론적 고찰" 국제학연구소 21 (21): 63-91, 2012
      • 165 강정우, "海賊 團束을 둘러 싼 法的 諸 問題 檢討" 한국법학원 (123) : 209-256, 2011
      • 166 "日‘안중근 테러리스트’ 발언에 “일본은 테러국가" 헤럴드경제뉴스
      • 167 "U대회 테러상황대비 종합훈련 광주 주경기장서 열려" 연합뉴스
      • 168 Steve Hewitt, "Three Lessons the United Kingdom can Teach the United States about Domestic Counterterrorism" 37 : 5294-, 2011
      • 169 Dennis J.D. Sandole, "The ‘Fog of War’ on Terrorism: U.S. Policy, Deception, and the Continuing Slide into the ‘Clash of Civilization’" 13 : 149-, 2006
      • 170 Van Hipp, "The new terrorism: How to defeat it" 2015
      • 171 Matthew Lippman, "The New Terrorism and International Law" 10 : 297-, 2003
      • 172 Matthias Ruffert, "Terrorismusbekämpfung zwischen Selbstverteidigung und kollektiver Sicherheit: Die Anschläge vom 11. 9. 2001 und die Intervention in Afganistan" 247-, 2002
      • 173 Björn Otto, "Terrorabwehr im Spannungsfeld von Mitbestimmung und Datenschutz" 1134-, 2011
      • 174 Wolfgang Hetzer, "Terrorabwehr im Rechtsstaat" 132-, 2005
      • 175 김현동, "SNS시대의 테러리즘 변화에 따른 산업보안 발전방안" 한국테러학회 7 (7): 81-104, 2014
      • 176 Peter R. Neumann, "Old and New Terrorism" 2009
      • 177 Gabriel Hallevy, "Incapacitating Terrorism through Legal Fight-the Need to Redefine Inchoate Offenses under the Liberal Concept of Criminal Law" 3 : 87-, 2012
      • 178 Frank Meyer, "Globale Terrorbekämpfung und nationales Nebenstrafrecht" 2397-, 2010
      • 179 Mehrdad Payandeh, "Globale Anti-Terrorgesetzgebung: Die deutsche Rechtsordnung im Sog des UN-Sicherheitsrats?" 241-, 2014
      • 180 Walter Frenz, "Europäischer Datenschutz und Terrorabwehr" 6-, 2009
      • 181 Dieter Blumenwitz, "Einsatzmöglichkeiten der Bundeswehr im Kampf gegen den Terrorismus" 102-, 2002
      • 182 Fredrik Roggan, "Die “neue Sicherheitsarchitektur”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nti-Terror-Datei, gemeinsame Projektdateien und Terrorismusbekämpfungsergänzungsgesetz" 876-, 2007
      • 183 Jochen Frowein, "Der Terrorismus als Herausfoderung für das Völkerrecht" 879-, 2002
      • 184 Dieter Wiefelspütz, "Der Auslandseinsatz der Bundeswehr gegen den grenzüberschreitenden internationalen Terrorismus" 819-, 2005
      • 185 Mohammad Iqbal, "Defining Cyberterrorism" 22 : 397-, 2004
      • 186 Dominic Hörauf, "Das Neue Antiterrordateigetz: Auswege aus oder Irrwege innerhalb einer verfassungsrechtlichen Sackgasse?" 181-, 2015
      • 187 Walter Frenz, "Das Grundrecht auf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 –Stand nach dem Antiterrordatei-Urteil des BVerfG" 840-, 2013
      • 188 Aviv Cohen, "Cyberterrorism: Are We Legally Ready?" 9 : 1-, 2010
      • 189 Yaroslav Shiryaev, "Cyberterror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14 : 139-, 2012
      • 190 John F. Murphy, "CyberWar and International Law" 89 : 309-, 2013
      • 191 Clive Walker, "Cyber-terrorism: Legal Principle and Law in the United Kingdom" 110 : 625-, 2006
      • 192 Kevin H. Govern, "Argoterrorism and Ecoterrorism: A Survey of Indo-American Approaches Under Law and Policy to Prevent and Defend against these Potential Threats Ahead" 10 : 223-, 2009
      • 193 Alexander Raif, "Achtung, ein Terrorist im Arbeitsverhältnis – Auswirkungen von Antiterrorlisten" ArbRAkuell 24-, 2011
      • 194 최지웅, "AHP 기법 기반 초고층 건축물 폭발물 테러 위험도 평가모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127-139, 2012
      • 195 이수형, "9・11 뉴욕 테러와 21세기 국제분쟁의 새로운 유형 : 제4세대전쟁, 네트전, 비대칭전쟁" 19 : 135-, 2003
      • 196 洪圭德, "9·11 테러사태와 韓·美同盟의 未來" 신아시아연구소 9 (9): 55-73, 2002
      • 197 李敎觀, "9·11 테러 以後 美國과 北韓의 相互 政策變化 硏究" 신아시아연구소 9 (9): 126-145, 2002
      • 198 유석렬, "(전환기의 북한 전망) “대범한 해결책"과 테러지원국 삭제" (443) : 4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1 0.749 0.23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