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제도의 법적 쟁점 = Insider Trading Pre-Disclosure Rule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77(37쪽)
제공처
2024. 7. 24.부터 시행되는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에 따라 주권상장법인의 임원 또는 주요주주가 지분율 기준 1% 이상 또는 거래금액 기준 50억 원 이상 특정증권 등을 거래하는 경우, 사전에 거래목적, 거래가격, 거래수량, 거래기간 등 거래계획을 증권선물위원회와 거래소에 보고해야 한다. 임원 또는 주요주주는 30일 간의 냉각기간이 지난 후에야 사전 거래계획에 따라 주식을 거래할 수 있다.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는 단기매매차익 반환 제도가 1976년에, 임원 등의 특정증권등 소유상황 보고 제도가 1982년에,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금지 규제가 1987년에 도입된 이후 거의 37년만에 새롭게 도입된 내부자거래 관련 제도다. (1) 내부자들의 주식매매라는 중요한 정보가 사전에 시장에 공시되게 함으로써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하고 일반투자자들에게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2) 내부자들이 미공개중요정보를 주식거래에 이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용이하게 입증할 수 있게 하며, (3) 냉각기간을 통해 내부자들의 미공개중요정보 이용 가능성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는 내부자들이 거래계획을 사전에 정한다는 점에서 미국의 10b5-1 Plan이나 EU의 Master Plan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미국과 EU에서는 내부자들이 주식을 거래함에 있어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 해당하지 않기 위해 자발적으로 사전에 거래계획을 수립함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내부자가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거래를 하는 경우 거래계획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제도는 내부자들의 거래라는 중요한 정보를 시장에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나 EU의 실무와 구분된다.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제도가 내부자들의 주식거래를 지나치게 제약하는 것을 막기 위해 거래수량이 1% 미만이고 거래금액이 50억원 미만인 경우에는 보고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고, 이외에 기관투자자들의 거래나 M&A 거래, 상속세 연부연납을 위한 매각 등 상당히 넓은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의 주식거래 역시 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예외 범위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제도의 도입 배경과 기능을 살피고, 미국 및 EU의 관련 제도와의 비교하며, 향후 운영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해석상 쟁점과 입법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The insider trading pre-disclosure system, effective from July 24, 2024, mandates that executives or major shareholders of publicly traded companies in Korea must report their trading plans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and the stock exchange when they intend to trade specific securities involving a stake of 1% or more, or a transaction amount of 5 billion KRW or more. The report must include details such as the purpose, price, quantity, and duration of the planned transactions, and trading can only commence after a 30-day cooling-off period. This system, introduced almost 37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insider trading regulations like the short-swing profit recovery system (1976), reporting requirements for executives' securities ownership (1982), and prohibitions against the 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1987), aims to achieve three main objectives: (1) mitigating sudden market fluctuations by disclosing critical information about insider trading plans in advance, thereby giving general investors time to react; (2) facilitating proof that insiders did not exploit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in their trades; and (3) reducing the likelihood of such misuse through the cooling-off period.
The Korean insider trading pre-disclosure system shares similarities with the U.S. 10b5-1 Plan and the EU's Master Plan in that insiders must establish trading plans in advance. However, unlike in the U.S. and EU, where insiders voluntarily set up such plans to avoid allegations of insider trading, the Korean system requires mandatory reporting for trades above a certain threshold.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Korean system is to provide the market with critical information about insider transactions, distinguishing it from U.S. and EU practices.
To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s on insider trading, the system exempts transactions involving less than 1% of shares or less than 5 billion KRW, as well as trades by institutional investors, M&A transactions, and sales for inheritance tax installment payments. However, given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trades can also significantly impact the market, the appropriateness of these exemptions needs review.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and functions of the insider trading pre-disclosure system, compares it with related U.S. and EU systems, and discusses potential interpretive issues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future oper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