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정당활동에의 시민참여와 당내민주주의 = Mitwirkung der Bürger an den Parteitätigkeiten und die innerparteiliche Demokrati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56(30쪽)
KCI 피인용횟수
18
제공처
소장기관
Vor dem Hintergrund des nicht nennswerten Fortschritt in der Entwicklung der Parteienpolitik und der Realisierung der Verantwortungspolitik seit der Demokratisierung in 80 Jahren wird der Trend der Bürgerpolitik immer stärker, welche nicht mittels politischen Parteien durchgeführt wird. Da die eigentliche Parteienpolitik die Mitwirkung der Bürger notwendigerweise voraussetzt, hat deren Mangel bei der Parteiendomokratie mehr zur schwachen realistischen Grundlage und Gerechtigkeit geführt.
Unter diesen Umständen nimmt heutzutage beim Prozess der Vorwahl für Wahlkampfkandidat für öffentliche Ämter, welche die wichtige Meinungsentscheidung innerhalb politischen Parteien darstellt, als Mittel zur Ausweitung der Mitwirkung der Bürger bei der Parteientätigkeiten der Trend der sogenannten 'Vorwahl mit Bürgerbeteiligung' zu, welche nicht nur die Parteimitglieder, sondern auch die normalen Bürger einbezieht.
Es stellt sich jedoch gleichzeitig die Frage, ob dies mit dem verfassungsrechtlichen 'Gebot der innerparteilichen Demokraite' und 'dem Recht der Parteimitglieder' vereinbar ist. Die sogenannte 'Open Primary' lässt sich nur beim amerikanischen Wahlkampfsystem und bei der dortigen Parteienstruktur rechtfertigen, stößt jedoch bei der Anwendung auf das Wahlkampfsystem und die Parteienstruktur in Korea auf gewisse Grenzen. Abschlißend wird zugestimmt, dass die Parteiendemokratie unausweichliche politische Realität ohne Alternativen innerhalb jetziger Repräsentitiven Demokratie darstellt, solange sie die Verantwortungspolitik voraussetzt. Es wird demzufolge ununterbrochen die Bemühungen zur Selbstinnovation von den politischen Parteien gefordert, damit sie umfangreiche Unterstützung und Zustimmung durch die Mitwirkung der Bürger erhalten können.
민주화이후 정당정치의 발전과 책임정치의 실현에 큰 진전이 없었고, 또한 이로써 시민사회의 실망감이 증폭되던 가운데, 정치과정에서 정당을 직접적으로 매개로 하지 않는 시민정치의 흐름이 오늘날 더욱 거세지고 있다. 시민의 참여를 필수적으로 전제하는 것이 본연의 정당정치이기 때문에 그것이 결여된 정당제민주주의는 그 현실적 토대와 정당성이 더욱 약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에 와서 정당활동에의 시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당내부의 주요한 의사결정인 공직선거의 후보자선출과정에 당원이 아닌 일반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이른바 ‘국민참여경선’이 점차 확대일로의 추세에 있다. 그러나 정치현실적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헌법상의 ‘당내민주주의요청’과 ‘당원의 권리’에 합치하는지에 관한 규범적 차원에서의 의문이 아울러 제기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독일과 미국의 비교법적인 관련 논의를 덧붙이고 있다. 따라서 완전개방형경선(open primary)은 미국식의 특유한 선거제도와 정당구조에서 정당화될 뿐이고, 당원의 권리와 당내민주주의를 규범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에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정당제민주주의는 책임정치를 전제로 하는 한 현행의 대의제민주주의에서 다른 대안이 없는 불가피한 정치현실임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시민사회의 지지와 동의에 터 잡을 수 있도록 정당들에게 부단한 자기혁신의 노력과 실천성이 더욱 강조되고 또한 요청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