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氣 및 水質汚染地域의 土壤 및 水稻體中 重今屬含量에 科한 硏究 = Studies on the Heavy Metals on Paddy Rice and Soils in Janghang Smelter and Mangyeong River Area
저자
金成朝 (農科大學 農化學科)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6
작성언어
Korean
KDC
0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221(55쪽)
제공처
소장기관
長項製鍊所의 排煙과 全州市 工團廢水 및 都市下水의 影響을 받는 地域의 土壤과 水稻를 對象으로 Cd, Cu, Pb 및 Zn 등 重金屬含量을 調査分析하는 한편 pot 試驗을 通하여 이들 重金屬이 水稻生肉 및 收量에 끼치는 影響을 調査하기 위하여 pot 試驗을 修行하였던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製鍊所의 排氣에 依한 東쪽 方向에서 가장 甚하였고 Pb의 天然賦存量을 基準으로 하였을 때 汚染距離는 5km이었으며 表土에 많이 蓄積되고 있었고, 工團廢水 및 都市下水에 의한 土壤의 重金屬含量은 表土와 心土間의 差異가 거의 없었다.
2. 土壤中 各 重金屬의 全含量에 對한 0.1N-HCl 및 N-NH?Ac에 의한 溶出率은 製鍊所 周邊 土壤의 것이 萬頃江 土壤의 것보다 높았다.
3. 土壤中 有機物含量 및 陽ion置換容量과 重金屬全含量間에는 有意性 있는 相關을 나타냈다.
4. 製鍊所周邊 土壤에서 생산된 玄米中의 重金屬含量은 Cd가 0.23~1.33, Cu은 2.39~6.25, Pb은 0.95~8.32, Zn은 14.60~27.31ppm였으며 工團廢水 및 都市下水에 의해서 汚染된 ?土壤에서 生産된 玄米中 重金屬含量은 Cd은 0.15~0.91, Cu은 1.13~5.68, Pb은 0.22~7.16, Zn은 11.74~38.66ppm이었다.
5. 水稻體의 ?葉部位와 玄米中 重金屬含量間에는 兩汚染源 모두 Cd, Cu, Zn은 有意性있는 正의 相關을 보였다.
6. 水稻의 chlorosis玄裳은 Ni, Cr은 30ppm以上의 處理濃度에서 나타났고, Cu은 30ppm以上, Cd와 Pb는 100ppm濃度에서 若干의 生育抑制가 있었으나 Zn은 100ppm 濃度에서도 生育 障碍가 없었다.
7. 水稻의 收量은 Cr과 Ni은 12ppm, Cu은 30ppm, Cd와 Pb은 100ppm의 處理濃度에서 有意性있는 收量減少를 보였으나 Zn은 本 實驗의 最高濃度인 100ppm 處理에서도 有意性이 없었다. 收穫後 水稻의 ?葉部에서의 각 重金屬含量은 生育中期에 比하여 크게 減少되었다.
8. 長項 및 萬頃江流域等 兩重金汚染地의 土壤 및 水稻中 重金屬含量은 水稻生育 및 收量에 影響을 줄 程度는 아니었다.
Soils and rice plants subject to smoke from the janghang smelter and polluted water of the Mangyeong River receiving waste water from the Jeonju Industrial Complex were samples at two depths to assess the nature and extent of Cd, Cu, Pb, and Zn contaminatio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distance from pollution source.
Possible effect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rice growth were checked through pot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Soils at east site within 1km of' the center of the smelter were highly contaminated with Cd, Cu, Pb, and Zn. Metal levels in the smoke-polluted area were higher in surface soil than in subsurface soil, and decreased rapidly with distance reaching nearly background levels at 5km from pollution source. For metal levels of soils in the Mangyeong River area, no difference in the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the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was found.
Metal levels in soils distributed along the Mangyeong River were found to be lower than levels in soils polluted by the smoke from the Janghang Smelter.
A positive correlation was between contents of total and 0.1N HCI-extractable, or 1.0N CH?COONH?-extractable heavy metals regardless of the pollution sourc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i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organic mat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irrespective of the pollution sourc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brown rice collected from the pappy field around the Janghang Smelter were in the range 0.23~1.33 ppm for Cd, 2.39~6.25 ppm for Cu, 0.95~8.32 ppm for Pb and 14.60~27.31 ppm for Zn. Heavy metal contents of brown rice sampled at the Jeonju Industrial Complex area ranged from 0.15 to 0.91 ppm for Cd, from 1.13 to 5.68 ppm for Cu, from 0.22 to 7.16 ppm for Pb, and from 11.74 to 38.66 ppm for Zn.
Regradless of the source of pollution, the contents of Cd, Cu, and Zn in rice stra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in the brown ric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ntents of Cd, Cu, Pb, and Zn in brown rice and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Ni and Cr cause chlorosis in rice at 30 ppm. The rice was retarded by 30 ppm of Cu and 100 ppm of Cd and Pb, whereas no phytotoxicity was observed with 100 ppm off Zn.
Phytotoxicity caused by Ni, Cr, Cd, and Cu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pplication rate of heavy metals, while no correlation was obtained with 100 ppm of Zn and Pb, respectively. For heavy metals studied, the content was greater in rice roots than in rice straw.
A significant yield reduction occurred at 12 ppm of Cr and Ni, 30 ppm of Cu and 100 ppm of Cd and Pb. No yield reduction was found at 100 ppm of Zn. Content of the heavy metals in rice straw sampled at harvest was lower than that sampled during vegetative stage and the content in brown rice was 5 to 46% of that in rice straw, indicating less translocation of the heavy metals from the rice straw to the grai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