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활성화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1(29쪽)
제공처
현재 국내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은 인구감소와 구도심의 열악한 환경을 개조하여 주변의 환경과 함께 경제성을 확보하는 일자리 창출을 병행하여 도시의 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본질은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요구하여 보다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도시재생은 사회적인 면과 문화적인 면이 형식적인 이다는 지적이 많다. 경제적 측면은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민간자금과 기술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때문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의 구조를 현실에서 보면 정부에서 각지자체에 선발 방식과 요건에 대하여 매년 제시하고 그 기준에 맞추어서 지자체에서는 주민에게 일정교육으로 진행하여 중앙에 제출하면 중앙에서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정부 주도의 한 개의 계획서 평가기준보다는 민간업체의 참여와 주체로 여러 개의 계획서를 평가하여 인정하고 민간의 자금이 도시재생사업에 활용되어야 재생의 지속성이 유지되리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선행연구와 법리적인 연구,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에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표본을 설정하여 검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제시하였다.
더보기Currently, urban regeneration in Korea is promoting the regeneration of the city by creating jobs that secure economic efficiency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renovating the poor environment of the old city center and the population decrease.,The essence of urban regeneration is to enrich life by demanding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hanges.,However, many point out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are formal, not only in the economic aspect but also in the lack of private funds and technology.,Therefore, in the reality of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structure, the government presents the selection method and requirements to each local government every year,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the local governments conduct a certain education to the residents and submit it to the center.,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inuity of regeneration will be maintained only when the government-led evaluation criteria of one plan are evaluated and recognized by the participation and subject of private companies and the private funds are used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This study set up a sample to be more active in exis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previous studies, legal studies, and case studies of urban regeneration,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verificatio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