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朝鮮朝 文集 刊行의 諸樣相 = 朝鮮後期 事例를 中心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5(7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고려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간행 또는 편찬된 문집의 종수는 최소 8,000종을 상회한다. 그 많은 수량은 문집이 갖는 정치, 문화, 사회사적 영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조선조의 문집 간행은 고려의 출판 인쇄 기술을 이어받아 금속활자, 목활자 및 목판본으로 다양하게 출간되었다. 조선조 문집 간행의 의미와 성향에 대해서 그간 유교사회 내지 성리학의 영향 하에, 학파의 형성과 긴밀한 관련 하에, 嶺南 지역을 중심에 놓고 분석되어 왔다. 이는 조선전기에서 중기까지로 국한하자면 타당한 분석이지만, 조선후기(숙종 연간 이후)로 오면 상황은 크게 변화한다. 활자의 私製 및 私有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벌어진 새 양상, 校書館印書體字와 全史字 등을 통한 개인 문집 간행의 활성화, 張混字를 중심으로 한 中人 저작 간행의 활성화, 自編 文集의 대대적인 증가, 가문과 학파 내 문집 간행을 넘어선 교유그룹에서의 활발한 문집 간행, 조선인 문집의 중국에서의 간행 유행 등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에 나타난 문집 간행의 새로운 諸樣相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문집 간행에 있어 활자 간행과 목판 간행에 대한 認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선 문인들은 일반적으로 활자본은 임시방편적이며, 목판본은 爲先 事業의 대표로서 영구적 의미를 갖는다고 인식하였다. 아울러 문집 木板 板木의 이동과 판목이 보관된 곳에서의 後刷 사례를 들었다. 3장에서는 개인 문집의 國家 命撰과 조선후기 官活字의 私用(사사로운 이용)의 實例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숙종∼정조 연간 문집 인쇄에 가장 왕성하게 사용된 교서관인서체자 간행 문집 일람표를 작성하였다. 4장에서는 조선조 문집 간행의 특이 사례들을 목판본과 활자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한 자료와 그에 대한 분석은 다소 서울과 近畿 지역의 사례로 치중된 감이 없지 않다. 이는 18세기 이래 京鄕間 문화의 分岐가 가속화되는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문집의 출간 과정과 의미는 대단히 복잡하고 다양하다. 본고는 그 가운데 한 국면을 제시한 것으로, 다루지 못한 양상들은 향후 후속고로 보충코자 한다. 아울러 문집의 유통 문제는 본고에서 거론하지 못했다. 역시 후고로 남긴다.
There exist more than 8,000 collection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the early Koryo dynasty to Japanese colonial era. And it represents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of literary works.
People of Choson inherited the printing technique of Koryo, so that they published literary collections by wood-block, wooden type, and metal type. Until a recent dat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Youngnam territory because they thought publication of Chosun was deeply related to the Confucian culture. It is a proper analysis if we limit time range into early Chosun and mid-Chosun era. However, this phenomenon changed a lot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In the late Chosun, private ownership of type became possible, so that writers could print their own literary collection personally. Many literary works were printed by Kyoseokwaninseocheja and Jeonsaja, and middle class people published their works actively. Meanwhile social intercourse groups also published co-work collections. These were noticeable aspects of late Choson period.
First, I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metal type print and wooden type print. Intellectuals of Chosun thought metal type is temporary method while wood-block is permanent.
Second, I suggested several examples of personal use of official type. And I made a table of published literary works between the King Sukjong and Jeongjo period.
Third, I researched unusual cases of those times about metal and wooden type.
As a result, I analyzed above cases focusing on the Seoul and Kyonggi area. This also means the tendency of dividing city and country at that time. This paper is a research of small parts so we need to look into well.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