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을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 A Study of the Teaching Methods through Arts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inly in The Media Eecology Perspectiv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7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7-272(26쪽)
제공처
현대사회에서 미디어가 차지하는 비중이나 영향력을 생각할 때, 미디어와 사회 변화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시각은 매우 중요하다.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으로 볼 때,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미디어의 가상 세계는 어린이들의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을 약화시키고, 미디어 세계와 실제세계의 구분을 어렵게 하며, 사고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생태를 살펴 볼 때, 미디어 매개 상황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존재로서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확장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과 편리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커뮤니케이션의 불균형이라는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결핍은 인간 생활 세계에 대한 경험을 축소시키고 사회적 인간관계의 위기를 가져와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부적응 및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미술교육을 통해 아동들에게 다양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커뮤니케이션의 불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미술교육을 통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상황 제공은 아동의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 문화 형성에 도움을 주고, 미디어를 바르게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소통에 필요한 정서를 함양하는데 기여하는 미술교육의 본질적 측면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When considering the impact and the proportion of the media in moder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the view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social change. When The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Media make virtual worlds weaken the experience, the media world and the real world be difficult to distinguish and degrade thinking. In addition, due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situation of Media-mediated communication is growing.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media to meet the needs as social beings has been caused at the same time, the diversity and ease of communication with the positive aspects and communication imbalance with the negative aspects. This lac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human life, experience the world collapse and bring the crisi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mal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is the cause of problems.
In this study, the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Art Educa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in terms of media ecological imbalance in the communications sought to investigate ways to recover. Offers a variet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rough arts education is been worth it, to help in the formation of cultural communication, offers the opportunity to correct understanding media. And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that contribute to cultivate emotions is valuable to confir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