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동증인의 영상녹화 진술 제도와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연구 - 캐나다・영국・미국의 영상녹화제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deo-Recorded Statements by Child Witnesses and th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ation - Focusing on Video Recording Systems in Canada, the UK, and the US -
저자
이성기 (성신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9-268(30쪽)
제공처
이 글은 성폭력범죄, 아동학대범죄 등 특정범죄에 있어서만 아동의 영상녹화를 본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캐나다, 영국, 미국 법제도를 검토한 결과,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18세 미만의 아동에 대하여 영상녹화를 본증으로 사용하도록 허용하고 피고인에게 반대신문을 보장하고 있다. 다만, 전문법칙의 일반적인 예외 규정을 통하여 아동의 피해진술에 있어서 신용성이 보장되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도록 법원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다. 반대신문에 있어서도 신문방식은 아동에게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엄격한 기준을 두고 있다. 아동의 영상녹화진술의 본증 허용과 반대신문의 예외는 진술의 신용성과 필요성의 원칙에 따라 법원이 종합적으로 판단하도록 해야 한다. 형소법에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진술인에 대한 영상녹화를 본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피고인의 반대신문의 기회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었는지 여부는 법원이 영상녹화진술의 신용성, 법정에서의 신문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형소법 제314・316조의 예외 사유로 원진술자가 피의자・피고인의 행위로 인해 불안, 두려움 등으로 출석하는데 현저한 장애가 있는 경우를 추가할 필요도 있다. 또한, 아동진술인이 영상녹화 후 증거보전절차에서 반대신문에 응한 경우 이후 아동의 법정출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여야 한다. 반대신문 시에도 아동증인이 피고인을 볼 수 없도록 하고 피고인이 직접 아동증인을 신문할 수 없도록 형사소송법에 규정을 두어야 하며, 수사기관의 설명의무와 영상녹화 가이드라인 제정에 관한 근거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더보기This article points out the issues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which restricts the use of video recordings as substantive evidence solely to specific crimes such as sexual offenses and child abuse. It also proposes measures for improvement. An examination of the legal systems in Canada, the UK, and the US reveals that, whil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ey generally allow video recordings to be used as substantive evidence for children under 18, while also ensuring th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ation. However, they grant judicial discretion to admit such evidence if the reliability of the child's statement is guaranteed under general exceptions to hearsay rules. Additionally, strict standards are imposed on cross-examination methods to minimize harm to the child. Based on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The allowance of video-recorded statements of children as substantive evidence, and exceptions to cross-examin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assessed by the court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liability and necessity.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ould stipulate that video recordings can be used as substantive evidence for statements made by all children under 18. Whether the defendant's opportunity for cross-examination was adequately guarantee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ourt based on the credibility of the video-recorded statement and the content of the cross-examination in court. The exceptions outlined in Articles 314 and 316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cases where the original declarant cannot appear due to significant impediments, such as anxiety or fear caused by the suspect or defendant. If a child witness has undergone cross-examination during evidence preservation procedures after video recording, their appearance in court should, in principle, be prohibited. During cross-examination, it should be explicitly ensured that child witnesses cannot see the defendant and that defendants cannot directly question child witnesses. Provisions should also be established to mandate that investigative agencies fulfill explanatory obligations and set guidelines for video record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