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 독본에서의 문종(文種) 의식 형성 과정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21(3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한국 개화기의 교과서는 한국의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있었으나 많은 부분 일본의 영향을 받아 출발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후 식민지기의 교과서 또한 어쩔 수 없이 일본의 의도대로 편찬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살펴보았을 때 한국에서 일본 교과서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본고는 일본 국어교과서의 큰 흐름을 살펴보고 문종(文種, 장르) 의식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일본 국어교과서 역사의 큰 흐름을 살펴볼 때 중요한 변화를 말하자면, 한문에서 일본문(和文)으로의 변화, 문어체에서 구어체로의 변화, 지식전달 중시에서 문학적 내용 중시로의 전환, ‘국어과(國語科)’의 성립, 근대적 ‘문학’개념의 성립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국민국가의 성립, 언문일치, 표준어성립, 문학적 취향의 중시 등 여러 층위에서 복합적이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었고, 이러한 국어교재의 시대적 흐름은 국민의식의 함양과 제국주의 체제를 공고하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성적인 글의 중시, 서구문물의 도입 등은 필연적으로 문종을 세분화하며, 이는 곧 다양한 글쓰기와 감상의 등장을 의미한다. 교과서에 실릴 글들의 선정과 배치에 대한 고민, 교과서 문장의 장문화(長文化)에 따라, 장르를 세분화하고 명확하게 구분하는 감각도 동시에 형성되어 갔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귀결이라 볼 수 있다. 교과서 내의 문종 개념은, 처음에는 소설류, 도덕상 담화, 이학(理學)상 논설, 여러 대가의 문장, 시가(詩歌) 등으로 근대적 장르의식 없이 분류되었던 것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신’, ‘이과’, ‘지리’, ‘역사’, ‘실업(實業)’, ‘국민교육’ 등으로 내용에 따라 분류하게 되었고, 이후 문학적 취향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문학’이라는 분류가 추가되었다. 이는 당시 일본문단의 서구 근대문학의 도입과 정착이 교과서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더보기Although the school textbooks at the time of Enlightenment (modernization) of Korea showed some efforts to maintain their own identity, it is well-known that in many aspects the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Consequently, textbooks of Korea after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ere bound to be compiled as the Japanese authorities intended. Considering this context of historical influence, it would be of great significance to analyze the historical trend of the school textbooks of Japan. The present paper surveyed the overall trend i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and explored how the sense of the genre of writing was reflected in them. Major change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textbooks include the change from Chinese characters to Japanese characters, from literary style to colloquial style, the changeover of focus from knowledge transmission to literary contents,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language’ as a subject, an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These changes were made in a complex and diverse manner in multiple dimensions including the founding of the nation-state, the unity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a high regard for literary tastes. And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was toward the direction of cultivat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onsolidating the imperialist system. Further, putting emphasis on the emotional style of writing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inevitably led to the subdivision of writing genres, which meant the appearance of diverse styles of writing and appreciation. The concern over the selection and layout of the articles to be compiled into the textbooks as well as the increased length of the sentences in them, naturally led to a growing sense of breaking down genres and clearly demarcating them. With little sense of modern genres, early textbooks compiled fiction, moral lessons, scientific articles, excerpts from great writers, and poetry. Yet as time passes, Japanese language textbooks came to show classification by genre, including ‘morality’, ‘science’, ‘geography’, ‘history’,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Subsequently, ‘literature’ genre was added as the importance of literary tastes came to the for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in which modern literature of the West was being introduced and taking roo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