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中國 都市住宅改革政策의 실시 성과에 관한 연구 : ‘住房分配貨幣化政策’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rban Housing Reform Policy in China : In Case of Monetization of Hous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DC
3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9-174(26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1998년을 기점으로 중국의 도시주택개혁정책을 기존의 주택정책과 새로이 시행에 들어간 주택분배화폐화정책(住房分配貨幣化政策)으로 나누어 분석을 가하고 있다. 기존의 도시주택개혁정책은 저임대료 개혁, 공공주택의 사유화 및 주택과 단위의 분리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진행되었지만 복지체제의 존속이라는 틀 안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제도변화의 한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복지주택의 배정 중단과 주택분배화폐화 실시 및 저소득층을 위한 경제적용주택(經濟適用房)의 공급이라는 내용을 담은 개혁 정책이 실시되었다. 이 정책은 제도 혁신으로 평가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주택개념의 전환이나 도시주택건설의 활황 등 긍정적인 효과도 얻었지만,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한 부정적인 측면도 발견할 수 있다. 향후 중국의 도시주택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불분명한 소유권 제도에 기인한 불명확한 주택재산권 제도가 개혁되어야 하며, 주택공적금 제도도 함께 재정비되어야 한다. 그 외 주택 관련 법적 기반의 정비를 위해 『부동산법』의 제정 등 관련 법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주택 관리체제도 현재처럼 주택과 토지가 분리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의 도시주택개혁정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보다 더 소외계층과 저소득층의 불만을 반영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의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으로 주택정책의 일관성 있는 추진방식, 저소득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인 저가임대주택의 지속적인 시행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e Transition from Plan to Market has become a dominent theme in Chinese Housing Policy in the last two decades. This paper reviews the progress made in the 1980~90s and the outlook for new housing policies being proposed and implemented in china today.
While the Chinese housing reform programme has been rigorously implemented along the direction of marketization and commodific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form process has generally neglected its side effect. The uncertainty and risks are emerging at a number of levels and areas. This article looks at the uncertainty and equity problem of the chinese housing market; The most recent policy initiative of stopping material distribution only cut the physical and management linkage between housing and employment, but not the economic linkage. Reform process has created enormous benefits for those who were better located on the social ladder under the old regime.
This paper ends with some recommendations for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measure for establishing property rights was proposed in relation to an improvement of housing markets system. Especially, the reform of housing should break the links between employment and residen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