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오장환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현장들 = Location of Hometown in Oh, Jang-hwan’s Poems
저자
구완회 (세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59-801(43쪽)
제공처
Hometown is the important theme of Oh, Jang-hwan’s poems. It had frequently appeared as specific places in reality since 1940s. No research, however, specifically identified the hometown was whether Hoein, Oh, Jang-hwan’s birthplace or Anseong, his father’s birthplace. This research identified some important settings of Oh, Jang-hwan’s poems through the poetic diction, chronicles of the poet and newspapers of the time.
“Wrestling Friends” and “Old House” in the pentology of “Paeraengi(A Bamboo Braid Hat)” depicted his hometown. The setting of “Midangri Again” was Midang-ri, Cheongyang-county, Chungcheongnam-do nowadays, which was also depicted specifically in the poem “In Mother’s Arms”. He considered the place as hometown because his mother lived there. The setting of “Estranger” was the dike of Anseongcheon creek, that of “Lying Back on Stone” was the cemetery (the city hall now) and Nagwon Historical Park, and that of “Prologue” was the old Anseong station. “Lying Back on Stone” is regarded as a poem related to the death of his son. It is identified that the setting of “The Way to Ancestral Graves” was Gugyo-dong, Juksan-ri, Juksan-myeon, which is in the east of Anseong according to his note written when he published the poem. Lastly, the setting of his representative “The Poem of Seeing My Hometown” is assumed as Anseong, which was the commercial center of the time.
오장환(1918-1951)의 시에서 중요한 주제인 ‘고향’은 1940년 이후 현실 속의 구체적 공간으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곳이 태어난 회인인지, 아버지의 고향인안성인지 어떤지에 대한 구체적 검토가 없었다. 이 연구는 시어와 시인의 연대기, 당시의 신문 자료 등을 통하여 몇몇 중요한 시의 현장이 어딘가를 구체적으로검토했다.
「패랭이」 5부작 중 「씨름동무」, 「古家」는 그가 태어난 고향을 그린 것이다. 「다시 미당리」는 「어머니의 품에서」에 구체적으로 묘사된 곳이며, 그곳은 충남 청양군 미당리다. 어머니가 있어 고향처럼 여긴 곳이다. 「패랭이」 5부작 중 「타관사람」, 「침석」, 「두서」는 안성천 제방, 지금의 시청 자리에 있던 공동묘지, 낙원역사공원, 지금은 없어진 안성역이 작품의 현장이다. 특히 침석은 아들의 죽음과 관련한 시로 추측했다. 「성묘하러 가는 길」은 발표 때의 메모에 따라 안성의 동쪽인 죽산면 죽산리 구교동임을 확인했다. 끝으로 대표적인 고향 시 「향토망경시」는 상업이 활성화되었던 안성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추정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