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여성영화 뉴웨이브 연구: 소녀가 주인공인 영화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 Wave of Korean Women’s Films: Focusing on Films in which Girls are the Main Characters
저자
김경욱 (세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3-189(17쪽)
제공처
연구목적: 이 논문은 먼저 최근 몇 년 동안 여성 감독 영화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한국 여성영화 뉴웨이브라고 할만한 경향을 형성한 점에 주목했다. 다음으로는 여성 감독이 연출한 영화 가운데 특히 소녀가 주인공인 영화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연구 범위를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여성감독의 영화 가운데 소녀가 주인공인 영화들(<우리들>, <우리집>, <벌새>, <영주>, <영하의 바람>, <남매의 여름밤>, <최선의 삶>, <비밀의 언덕>, <다음 소희>, <흩어진 밤>, <나를 구하지 마세요>, <선희와 슬기>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방법: 먼저 연구 대상 영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다음, 반복되는소재 및 주제를 찾아 항목별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해석했다. 각 항목은 주인공의 가족과 부모의 유형, 이에 대한 주인공의 대응 방법, 집의 의미와 친밀한 대상의 상실, 주인공의 성장 또는 실패 그리고 열린결말이다. 연구결과: 주인공의 부모 유형은 세 가지 즉, 무관심한 부모, 경제적으로 무능력한 부모, 무책임한 부모로 분류된다. 이러한 부모가 구축한 가족은 모두 역기능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 소녀는가출하거나 외부에서 대리 부모를 찾음으로써, 해결책을 찾으려 한다. 역기능 가족이 초래한 불안한 환경에서 집은 안전과 관련된 공간으로서 주요한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된다. 주인공이 가까운 대상을 상실하는설정이 반복되는데, 결과적으로 주인공의 불안은 더욱 강화된다. 주인공은 일종의 시련을 통해 성장하거나 실패한다. 연구 대상 영화는 대부분 열린 결말로 막을 내린다. 이에 대한 여러 해석 가운에 하나는 감독이 주인공과 동일시한 결과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 연구 대상 영화의 부모 유형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된 한국 사회와 관계가 있다. 이러한 부모의 상황은 아이들에게 안전감의 결핍과 불안을 초래하게 된다. 주인공 소녀의 행동거지는 대부분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다. 이는 곧 IMF 외환위기 시대에 미성년자 시절을 보낸 MZ세대의 정체성의 일면이라고 할 수있다.
더보기Purpose: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female-directed film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forming a trend that can be called a New Wave of Korean women’s films. Next, it focused on the fact that among films directed by female directors, many of them feature girls as the main characters. Therefore,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2015 to 2023, and it attempted to analyze films directed by female directors featuring girls as the main characters. There are The World of Us, The House of Us, House of Hummingbird, Moving on, The Hill of Secrets, Next Sohee, etc. Methods: First, the entire film was examined, and then recurring materials and themes were found and organized by item, and their meanings were interpreted. Each item is the type of the main character’s family and parents, how the main character responds to them, the meaning of home and loss of an intimate object, the main character’s growth or failure, and an open ending. Result: The parent types of the protagonist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different parents, economically incompetent parents, and irresponsible parents. All families built by these parents can be called dysfunctional families. The protagonist girl tries to find a solution by running away from home or finding surrogate parents outside. In the unstable environment caused by the dysfunctional family, the home becomes a space related to safety and has a major symbolic meaning. The setting where the protagonist loses a close object is repeated, which in turn further strengthens the protagonist’s anxiety. The protagonist either grows or fails through a kind of ordeal. Most of the films studied end with an open ending. One of the many interpretations of this is that it is because the director identified with the protagonist. Conclusion: The parent types in the films studied are rela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has been economically unstable since the 1997 IMF foreign exchange crisis. This parental situation causes a lack of security and anxiety in children. Most of the protagonist girl’s behaviors are attempts to escape from anxiety.
This can be said to be one aspect of the identity of the MZ generation that spent their youth during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