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계몽주의의 문화 진화 재고찰: 과학주의, 문화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 A Rethinking of the Enlightenment’s Cultural Evolution: Focusing on Scientism and Cultural Similarities
저자
지승학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4(14쪽)
제공처
연구목적: 본 논문은 18, 19세기 문화 진화를 통하여 계몽주의 시대의 과학과 왕정복고의 종교와의 지배 체계를상호 주관적 차원에서 검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그 가운데 시대에 따라 변해 간 문화 교류의 담론을 역사적으로재확인함으로써 문화를 과도하게 규칙화하려는 과학적 원류를 드러내어 문화적 융합과 교류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초점을 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류학의 전개 과정을 그 배경으로 한 문화 진화의 진행 방향이 융합적 교류의중요한 씨앗이 되었다는 전제하에, 담론의 충돌 혹은 그로 인한 모순적 양상은 어느 시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핵심사안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본 논문은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적 방법론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로써 ‘진화와 진보’의 변증법적 관계를 시대 담론의 차이로써재확인하기 위해서 시대적 연대 나열을 지양하고 사상가들의 이론적 편차에 주목함으로써 그 관계성을 명확하게부각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문화 진화에서의 ‘진화와 진보’의 변증법적 관계는 삶에서의 인간 정신의 진화와 생산 방식에서의 기술 혁신의 진보로써 미래지향적 정황을 남긴다. 그 정황은 인간의 역사가 계몽주의적 순환을 함축한다는 결과로써 표상된다. 문화 진화의 한계와 가능성의 잠재적 흐름은 종교적 체계와 과학적 논리의 만남을 통하여 계몽주의적 인간 정신과 그에 따른 기술 축적과 혁신의 출현으로써 역사를 재구축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담론의 지배 체계는 관점의 충돌로써 문화 진화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이 시대담론을 주도하는 융합적 에너지의 씨앗이 될 수 있는 이유다. 문화적 진화는 진화와 진보 사이의 내적 변증법적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이는 미래 지향적 가치와 혁신의 잠재력이 된다.
더보기Purpos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in the Enlightenment era and religion in the Restauration through the cultural evolution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o this end, this article focuses on historically reaffirming the discourse of cultural exchange, revealing the scientific origins of the over-regularization of culture and promoting the value of cultural convergence and exchange. Therefo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 of anthropology and the direction of cultural evolution have become important seeds for convergent exchange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discourse conflicts and their contradictory aspects as key issues that can occur in any era and in any reg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ttempts to apply Michel Foucault’s ‘archaeology of knowledge' methodology. In order to reaffirm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evolution and progress’ as a difference in the discourse of the times, this article avoids listing chronological dates and highlights the theoretical deviations of scholars. Result: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evolution and progress” in cultural evolution leaves a forward-looking context of cultural evolution as the evolution of the human mind in life and the progr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production methods. This situation is expressed as a consequence of the implications of human history and the Enlightenment’s cycle. Conclusion: The potential flow of limits and possibilities of cultural evolution has been reconstructed in history as the emergence of technological accumulation and innovation by the Enlightenment human mind through the interaction of religious systems and scientific logic. The dominant system of discourse can also be a source of renewed vitality in cultural evolution as a clash of perspectives. This is why it can be the seed of the convergent energy that drives the discourse of the times. Cultural evolution revolves around the inner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evolution and progress as the potential for forward-looking values and innov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