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구지역 누정제영시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의미 = Spatial Recognition and its Meaning in the Daegu area’s Nujeongjeyeong poe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66(28쪽)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and to examine how the people of the time perceived the space through works created in specific Nujeong(樓亭). The reason why Nujeong(樓亭) was chosen as the target among literary creative spaces is because Nujeong(樓亭) that many people come and go are usually built in places with excellent scenery, and in these cases, they are often accompanied by a geographical environment such as a river. Since the space in literary work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umans, that is, the artist who created the work, it is revealed in various forms in the work. Therefore, it is a material that can vividly examine the perceptions and culture of the people of the day.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Gyeongsang-do since Gyeongsang Gamyeong was located in 1601. During this period, Daegu was not only able to function 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observers stayed, but it was also able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in that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that penetrated Yeongnam to the north and south. In particular, the Nakdong River was said to be a large river in Yeongnam,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ocal culture,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Gyeongsang-do around this river. Therefore, looking at the pavilion formed around this river and the literary works created there is also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local culture.
First, by looking at the Nujeong(樓亭) presented in the geography,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avilions in the Daegu area was grasped. Based on this, we tri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rough specific works targeting the Nujeong(樓亭) where jeyeong poetry(題詠詩) remain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name given by the owner and the place where the Nujeong(樓亭) were located while building the Nujeong(樓亭). In the case of a Nujeong(樓亭) built for a public purpose, the emotion created in the space called the Nujeong(樓亭) is often revealed similarly. Therefore, most of the romance sensibilities created through the enjoyment of nature are ca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so a Nujeong(樓亭) where moral sensibility was created through the naming act containing the intention of the founder. Through this,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as recognized as a space where various characters visited and enjoyed beautiful arithmetic based on the circularity of the riverfront area, while strengthening the blood ties of the Hyangchon society and connecting academic and literary networks.
이 연구는 대구지역의 누정을 살펴보고, 특정한 누정 공간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통해 당대인들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던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문학생성공간 가운데 누정을 그 대상으로 삼은 것은 누정이 보통 경관이 빼어난 곳에 세워지며, 강이라는 지리적 환경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때 누정은 지리적 환경에 기반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며, 문학작품 창작의 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문학의 생성공간이자 문학작품 속 공간은 인간, 즉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체험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채 작품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작품들은 당대인의 인식과 문화를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감영이 자리한 이후 경상도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이 시기 대구는 관찰사가 머무는 곳이었기 때문에 행정의 중심으로 기능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였다는 점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낙동강은 『世宗實錄地理志』에서도 영남의 대천으로 일컬어졌으며, 이 강을 중심으로 경상도의 좌우가 구분되는 등 지역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따라서 이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누정과 그곳에서 생성된 문학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지역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지에 제시되어 있는 누정을 살펴 대구지역 누정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영시가 남아 있는 누정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당대인의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들은 대체로 누정을 건립하면서 주인이 부여한 명칭을 비롯해 그 누정이 위치한 곳과 밀접한 관련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공적인 목적을 띠고 건립된 누정이 아닌 경우 누정이라는 공간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의 흥취를 통해 생성된 낭만감성이 주조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나, 건립자의 의도가 담긴 명명행위를 통해 도학감성이 생성된 누정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은 강안지역이 지닌 회통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인물들이 방문하여 아름다운 산수를 즐기는 한편, 향촌사회의 혈연적 결속을 다지고 학문, 문학적 연계망을 이어가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