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敎會生活百科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교회의 역사(歷史)
      • 교회의 설립(設立) = 68
      • 오순절과 교회의 설립 = 70
      • 교회(敎會)의 시작 = 70
      • 성령(聖靈)의 강림 = 70
      • 성령의 역사(役事)와 교회의 시작 = 71
      • (1) 성령의 임재 = 71
      • (2) 성령의 권능 = 71
      • (3) 성령의 보호 = 71
      • 예루살렘 교회 = 71
      • 위치 = 71
      • 교회 회원의 자격 = 72
      • (1) 히브리인 = 72
      • (2) 헬라파 유대인 = 72
      • (3) 개종자 = 72
      • 지도자의 교리 = 73
      • (1) 지도자의 자격 = 73
      • (2) 교회의 치리 = 73
      • (3) 교리 = 73
      • 복음전파(福音傳播) = 74
      • (1) 설교자들 = 74
      • (2) 초대교회의 기적 = 75
      • 초대교회의 특징 = 76
      • (1) 공동체정신 = 76
      • (2) 결점 = 76
      • 초대교회의 확장(擴張) = 77
      • 초대교회의 전도우동 = 77
      • 새로운 전기(轉機) = 77
      • 집사 스데반 = 77
      • 사울의 박해(迫害) = 78
      • 사마리아의 빌립 = 78
      • 욥바와 가이사랴의 베드로 = 79
      • 바울의 전도사역 = 80
      • 사울의 개종(改宗) = 80
      • 안디옥 교회의 설립(設立) = 80
      • 바울의 전도여행(傳道旅行) = 81
      • 예루살렘 회의(會議) = 83
      • 이방(異邦) 속의 초대교회(初代敎會) = 84
      • 이방(異邦) 지역의 교회 = 84
      • 선교지역(宣敎地域) = 84
      • 이방교회(異邦敎會)의 지도자 = 84
      • 바울의 전도여행 = 85
      • 바울의 제2차 전도여행 = 85
      • 바울의 제3차 전도여행 = 87
      • 바울의 제4차 전도여행 = 88
      • 기독교 박해의 시작 = 90
      • 초대교회(初代敎會)의 암흑기 = 91
      • 예루살렘의 멸망 = 91
      • 예루살렘 성전 파괴 = 91
      • 로마의 두 번째 박해 = 93
      • 초대교회의 상황 = 93
      • 초대교회의 특징 = 93
      • (1) 교회의 확장과 신도수 = 93
      • (2) 교리 = 94
      • (3) 의식 = 94
      • 초대교회의 직제 = 96
      • (1) 사도 = 96
      • (2) 감독과 장로 = 96
      • (3) 집사 = 96
      • 초대교회의 영적(靈的) 상태 = 97
      • 초기교회시대 = 98
      • 초기교회의 박해와 성장 = 100
      • 로마 황제의 기독교박해 = 100
      • 박해의 원인 = 100
      • (1) 이방신에 대한 배타적 태도 = 100
      • (2) 우상숭배의 거부 = 100
      • (3) 황제숭배의 거부 = 101
      • (4) 유대교와의 관계 = 101
      • (5) 비밀집회 = 101
      • (6) 평등주의 사상 = 102
      • (7) 경제적 이익문제 = 102
      • 박해의 과정(過程) = 102
      • (1) 트라얀 황제로부터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때까지의 박해 = 102
      • (2)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시대 = 103
      • (3)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시대 = 104
      • (4) 데키우스 황제시대 = 104
      • (5) 발레리안 황제시대 = 105
      • (6) 디오클레시안 황제시대 = 105
      • 초기교회 조직의 확립 = 107
      • 신약정경의 형성(形成) = 107
      • 교회조직(敎會組織)의 발달 = 107
      • (1) 사도들의 죽음 = 108
      • (2) 교회의 성장 = 108
      • (3) 로마의 박해와 이단 = 108
      • (4) 제국의 형태와 유사한 통치방식 = 108
      • 교의학(敎義學)의 발전(發展) = 108
      • 발전의 배경 = 108
      • 알렉산드리아 학파 = 109
      • 소아시아 학파 = 109
      • 북아프리카 학파 = 109
      • 초기교회(初期敎會)와 이단 = 110
      • 초기교회시대의 이단 = 110
      • 이단(異端)의 발생원인 = 110
      • 영지주의 = 110
      • 에비온파 = 111
      • 마니교 = 111
      • 몬타누스교 = 111
      • 초기교회의 확립(確立) = 112
      • 교회의 정화(淨化) = 112
      • 교리의 통일(統一) = 113
      • 교회의 조직화(組織化) = 114
      • 교회의 성장(成長) = 114
      • 제국교회(帝國敎會)의 형성(形成) = 115
      • 기독교의 세력확대 = 115
      • 콘스탄틴 황제의 즉위(卽位) = 115
      • 교회정책의 호전(好轉) = 116
      • (1) 박해의 종식 = 116
      • (2) 교회의 복원 = 116
      • (3) 공적 희생제의 중단 = 117
      • (4) 봉헌된 신전 = 117
      • (5) 교회의 기부금 = 117
      • (6) 성직의 특권 = 117
      • (7) 주일성수 = 118
      • 로마 제국의 정책변화(政策變化) = 118
      • (1) 십자가 처형제도의 폐지 = 119
      • (2) 유아살해의 금지 = 119
      • (3) 노예제도의 수정 = 119
      • (4) 검술시합의 폐지 = 120
      • 로마 제국과 교회의 결탁(結託) = 120
      • (1) 만민의 교회 = 120
      • (2) 이방풍습의 부활 = 120
      • (3) 교회의 세속화 = 120
      • (4) 교회의 타락 = 121
      • 콘스탄틴 대제(大帝)의 종교정책 = 121
      • 로마 제국의 분열 = 121
      • (1) 천도의 필요성 = 121
      • (2) 새 수도의 위치 = 122
      • (3) 천도 이후 교회의 상황 = 122
      • (4) 산타 소피아 교회 = 122
      • (5) 로마 제국의 분열 = 123
      • 이교에 대한 탄압(彈壓) = 124
      • (1) 기독교 공인 = 124
      • (2) 사후상황 = 124
      • 교리논쟁의 진전 = 124
      • (1) 아리우스 논쟁 = 125
      • (2) 아폴리나리스 논쟁 = 126
      • (3) 펠라기우스 논쟁 = 126
      • 수도원제도 발생 = 128
      • (1) 수도원의 기원 = 128
      • (2) 창시자 = 128
      • (3) 주상고행 = 128
      • (4) 유럽의 수도원제도 = 129
      • 중세교회시대 = 130
      • 교회권력의 확대 = 134
      • 로마 교회의 확장 = 134
      • 로마 교회의 통치체제 확립 = 134
      • 로마 교회의 사도계승권 = 134
      • 수도(首都)의 이전 = 135
      • 서로마 제국의 몰락 = 135
      • 일반적 상황 = 135
      • 서로마 제국 멸망의 원인 = 135
      • (1) 부에 대한 욕심 = 135
      • (2) 무력의 차이 = 135
      • (3) 시민전쟁 = 136
      • (4) 아시아인의 이동 = 136
      • 로마 침략민족들 = 136
      • 로마의 멸망 = 137
      • 침략민족의 개종 = 138
      • 교권확장기의 지도자들 = 138
      • (1) 아다나시우스 = 138
      • (2) 앰브로스 = 138
      • (3) 요한 크리소스롬 = 138
      • (4) 제롬 = 138
      • (5) 어거스틴 = 138
      • 교황중심의 중세교회(中世敎會) = 139
      • 교황권(敎皇權)의 팽창 = 139
      • 교황권 팽창의 배경 = 139
      • 교황권 팽창의 원인 = 141
      • (1) 정의의 수호자 = 141
      • (2) 세속통치의 불완전성 = 141
      • (3) 교회의 안정 = 141
      • 중세의 위조문서 = 141
      • (1) 콘스탄틴의 위조문서 = 141
      • (2) 이시도루스 교황의 위조교서 = 141
      • (3) 위조문서에 대한 증거 = 142
      • 교황권의 쇠퇴 = 143
      • 힐데브란트 = 143
      • (1) 성직개편 = 143
      • (2) 교회의 해방 = 143
      • (3) 교회지위의 확립 = 143
      • 이노센트 3세 = 144
      • (1) 황제의 선출 = 144
      • (2) 로마법 제정 = 144
      • (3) 프랑스왕과 영국왕의 굴복 = 144
      • 교황권의 몰락 = 145
      • (1) 보니페이스 8세 = 145
      • (2) 교황의 바벨론 유수 = 146
      • (3) 콘스탄스 회의 = 146
      • 신성 로마 제국과 동서교회의 분열 = 148
      • 신성 로마 제국(帝國) 이전 = 148
      • 프랑크 왕국(王國) 시대 = 148
      • (1) 메로빙거 왕조 = 148
      • (2) 카를링거 왕조 = 148
      • 성(聖)·속권(俗權) 협력시대 = 148
      • (1) 카알 대제의 서로마 황제 즉위 = 148
      • (2) 프랑크 제국의 분열 = 150
      • (3)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 = 150
      • 신성 로마 제국 이후 = 150
      • 제국교회정책의 득실(得失) = 150
      • (1) 교황과 황제의 밀월 = 150
      • (2) 서임권 투쟁 = 151
      • (3) 신성 로마 제국 붕괴 = 151
      • 동·서 교회 분열 = 151
      • (1) 교리적 원인 = 151
      • (2) 통치·관례적 원인 = 151
      • (3) 정치적 원인 = 152
      • (4) 신성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장 = 152
      • 이슬람교의 확장과 십자군 원정 = 153
      • 이슬람교의 발생 = 153
      • 모하메드의 생애(生涯) = 153
      • 이슬람교의 교리(敎理) = 153
      • 이슬람교의 확립 = 154
      • 이슬람 제국 성립 = 154
      • (1) 아랍인의 신념과 용기 = 154
      • (2) 헬라인의 반투쟁의식 = 154
      • 이슬람교의 성장요인(成長要因) = 154
      • (1) 피정복자의 이슬람화 = 154
      • (2) 타에의 포용력 = 155
      • (3) 교리의 간결성 = 155
      • (4) 예배의 단순성 = 155
      • (5) 만인사제적 신앙이해 = 155
      • (6) 절제생활 = 155
      • 이슬람교 발전의 저해요인 = 155
      • (1) 정교일치제도의 불합리성 = 155
      • (2) 행정력의 미숙 = 156
      • (3) 신에 대한 그릇된 견해 = 156
      • (4) 그리스도의 신성 부인 = 156
      • (5) 여성의 인권 격하 = 156
      • (6) 천국에 대한 그릇된 견해 = 158
      • (7) 정치력의 부족 = 158
      • 십자군 운동(十字軍運動) = 158
      • 십자군 원정의 과정(過程) = 158
      • (1) 제1차 십자군 원정 = 158
      • (2) 제2차 십자군 원정 = 158
      • (3) 제3차 십자군 원정 = 159
      • (4) 제4차 십자군 원정 = 159
      • (5) 제5차 십자군 원정 = 159
      • (6) 제6차 십자군 원정 = 159
      • (7) 제7차 십자군 원정 = 159
      • 십자군 원정의 실패 원인 = 160
      • (1) 지도자들간의 불화 = 160
      • (2) 제한된 시야 = 160
      • 십자군 원정의 결과 = 161
      • (1) 순례자의 보호 = 161
      • (2) 이슬람 집회의 저지 = 161
      • (3) 국가간의 우호 증진 = 161
      • (4) 상업에의 영향 = 161
      • (5) 교회세력의 변화 = 161
      • 수도원(修道院)의 발달과 중세의 문화 = 162
      • 수도원제도(修道院制度)의 발달 = 162
      • 중세(中世)의 수도원(修道院) = 162
      • (1) 베네딕트단 = 162
      • (2) 씨토단 = 162
      • (3) 프란시스단 = 162
      • (4) 도미닉단 = 162
      • 수도원(修道院)의 역할 = 163
      • 수도원제도(修道院制度)의 악영향 = 163
      • 중세(中世)의 문화(文化) = 164
      • 대학(大學) = 164
      • 성당(聖堂) = 164
      • 문학(文學) = 169
      • 미사와 음악 = 171
      • 중세(中世) 스콜라 신학(神學) = 172
      • 중세 스콜라주의(主義) = 172
      • 스콜라주의의 배경 = 172
      • 스콜라주의의 내용 = 172
      • 스콜라 신학자(神學者) = 173
      • (1) 헤일스 알렉산더 = 173
      • (2) 캔터베리 안셀롬 = 173
      • (3) 피터 아벨라 = 173
      • (4) 클레이보 베르나르 = 173
      • (5) 빅토 유고 = 174
      • (6) 롬바르드 피터 = 174
      • (7) 둔스 스코투스 = 174
      • (8) 오캄 윌리암 = 175
      • 스콜라 신학의 영향 = 175
      •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神學) = 176
      • 아퀴나스 신학의 중요성 = 176
      • 아퀴나스의 생애와 신학 = 176
      • 중세교회의 성례전(聖禮典) = 177
      • (1) 중세교회 성례전의 의의 = 177
      • (2) 중세교회의 일곱 성례 = 178
      • (3) 준성사 = 179
      • 종교개혁시대 = 180
      • 종교개혁운동(宗敎改革運動)의 시작 = 184
      •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 184
      • 문예부흥(文藝復興) = 184
      • 교회의 상황과 개혁의 요구 = 185
      • 종교개혁의 전조(前兆) = 186
      • 종교개혁운동의 선구자들 = 186
      • 존 위클리프 = 186
      • 존 후스 = 187
      • 제롬 사보나롤라 = 188
      • 종교개혁운동의 과정 = 190
      • 종교개혁의 진전 = 190
      • 독일의 종교개혁 = 190
      • (1) 면죄부 판매 = 190
      • (2) 루터의 95개조 항의문 = 190
      • (3) 교황의 교서 소각 = 190
      • (4) 보름스 의회 = 190
      • (5) 바르트부르크성 = 191
      • 개혁운동의 확산 = 191
      • (1) 스위스 = 192
      • (2)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 192
      • (3) 프랑스 = 192
      • (4) 네델란드 = 193
      • (5) 영국 = 193
      • (6) 스코틀랜드 = 194
      • 종교개혁의 지도자들 = 194
      • 에라스무스 = 194
      • 마틴 루터 = 194
      • 존 칼빈 = 195
      • 토마스 크랜머 = 195
      • 존 녹스 = 196
      • 이그나티우스 로욜라 = 197
      • 성 프란시스 싸비엘 = 197
      • 종교개혁의 내용 = 198
      • 종교개혁(宗敎改革)의 의의(意義) = 198
      • (1) 종교의 부흥운동 = 198
      • (2) 신앙개혁운동 = 198
      • (3) 기독교 재발견운동 = 198
      • (4) 신학운동 = 199
      • 종교개혁의 공헌 = 199
      • (1) 성서와 신앙 = 199
      • (2) 이성적 종교 = 200
      • (3) 개인적 종교 = 200
      • (4) 영적 교회 = 201
      • (5) 국가적 종교 = 202
      • (6) 신앙생활 = 203
      • 반종교개혁운동 = 204
      • 반종교개혁운동의 내용 = 204
      • 반종교개혁운동의 발생동기 = 204
      • 이그나티우스 로욜라 = 205
      • (1) 초기 생애 = 205
      • (2) 예수회 설립을 위한 준비 = 205
      • 반종교개혁기구 = 205
      • 예수회 = 205
      • (1) 예수회의 구성 = 205
      • (2) 예수회의 취지와 역할 = 206
      • 이단심문소 = 207
      • (1) 이단심문소의 목적과 성격 = 207
      • (2) 이단심문소의 역할 = 208
      • 트렌트 회의 = 208
      • (1) 트렌트 회의의 경위 = 208
      • (2) 트렌트 회의의 내용 = 208
      • 근대교회시대 = 210
      • 근세교회의 선교 = 212
      • 근세교회의 변화 = 212
      • 청교도운동 = 212
      • (1) 청교도운동의 기원 = 212
      • (2) 청교도운동의 과정 = 212
      • (3) 청교도운동의 결과 = 212
      • 웨슬레 신앙부흥운동 = 212
      • (1) 발생원인 = 212
      • (2) 지도자들과 진행과정 = 212
      • (3) 운동의 결과 = 213
      • 이성주의운동 = 213
      • (1) 이성주의운동의 기원 = 213
      • (2) 이성주의운동의 과정 = 213
      • (3) 이성주의운동의 결과 = 214
      • 영국국교회 가톨릭파 운동 = 214
      • (1) 운동의 명칭과 목적 = 214
      • (2) 운동의 기원과 성격 = 215
      • 근세 선교운동 = 215
      • 교회의 초기 선교사업 = 215
      • 영국교회의 선교사업 = 216
      • 미국교회의 선교사업 = 216
      • 근세교회의 사상적 지도자들 = 216
      • 후커 = 216
      • 카트라이트 = 216
      • 에드워즈 = 217
      • 요한 웨슬레 = 217
      • 뉴만 = 218
      • 20세기 교회 = 218
      • 20세기 사회의 제반문제 = 218
      • (1) 전쟁 = 218
      • (2) 인종문제 = 219
      • (3) 경제상의 정의실현 = 219
      • 보수주의의 대두 = 219
      • (1) 복음주의 = 219
      • (2) 신정통주의 = 220
      • (3) 로마 가톨릭교 = 220
      • 에큐메니칼 운동 = 220
      • 근대(近代) 신비주의(神秘主義) = 221
      • 근대 이전의 신비주의 = 221
      • 신비주의의 범위와 영향 = 221
      • 종교개혁시대의 신비주의자 = 221
      • 프로테스탄트 신비주의자 = 222
      • 조지 폭스 = 222
      • 초기 생애 = 222
      • 내적 체험 = 224
      • 전교활동(傳敎活動) = 224
      • 근대 신비주의 종파(宗派) = 226
      • 우회파(友會派) = 226
      • (1) 형성과정 = 226
      • (2) 교리 = 226
      • 스베덴보리 교회 = 227
      • 폴리마우드 형제단(兄弟團) = 227
      • 쉬벵크펠트파(派) = 229
      • 신비주의의 소종파(小宗派) = 229
      • (1) 가족파 = 229
      • (2) 장미십자회 = 229
      • (3) 신지학파 = 230
      • 북미지역(北美地域)의 기독교 = 231
      • 미국(美國)의 기독교 = 231
      • 로마 가톨릭 교회 = 231
      • (1) 스페인계 가톨릭 = 231
      • (2) 프랑스계 가톨릭 = 232
      • (3) 영국계 가톨릭 = 232
      • (4) 가톨릭 이주 = 232
      • (5) 가톨릭의 통치체계 = 232
      • 미국 성공회(聖公會) = 232
      • (1) 버지니아 = 232
      • (2) 뉴욕 = 232
      • (3) 독립전쟁 후의 상황 = 233
      • (4) 초대주교들 = 233
      • (5) 교인수와 조직 = 233
      • 회중교회(會衆敎會) = 234
      • (1) 최초의 청교도단 = 234
      • (2) 조직 = 234
      • (3) 회중교회의 성장과정 = 234
      • (4) 회중교회의 교리 = 234
      • (5) 교인수 = 234
      • 개혁교회(改革敎會) = 234
      • (1) 화란계 개혁교회 = 234
      • (2) 독일계 개혁교회 = 235
      • (3) 개혁교회의 교리 = 235
      • (4) 개혁교회의 조직체계 = 235
      • 침례교회(浸禮敎會) = 235
      • (1) 침례교의 원리 = 235
      • (2) 침례교의 조직체계 = 235
      • (3) 침례교의 기원 = 235
      • (4) 미국 침례교 = 235
      • (5) 침례교 단체들 = 236
      • (6) 침례교의 선교활동 = 236
      • 루터 교회 = 236
      • 장로교회(長老敎會) = 237
      • (1) 장로교회의 기원 = 237
      • (2) 남북전쟁시대의 장로교회 = 237
      • (3) 분할 = 237
      • (4) 교리와 조직 = 238
      • 감리교회(監理敎會) = 238
      • (1) 뉴욕과 매릴랜드 = 238
      • (2) 프란시스 애스베리 = 238
      • (3) 최초의 연회 = 238
      • (4) 크리스마스 연회 = 238
      • (5) 감리교회의 교리와 조직 = 239
      • 미국 형제교회(兄弟敎會) = 239
      • (1) 기원 = 239
      • (2) 교리 = 239
      • (3) 정책 = 239
      • (4) 분할 = 239
      • 그리스도의 교회 = 239
      • (1) 기원 = 239
      • (2) 목적 = 240
      • (3) 교회조직 = 240
      • 유니테리언 = 240
      • (1) 교리 = 240
      • (2) 기원 = 241
      • (3) 교인수 = 241
      • 크리스찬 싸이언스 = 241
      • (1) 설립자 = 241
      • (2) 조직 = 242
      • (3) 신앙 = 242
      • 캐나다의 기독교 = 242
      • 17세기의 개척자(開拓者)들 = 242
      • 로마 가톨릭 교회 = 242
      • 영국국교회〔성공회〕 = 243
      • 감리교회와 장로교회 = 243
      • 캐나다 연합교회 = 243
      • 침례교회와 루터 교회 = 243
      • 두크홉스 교회와 메노파 교회 = 243
      • 한국교회의 전래와 수난 = 244
      • 천주교의 한국선교 = 248
      • 천주교의 전래(傳來) = 248
      • 천주교 전래의 배경 = 248
      • (1) 소현세자와 아담 샬의 만남 = 248
      • (2) 조선학자들의 천주교리 연구 = 248
      • 천주교 전래의 과정 = 249
      • (1) 이 승훈의 천주교 입교 = 249
      • (2) 주 문모 신부의 전교활동 = 250
      • 천주교회의 수난(受難) = 250
      • 수난(受難)의 요인(要因) = 250
      • (1) 조상제사 문제 = 250
      • (2) 붕당적 요소 = 251
      • (3) 황사영의 백서사건 = 252
      • 수난사건(受難事件) = 252
      • (1) 신유교난 = 252
      • (2) 기해교난 = 253
      • (3) 김대건의 사제서품과 순교 = 254
      • (4) 병인교난 = 255
      • 개신교의 한국선교 = 259
      • 개신교회의 전래(傳來) = 259
      • 개신교 전래의 배경 = 259
      • (1) 조선의 문호개방 = 259
      • (2) 개신교 선교의 선구자들 = 259
      • 개신교 선교(宣敎)의 시작 = 261
      • (1) 조선의 문호개방과 개신교 선교 = 261
      • (2) 초기 선교사들 = 262
      • 개신교 선교의 발전 = 265
      • (1) 선교의 발전요인 = 265
      • (2) 선교의 확산 = 265
      • 개신교회(改新敎會)의 수난 = 269
      • 수난의 요인(要因) = 269
      • 수난의 사건(事件) = 270
      • (1) 조선사회의 전통과 개신교 수난 = 270
      • (2) 천주교의 박해 = 270
      • (3) 동학계의 핍박 = 272
      • 수난의 결과 = 272
      • 민족의 비운(悲運)과 기독교 = 273
      • 구한말(舊韓末)의 기독교 = 273
      • 기독교의 성격 = 273
      • (1) 애국충절의 교회 = 273
      • (2) 민족의 교회 = 273
      • (3) 항일(抗日)의 교회 = 273
      • 비운의 사건과 기독교 = 274
      • (1) 을미사변 = 274
      • (2) 을사보호조약 = 275
      • 개화(開化)와 기독교의 공헌 = 276
      • 공헌(貢獻)의 요인(要因) = 276
      • 정치적 개화(政治的開化)와 기독교 = 276
      • 문화적 개화(文化的開化)와 기독교 = 278
      • (1) 교육사업 = 278
      • (2) 청년운동 = 278
      • (3) 문서 및 문예활동 = 279
      • (4) 찬송가 편찬 = 279
      • (5) 잡지 및 신문발간 = 279
      • (6) 선교사들의 공헌 = 280
      • 1907년 대부흥운동 = 282
      • 시대적 배경 = 282
      • 대부흥운동의 과정 = 282
      • (1) 부흥운동의 발생 = 282
      • (2) 부흥운동의 확대 = 283
      • 부흥운동의 의의 = 284
      • (1) 특성 = 284
      • (2) 영향 = 285
      • 한일합방과 한국교회(韓國敎會) = 287
      • 한국교회의 민족운동(民族運動) = 287
      • 105인 사건과 한국교회 = 287
      • (1) 사건의 발생 = 287
      • (2) 사건의 과정 = 288
      • (3) 사건의 결과 = 289
      • 한국교회의 3·1운동 = 289
      • (1) 한국교회의 참여 = 289
      • (2) 교회의 피해 = 289
      • 한국교회의 사회운동(社會運動) = 291
      • 사회의식의 태동(胎動) = 291
      • (1) 사회변화에 직면한 한국교회 = 291
      • (2) 공산주의의 도전 = 291
      • (3) 한국교회의 사회신조 = 292
      • 사회운동의 유형 = 292
      • (1) 농촌운동 = 293
      • (2) 부흥회의 사회개혁적 요소 = 293
      • 한국교회의 교단운동 = 295
      • 종파운동(宗派運動) = 295
      • (1) 자유교 형태의 종파운동 = 295
      • (2) 복음교회 = 296
      • (3) 조선기독교회 = 296
      • (4) 적극신앙단 = 296
      • 연합운동(聯合運動) = 297
      • (1) 연합운동의 배경 = 297
      • (2) 연합운동의 정신 = 298
      • 일제 말기의 한국교회 = 299
      • 일제 말기의 교회상황 = 299
      • 한국교회의 위기(危機) = 299
      • (1) 공산주의의 도전 = 299
      • (2) 기독교 사회운동의 붕괴 = 300
      • 장로교의 내분과 감리교의 연합 = 301
      • (1) 장로교의 내분 = 301
      • (2) 남·북감리교의 연합 = 302
      • 신사참배(神社參拜)와 한국교회의 수난 = 303
      • 신사참배의 강요 = 303
      • (1) 신도의 종교성 문제 = 303
      • (2) 신사참배 강요의 과정 = 303
      • 한국교회의 수난 = 304
      • (1) 기독교학교의 수난 = 304
      • (2) 교회의 탄압 = 305
      • (3) 선교사의 추방 = 306
      • (4) 기독자의 수난과 저항 = 306
      • (5) 일본 기독교 조선교단의 창립 = 309
      • 한국교회의 성장 = 310
      • 해방 후의 교회재건(敎會再建) = 312
      • 북한교회(北韓敎會) = 312
      • 공산당의 탄압 = 312
      • (1) 기독교사회민주당 사건 = 312
      • (2) 기독교자유당 사건 = 312
      • (3) 3·1절 기념행사와 교회탄압 = 312
      • (4) 주일선거 반대 = 313
      • 교회재건(敎會再建) = 314
      • (1) 출옥성도들의 재건운동 = 314
      • (2) 평북 교역자 퇴수회 = 314
      • (3) 북한 5도연합노회 = 314
      • 남한교회(南韓敎會) = 315
      • 해방과 남한교회 = 315
      • 교회재건 = 315
      • (1) 남부대회 = 316
      • (2) 장로교회 = 316
      • (3) 감리교회 = 317
      • (4) 성결교회 = 317
      • (5) 기타 교파 = 317
      • 영도권(領導權) 문제와 교파분열 = 318
      • 장로교의 분열 = 318
      • (1) 옥중성도들의 재건계획 = 318
      • (2) 독노회 = 318
      • (3) 고려신학파 = 319
      • 감리교의 분열 = 321
      • (1) 재건과 감리교회 = 321
      • (2) 부흥파 감리교회 = 321
      • (3) 평신도운동 = 321
      • 한국동란 후의 교회 = 322
      • 동란 후의 교회 복구(復舊) = 322
      • 교회의 피해 = 322
      • (1) 신도들의 수난 = 322
      • (2) 교역자들의 순교 = 322
      • 교회의 재건 = 323
      • (1) 재건연구회의 조직 = 323
      • (2) 신앙부흥운동 = 323
      • (3) 교육기관의 재건과 신설 = 323
      • (4) 특수전도운동 = 323
      • 신흥종교와 교파분열(敎派分裂) = 324
      • 신흥종교(新興宗敎)의 발생 = 324
      • (1) 신흥종교의 발생원인 = 324
      • (2) 신흥종교의 특징 = 324
      • (3) 주요 신흥종교 = 324
      • 장로교의 재분열 = 326
      • (1) 신학교 부지 매입사건 = 326
      • (2) 세계교회협의회(WCC) 탈퇴문제 = 327
      • (3) 경기노회 총대 선출문제 = 327
      • 기독교 연합사업 = 328
      • 기독청년운동(基督靑年運動) = 328
      • (1) 기독교청년회(YMCA) = 328
      • (2) 여자기독교청년회(YWCA) = 329
      • (3) 기독학생운동 = 329
      • 기독교 문화사업 = 330
      • (1) 기독교방송국(CBS) = 330
      • (2) 계명협회 = 330
      • (3) 대한기독교교육협회 = 330
      • 자선사업 = 330
      • (1) 은혜원 = 331
      • (2) 한국기독교봉사회 = 331
      • 한국교회의 성장과 과제(課題) = 332
      • 한국교회의 급속한 성장 = 332
      • 한국교회의 평신도 신학운동 = 332
      • 한국교회의 복음전도운동 = 332
      • (1) 전국 복음화운동 = 332
      • (2) 빌리 그래함 전도집회 = 333
      • (3) 77민족복음화집회 = 333
      • 한국교회의 현실참여운동 = 334
      • 한국교회의 현황(現況)과 실태(實態) = 334
      • 한국교회의 교세(敎勢) = 334
      • (1) 총괄적 현황 = 334
      • (2) 교파별 분포 = 335
      • 한국교회의 성장 = 335
      • (1) 유형별 현황 = 335
      • (2) 한국교회 성장의 문제 = 336
      • 한국교회의 과제(課題)와 전망(展望) = 336
      • 한국기독교의 과제 = 336
      • (1) 신학적 과제 = 336
      • (2) 교회적 과제 = 336
      • (3) 문화적 과제 = 337
      • 한국 교회의 전망 = 337
      • (1) 교회와 지역사회 참여 = 337
      • (2) 교파연합운동 = 337
      • (3) 선교내용의 정립 = 337
      • 교회의 본질(本質)
      • 교회의 본질(本質) = 356
      • 교회(敎會)의 의미(意味) = 358
      • 교회의 명칭(名稱) = 358
      • 구약에서의 명칭 = 358
      • 신약에서의 명칭 = 358
      • 비유적 명칭(比喩的名稱) = 359
      • (1) 그리스도의 몸 = 359
      • (2) 성령의 집 = 359
      • (3) 진리의 기둥과 터 = 359
      • (4) 위에 있는 예루살렘, 하늘의 예루살렘, 새 예루살렘 = 359
      • (5) 그리스도의 신부 = 360
      • (6) 금촛대 = 360
      • 교회의 정의(定義) = 360
      • 교회의 속성(屬性) = 360
      • (1) 교회의 통일성 = 360
      • (2) 교회의 거룩성 = 360
      • (3) 교회의 보편성 = 361
      • (4) 교회의 불멸성 = 361
      • (5) 교회의 초월성 = 361
      • (6) 교회의 진리성 = 362
      • 교회의 구분(區分) = 363
      • (1) 유형교회와 무형교회 = 363
      • (2) 전투적 교회와 승리적 교회 = 364
      • (3) 유기체로서의 교회와 조직체로서의 교회 = 364
      • 교회의 참된 표지(標識) = 365
      • (1) 말씀의 참된 전파 = 365
      • (2) 성례의 정당한 거행 = 365
      • (3) 권징의 신실한 집행 = 365
      • 교회의 신학적 이해(神學的理解) = 365
      • 교회의 신학적 의의(意義) = 365
      •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 366
      • (1) 하나님 나라의 개념 = 366
      • (2) 하나님 나라의 역사적 개념 = 367
      • (3) 하나님 나라와 무형교회 = 367
      • (4) 하나님 나라와 유형교회 = 367
      • 여러 시대의 교회 = 367
      • (1) 족장시대의 교회 = 367
      • (2) 모세 시대의 교회 = 368
      • (3) 신약시대의 교회 = 368
      • 교회(敎會)의 신앙(信仰) = 370
      • 교회신앙의 정의(定義) = 370
      • 신앙의 언어적 정의(言語的定義) = 370
      • (1) 히브리어 용법 = 370
      • (2) 헬라어 용법 = 370
      • 신앙의 성서적 정의(聖書的定義) = 371
      • (1) 구약성서의 정의 = 371
      • (2) 신약성서의 정의 = 372
      • 교회신앙(敎會信仰)의 요소(要素) = 374
      • 복음적 신앙(福音的信仰) = 374
      • 구원적 신앙(救援的信仰) = 375
      • 행위(行爲)와 신앙(信仰) = 375
      • 소망(所望)과 신앙(信仰) = 376
      • 교회신앙(敎會信仰)의 특성(特性) = 381
      • 하나님의 선물(膳物) = 381
      • 하나님에 대한 신앙(信仰) = 381
      • 그리스도 중심의 신앙 = 382
      • 인간 주체적(主體的) 신앙 = 384
      • 교회(敎會)의 사명(使命) = 385
      • 교회의 목적(目的) = 385
      • 교회사역의 의미(意味) = 385
      • 교회의 본질(本質) = 385
      • 교회의 기능(機能) = 385
      • 교회의 목적(目的) = 386
      • 교회의 교육적 사명(敎育的使命) = 387
      • 교회교육의 성서적 근거 = 387
      • 교회교육의 원리 = 387
      • (1) 교회교육의 목적 = 387
      • (2) 교회의 교육활동 = 388
      • 교회교육의 과정 = 389
      • 교회의 목회적 사명 = 389
      • 목사직의 본질 = 389
      • 설교사역(說敎使役) = 390
      • 전도와 선교사역(宣敎使役) = 391
      • 지도자양성 및 지도사역 = 391
      • 교회의 예배(禮拜) = 392
      • 예배의 의미(意味) = 392
      • 예배의 자세(姿勢) = 392
      • 예배의 기본적 요소(要素) = 393
      • (1) 설교 = 393
      • (2) 찬송 = 393
      • (3) 기도 = 393
      • (4) 헌금 = 393
      • (5) 성례전의 집행 = 393
      • (6) 축도 = 393
      • 교회의 선교적 사역 = 393
      • 선교의 의미 = 393
      • 바울의 선교사역 = 394
      • 교회의 선교적 과제 = 396
      • 교회의 친교사역 = 396
      • 친교의 의미 = 396
      • 친교의 근원 = 396
      • 교회예배 = 398
      • 예배의 역사 = 400
      • 구약시대(舊約時代)의 예배 = 400
      • 족장시대(族長時代)의 예배 = 400
      • (1) 초기 족장시대 = 400
      • (2) 모세 시대의 예배 = 400
      • 사사(士師) 및 초기 왕국시대 예배 = 402
      • (1) 예배의 형식 = 402
      • (2) 예배의 특징 = 402
      • (3) 예배의 내용 = 403
      • 예루살렘 성전예배(聖殿禮拜) = 403
      • (1) 성전건축 = 403
      • (2) 성전축제 = 403
      • (3) 성전예배의 특징 = 403
      • 포로기와 그 이후의 예배 = 404
      • (1) 회당예배 = 404
      • (2) 부활된 성전예배 = 405
      • (3) 성전예배와 회당예배의 병행 = 405
      • 신약시대(新約時代)의 예배 = 405
      • 유대교의 예배(禮拜) = 405
      • (1) 예배장소 = 405
      • (2) 예배시간 = 406
      • (3) 예배시의 기도 = 406
      • (4) 예배시의 성경사용 = 407
      • 예수 그리스도의 예배 = 407
      • (1) 예수와 성전예배 = 407
      • (2) 예수와 회당예배 = 408
      • 사도시대(使徒時代)의 예배 = 408
      • (1) 예배의 장소 = 408
      • (2) 예배의 형식 = 409
      • (3) 주의 만찬 = 409
      • 예배의 역사적 변천(歷史的變遷) = 410
      • 초대교회(初代敎會)의 예배(禮拜) = 410
      • (1) 예배의 시간 = 410
      • (2) 예배의 내용 = 410
      • (3) 성례전 = 410
      • 중세기(中世期)의 예배 = 411
      • (1) 고대 가톨릭 시대의 예배 = 411
      • (2) 중세 가톨릭 시대의 예배 = 411
      • (3) 로마 가톨릭 예배의 특징 = 412
      • 종교개혁기(宗敎改革期)의 예배 = 412
      • (1) 루터 교회의 예배 = 412
      • (2) 칼빈주의의 예배 = 413
      • (3) 급진적 개혁파의 예배 = 413
      • (4) 종교개혁 이후의 예배 = 414
      • 예배의 본질적 의미 = 415
      • 예배(禮拜)의 본질(本質) = 415
      • 예배의 정의(定義) = 415
      • (1) 언어적 정의 = 415
      • (2) 신학적 정의 = 416
      • 예배의 근거(根據) = 417
      • (1) 하나님 = 417
      • (2) 교회 = 417
      • 예배의 본질(本質)과 목적 = 418
      • (1) 예배의 본질 = 418
      • (2) 예배의 목적 = 419
      • 예배(禮拜)의 성격(性格) = 419
      • 예배의 신성(神性) = 419
      • (1) 참된 예배의 기본원리 = 419
      • (2) 삼위일체 하나님과 예배 = 420
      • 예배의 영성(靈性) = 420
      • (1) 신령한 예배의 의미 = 420
      • (2) 신령한 예배의 방법 = 421
      • (3) 신령한 예배의 결과 = 421
      • 예배의 진실성 = 422
      • (1) 진정한 예배의 의미 = 422
      • (2) 진정한 예배의 방법 = 422
      • 예배와 제사 = 422
      • (1) 영적 제사의 의미 = 422
      • (2) 영적 제사의 방법 = 423
      • 예배의 가치(價値) = 424
      • 예배의 필요성 = 424
      • (1) 그리스도의 명령 = 424
      • (2) 성령의 역사 = 425
      • (3) 구원의 역사적 실현과정 = 425
      • (4) 하나님 나라 = 426
      • 예배의 가치(價値) = 426
      • (1) 심리적 가치 = 426
      • (2) 교육적 가치 = 427
      • (3) 사회적 가치 = 427
      • 예배의 구성요소 = 428
      • 예배의 본질적 요소 = 428
      • 예배의 대상 = 428
      • (1) 하나님 중심의 예배 = 428
      • (2) 그리스도 중심의 예배 = 428
      • (3) 영적 예배 = 428
      • 예배자(禮拜者) = 428
      • (1) 예배의 인도자 = 428
      • (2) 예배의 참석자 = 429
      • 예배환경(예배당) = 430
      • (1) 설교대 = 430
      • (2) 성찬대 = 430
      • (3) 세례반 = 430
      • (4) 회중석 = 430
      • (5) 성가대성 = 430
      • 예배의 구성적 요소 = 431
      • 설교(말씀선포) = 431
      • (1) 예배와 설교 = 431
      • (2) 은혜의 도구 = 431
      • 기도(祈禱) = 432
      • (1) 예배와 기도 = 432
      • (2) 공중기도의 원칙 = 432
      • (3) 기도의 형태 = 432
      • 성례전(聖禮典) = 432
      • (1) 세례 = 432
      • (2) 성찬식 = 434
      • 헌신과 찬양 = 435
      • (1) 헌신 = 435
      • (2) 찬양 = 435
      • 예배의 보조적 요소 = 435
      • 음악 = 435
      • (1) 예배와 음악 = 435
      • (2) 찬송가의 선택 = 436
      • 건축양식 = 436
      • 상징 = 436
      • (1) 상징적 표현의 가치 = 436
      • (2) 예배에 적합한 상징 = 437
      • 예배의 실제 = 438
      • 예배의 기본원리 = 438
      • 계시(啓示)와 원리 = 438
      • 성령과 예배 = 438
      • 공동체적 예배 = 439
      • 예배와 증거(證據) = 439
      • 예배의 종류와 특성 = 439
      • 공동예배 = 439
      • (1) 공동예배의 의의 = 439
      • (2) 구약의 공동예배 = 439
      • (3) 신약의 공동예배 = 440
      • 결혼예배 = 441
      • (1) 결혼예배의 의의 = 441
      • (2) 예배순서 = 441
      • 장례예배(葬禮禮拜) = 441
      • 예배의 순서와 성격 = 441
      • 개회순서 = 441
      • (1) 전주 = 441
      • (2) 개회찬송 = 442
      • (3) 예배에의 부름 = 442
      • 말씀의 선포 = 442
      • (1) 성경봉독 = 442
      • (2) 기도 = 442
      • (3) 신앙고백 = 442
      • (4) 죄의 고백 = 443
      • (5) 설교 = 443
      • 감사의 응답 = 443
      • (1) 시편과 찬송 = 443
      • (2) 헌금 = 443
      • (3) 축도 = 444
      • 예배와 교회력(敎會曆) = 444
      • 교회력의 형성과 의미 = 444
      • (1) 교회력의 형성사 = 444
      • (2) 교회력의 예배학적 의미 = 446
      • 절기(節期)의 특성과 색깔 = 446
      • (1) 강림절 = 447
      • (2) 크리스마스 = 447
      • (3) 현현절 = 447
      • (4) 수난절 = 447
      • (5) 부활절 = 447
      • (6) 오순절 = 447
      • 교회예술 = 448
      • 교회음악(敎會音樂) = 450
      • 교회음악의 본질(本質) = 450
      • 교회음악의 정의(定義) = 450
      • 교회음악의 구성요소 = 450
      • (1) 영적 메시지로서의 음악 = 450
      • (2) 메신저로서의 연주자 = 451
      • (3) 청중 = 451
      • 교회음악의 내용(內容) = 451
      • (1) 예배와 음악 = 451
      • (2) 교회음악의 내용별 구분 = 452
      • 교회음악의 역사(歷史) = 454
      • 고대(古代) 기독교음악 = 454
      • (1) 구약시대 음악 = 454
      • (2) 신약시대와 초대교회의 음악 = 454
      • 중세(中世) 교회음악 = 455
      • (1) 중세 초기의 음악 = 455
      • (2) 로마네스크 시대의 교회음악 = 456
      • (3) 고딕 시대의 교회음악 = 456
      • 종교개혁 이후의 교회음악 = 456
      • (1) 종교개혁시대 = 456
      • (2) 바로크 시대 = 457
      • (3) 고전파 시대 = 457
      • 현대(現代) 교회음악 = 457
      • (1) 영국의 개신교음악 = 457
      • (2) 복음찬송가 = 458
      • 한국 교회음악 = 459
      • 찬송가 이해(理解) = 460
      • 찬송의 목적 및 방법 = 460
      • (1) 찬송의 목적 = 460
      • (2) 바른 찬송 = 460
      • (3) 찬송가의 구성 = 461
      • (4) 찬송가 선택 = 462
      • 회중찬송(會衆讚頌)의 형성 = 462
      • (1) 독일 찬송가의 형성 = 463
      • (2) 프랑스의 운율시편가 = 463
      • (3) 영국의 회중찬송가 형성 = 465
      • (4) 미국의 회중찬송가 형성 = 465
      • 회중찬송의 전망(展望) = 466
      • 성가대(聖歌隊) 운영(運營) = 467
      • 성가대의 기능(機能) = 467
      • (1) 성가대의 목적 = 467
      • (2) 성가대의 기능 = 467
      • 성가대의 역사 = 467
      • (1) 기원 = 467
      • (2) 변천 = 467
      • 성가대 운영의 실제(實際) = 468
      • (1) 조직 = 468
      • (2) 자격 = 468
      • (3) 연습 및 연주 = 468
      • (4) 성가대실 = 469
      • (5) 성가대의 복장 = 469
      • (6) 성가대 지휘자의 임무 = 469
      • (7) 성가대의 활동계획 = 470
      • 교회미술(敎會美術) = 471
      • 교회미술의 역사(歷史) = 471
      • 초기(初期)의 교회미술 = 471
      • 중세시대의 교회미술 = 474
      • (1) 비잔틴 시대의 교회미술 = 474
      • (2) 로마네스크 시대의 교회미술 = 475
      • (3) 고딕 시대의 교회미술 = 476
      • 르네상스 시대의 교회미술 = 477
      • 근대(近代)의 교회미술 = 479
      • 한국의 교회미술(敎會美術) = 480
      • 한국교회미술의 기원(起源) = 480
      • 초기의 한국교회미술 = 480
      • 현대의 한국교회미술 = 482
      • 기독교 미술가 = 483
      • 16세기의 기독교 미술가 = 483
      • (1) 미켈란젤로 = 483
      • (2) 봇티첼리 = 483
      • (3) 피에로 디 코지모 = 483
      • 17세기의 기독교 미술가 = 484
      • (1) 루벤스 = 484
      • (2) 야콥 요르단스 = 484
      • (3)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 484
      • 19세기의 기독교 미술가 = 484
      • (1) 허어 버어트 = 484
      • (2) 리비에어 = 485
      • (3) 야콥 F. 스타인 = 485
      • 20세기의 기독교 미술가 = 485
      • (1) 윌리엄 홀만 한트 = 485
      • (2) 조르쥬 루오 = 485
      • (3) 포드 마독스 브라운 = 485
      • 교회건축(敎會建築) = 486
      • 교회건축의 역사(歷史) = 486
      • 구약의 성전건축(聖殿建築) = 486
      • 초대교회시대의 교회건축 = 486
      • 중세의 교회건축 = 488
      • (1) 비잔틴 양식의 교회건축 = 488
      • (2)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건축 = 488
      • (3) 고딕 양식의 교회건축 = 488
      • 근대 교회건축 = 489
      • 현대 교회건축 = 489
      • 교회건축의 이론 = 490
      • 교회건축의 원리 = 490
      • 교회건축의 추세 = 491
      • 교회건축의 실제 = 492
      • 교회의 음향(音響) = 492
      • (1) 교회의 음향상태 = 492
      • (2) 교회의 음향계획 = 501
      • (3) 교회의 음향설계 = 501
      • 교회의 조명(照明) = 502
      • 한국의 교회건축 = 503
      • 초기의 교회건축 = 503
      • 해방 후의 교회건축 = 503
      • 교회목회(敎會牧會) = 506
      • 목회(牧會)의 본질 = 510
      • 교회목회의 의미 = 510
      • 교회목회의 구조 = 510
      • (1) 목회의 주체 = 510
      • (2) 목회의 대상 = 510
      • 교회목회의 정의 = 511
      • (1) 언어적 의미 = 511
      • (2) 목회의 정의 = 512
      • 교회목회의 기능 = 512
      • 선포적 기능 = 512
      • (1) 목회의 본래적 의무 = 512
      • (2) 선포의 의미 = 512
      • (3) 선포의 대상 = 512
      • 치유적 기능 = 513
      • (1) 목회의 실천적 의무 = 513
      • (2) 치유의 의미 = 513
      • (3) 위로를 통한 치유 = 513
      • (4) 교육을 통한 치유 = 514
      • 교회목회의 내용 = 514
      • 하나님 나라의 개념 = 514
      • (1) 하나님의 통치 = 514
      • (2) 악의 세력과의 투쟁 = 514
      • 하나님 나라의 도래 = 515
      • 하나님 나라에 대한 증언 = 515
      • 교회목회의 수단 = 516
      • 설교(說敎) = 516
      • 교회행정 = 516
      • (1) 조직관리 = 517
      • (2) 인사관리 = 517
      • (3) 재정관리 = 517
      • 목회심방 = 517
      • (1) 심방의 자세 = 517
      • (2) 심방계획 = 518
      • 교회교육 = 518
      • 교회목회의 미래 = 522
      • 희망의 목회 = 522
      • 만남의 목회 = 522
      • 공동목회 = 523
      • 목회사역(牧會使役) = 524
      • 목회사역의 성서적 이해 = 524
      • 성서적 의미(意味) = 524
      • (1) 종과 목회사역 = 524
      • (2) 목자와 목회사역 = 524
      • (3) 아들과 목회사역 = 524
      • 역사적(歷史的) 의미 = 525
      • (1) 초대교회 = 525
      • (2) 박해시대 = 525
      • (3) 기독교문화시대 = 525
      • (4) 암흑시대 = 525
      • (5) 중세 기독교왕국시대 = 525
      • (6) 개혁시대 = 525
      • (7) 계몽주의시대 = 526
      • (8) 후기 기독교왕국시대 = 526
      • 목회사역의 성격 = 526
      • 목회사역의 관심 = 526
      • (1) 화해의 성격 = 526
      • (2) 훈련의 성격 = 526
      • (3) 격려의 성격 = 526
      • (4) 봉사의 성격 = 527
      • 목회사역과 인간이해 = 527
      • 목회사역의 범위 = 528
      • 목회사역의 기능 = 528
      • 치유(治癒) = 528
      • (1) 그리스도의 치유사역 = 529
      • (2) 제자들의 치유사역 = 529
      • (3) 초대교회시대의 치유사역 = 529
      • 지탱(支撑) = 530
      • (1) 보존 = 530
      • (2) 위로 = 530
      • (3) 결속 = 530
      • (4) 구속 = 531
      • 인도(引導) = 531
      • 화해(和解) = 532
      • (1) 용서 = 532
      • (2) 권징 = 533
      • 설교(說敎)의 원리(原理) = 534
      • 설교의 역사(歷史) = 534
      • 설교의 구약적(舊約的) 기원 = 534
      • 설교의 신약적(新約的) 기원 = 534
      • 초대교회의 설교 = 534
      • 중세교회의 설교 = 535
      • 종교개혁시대의 설교 = 536
      • (1) 쯔빙글리 = 536
      • (2) 루터 = 536
      • (3) 칼빈 = 536
      • 종교개혁 후의 설교 = 536
      • (1) 영국의 위대한 설교자 = 537
      • (2) 미국의 유명한 설교자 = 537
      • 설교의 정의(定義) = 538
      • 설교의 성서적 근거 = 538
      • 설교의 신학적 이해 = 539
      • 설교의 본질(本質) = 539
      • 설교의 목적 = 539
      • 신학적 목적(神學的目的) = 539
      • 신앙적 목적(信仰的目的) = 540
      • 목회적 목적(牧會的目的) = 541
      • 설교의 실제(實際) = 542
      • 설교의 종류(種類)와 특징 = 542
      • 설교의 구분(區分)과 분류(分類) = 542
      • (1) 제목설교 = 542
      • (2) 본문설교 = 542
      • (3) 강해설교 = 543
      • 설교의 형식과 방법에 의한 종류 = 543
      • (1) 질의식 설교 = 543
      • (2) 사디리형(또는 망원경식) 설교 = 543
      • (3) 보석설교 = 543
      • (4) 분류식 설교 = 543
      • (5) 헤겔식 설교 = 544
      • (6) 주제별 설교 = 544
      • (7) 반박설교 = 544
      • (8) 문제해결식 설교 = 544
      • 설교의 대상에 의한 설교 = 544
      • (1) 예식설교 = 544
      • (2) 예배설교 = 545
      • 설교의 구조와 방법 = 546
      • 설교의 구조(構造) = 546
      • (1) 제목 = 546
      • (2) 서론 = 547
      • (3) 본론 = 547
      • (4) 결론 = 548
      • 설교의 방법 = 548
      • (1) 전달방법 = 548
      • (2) 설교 구연방법 = 549
      • 설교자(說敎者)와 회중(會衆) = 550
      • 설교자의 자질과 생활 = 550
      • (1) 설교자의 자질 = 550
      • (2) 설교자의 자세 = 550
      • (3) 설교자의 생활 = 550
      • 회중(會衆)의 자세(姿勢) = 551
      • 설교자와 회중의 관계 = 552
      • 목회상담(牧會相談) = 553
      • 목회상담의 정의 = 553
      • 목회상담의 개념 = 553
      • 목회상담의 성서적 근거 = 553
      • 목회상담의 역사적 배경 = 553
      • 목회상담의 의미와 목표 = 554
      • 목회상담의 초점과 그 전망 = 555
      • (1) 목회상담의 초점 = 555
      • (2) 목회상담의 전망 = 555
      • 목회상담의 원리 = 556
      • 목회상담의 필요성 = 556
      • 목회상담의 역할 = 556
      • 목회상담의 방법 = 557
      • (1) 지시적 상담방법 = 557
      • (2) 비지시적 상담방법 = 557
      • 목회상담의 이론 = 558
      • 목회상담 이론의 중요성 = 558
      • (1) 상담이론의 정의 = 558
      • (2) 상담이론의 필요성 = 559
      • 목회상담 이론의 분류 = 559
      • 심리학적 상담이론 = 559
      • 성서적 상담이론 = 560
      • (1) 아담스의 상담이론 = 560
      • (2) 크랩의 상담이론 = 562
      • 목회상담의 실제 = 563
      • 목회자와 상담 = 563
      • 목회상담의 윤리 = 564
      • 목회상담의 순서 = 565
      • (1) 준비 = 565
      • (2) 안정의 부여 = 565
      • (3) 규명 = 565
      • (4) 표출순서 = 566
      • (5) 재점검순서 = 566
      • (6) 종결순서 = 566
      • (7) 습관을 들이는 순서 = 566
      • 목회상담의 평가 = 566
      • 교회제직(敎會諸職) 훈련 = 568
      • 교회제직의 직무 = 568
      • 제직(諸職)의 정의 = 568
      • (1) 언어의 정의 = 568
      • (2) 성서의 정의 = 568
      • 제직(諸職)의 사명 = 569
      • 교회제직 훈련의 실제 = 570
      • 제직훈련의 의의(意義) = 570
      • 제직훈련의 목적 = 571
      • 제직훈련의 실천 = 571
      • (1) 훈련의 시기 = 571
      • (2) 훈련의 방법 = 571
      • (3) 훈련의 진행 = 572
      • (4) 훈련 담당자 = 574
      • (5) 훈련의 내용 = 576
      • 종합목회계획 = 577
      • 목회계획의 본질 = 577
      • 계획의 일반적 개념 = 577
      • 목회계획의 개념 = 577
      • 목회계획의 중요성 = 578
      • 목회행정의 기초 = 578
      • 목회성공의 조건 = 578
      • 능률적인 목회의 조건 = 578
      • 목회계획의 실제 = 579
      • 목회계획의 작성 = 579
      • (1) 정확한 상황판단 = 579
      • (2) 대상의 정확한 파악 = 579
      • (3) 목회자의 믿음과 역량의 파악 = 579
      • 설교계획 = 580
      • 심방계획 = 580
      • 교육계획 = 583
      • (1) 교육목회계획의 정의와 문제점 = 583
      • (2) 교육목회계획의 과정 = 583
      • (3) 교육목회계획서의 실례 = 584
      • 종합목회계획표 = 586
      • 교회개발(敎會開發) = 592
      • 교회와 현대사회(現代社會) = 594
      • 산업사회(産業社會) 속의 교회 = 594
      • 현대 산업사회의 특징 = 594
      • (1) 규격화 = 594
      • (2) 분업화 = 594
      • (3) 중앙집권화 = 594
      • 사회 속의 현대교회 = 595
      • 교회의 현대적 이해 = 595
      • 교회의 의미(意味) = 595
      • 현대사회와 교회의 본질 = 596
      • 현대교회의 지표(指標) = 596
      • (1) 교회의 갱신 = 597
      • (2) 메시야적 교회 = 597
      • 미래(未來)의 교회 = 598
      • 선교(宣敎)의 의미 = 598
      • (1) 선교의 성서적 개념 = 598
      • (2) (하나님의 선교)의 내용 = 599
      • (3) (하나님의 선교)의 목적 = 600
      • 개방적(開放的) 교회 = 600
      • (1) 선교에의 참여 = 601
      • (2) 하나님과 세계와 교회 = 601
      • (3) 개방적 교회 = 602
      • 교회개발(敎會開發)의 의의(意義) = 603
      • 교회개발의 본질(本質) = 603
      • 교회개발의 정의(定義) = 603
      • 교회개발의 목표(目標) = 603
      • 교회개발의 양극원리(兩極原理) = 604
      • (1) 하나님 중심적 원리 = 604
      • (2) 인간지향적 원리 = 605
      • 교회개발의 과정(過程) = 606
      • 교회개발의 일반적 과정 = 606
      • 교회개발의 절차(節次) = 606
      • (1) 현황파악 = 606
      • (2) 계획 = 607
      • (3) 조직 = 607
      • (4) 실행 = 608
      • (5) 평가 = 609
      • 교회개발의 실제(實際) = 610
      • 예배와 교육(敎育) = 610
      • 구속적(拘束的) 인간관계 형성 = 610
      • 창조적 그룹 형성 = 610
      • 선교훈련(宣敎訓練) = 611
      • 종합목회(牧會) 계획 = 611
      • 자원활용(資源活用) = 611
      • 교회지도력 개발 = 613
      • 교회와 지도력 = 613
      • 교회지도력의 신학적 기초 = 613
      • (1) 지도력의 이해 = 613
      • (2) 지도력의 정의 = 613
      • 지도력 개발의 방향 = 614
      • (1) 사랑 = 614
      • (2) 모범 = 614
      • (3) 가르침 = 614
      • 교회지도력 개발의 목표 = 614
      • (1) 기본적 목표 = 614
      • (2) 구체적 목표 = 615
      • 성서의 지도력 = 615
      • 구약 지도자들의 지도력 = 615
      • (1) 모세 = 615
      • (2) 다윗 = 616
      • (3) 느헤미야 = 617
      • 신약의 지도자 유형(類型) = 618
      • (1) 은사를 받은 지도자 = 618
      • (2) 초대교회의 지도자 = 619
      • (3) 성서적 지도력 원리 = 621
      • 교회지도자의 요건 = 621
      • 지도력의 주요 특성 = 621
      • 지도력과 그룹의 연관성 = 622
      • 지도력의 유형과 지도자의 역할 = 623
      • (1) 지도력의 유형과 특징 = 623
      • (2) 지도자의 역할 = 625
      • 교회(敎會) 평신도훈련(平信徒訓練) = 626
      • 평신도의 역할 = 626
      • 평신도의 성서적 개념 = 626
      • 현대의 평신도이해 = 627
      • 평신도의 직무수행 요건 = 628
      • 평신도활동의 내용 = 628
      • (1) 성도의 교제 = 628
      • (2) 공동체의 강화 = 629
      • (3) 선교 = 629
      • 평신도훈련의 실제 = 629
      • 평신도의 교육 = 629
      • 평신도훈련의 실천(實踐) = 630
      • (1) 신앙훈련 = 630
      • (2) 지도자 양성 = 631
      • (3) 책임수행 훈련 = 632
      • 교회의 소그룹 훈련 = 634
      • 소그룹의 필요성 = 634
      • 소그룹 훈련의 원리 = 635
      • (1) 문제해결 = 635
      • (2) 계획수립 = 635
      • (3) 인간의 변화 = 635
      • (4) 안정된 소속감 = 635
      • 소그룹 훈련의 실제 = 635
      • (1) 과제역할 = 635
      • (2) 그룹형성의 역할 = 635
      • 교회의 선교(宣敎)
      • 선교의 본질 = 638
      • 교회의 선교적 사명 = 640
      • 선교의 구약적 근거 = 640
      • 선교활동의 근거 = 640
      • (1) 하나님의 창조 = 640
      • (2) 하나님의 통치 = 640
      • (3) 하나님의 유일성 = 640
      • (4) 하나님의 자비 = 640
      • (5) 하나님의 언약 = 640
      • (6) 하나님의 활동 = 641
      • 요나서의 선교적 근거 = 641
      • (1) 요나서의 특징 = 641
      • (2) 제목과 기록연대 = 641
      • 선교의 신약적 근거 = 642
      • 복음서 = 642
      • (1) 임박한 하나님 나라와 그 중간기 = 642
      • (2) 선교명령 = 642
      • (3) 임한 하나님 나라와 장차 임할 하나님 나라 = 643
      • 사도행전 = 643
      • (1) 그리스도의 활동 = 643
      • (2) 종말론적 성격 = 644
      • (3) 하나님의 선교 = 644
      • 바울 서신(書信) = 644
      • (1) 하나님의 자기계시 = 644
      • (2) 복음의 본질 = 645
      • (3) 교회의 본질 = 645
      • (4) 인간의 궁지 = 647
      • 교회의 선교적 의미 = 647
      • 교회의 선교사명 = 647
      • (1) 교회의 사도직 = 647
      • (2) 교회의 선교 = 649
      • 교회의 선교구조 = 650
      • (1) 메시야적 공동체 = 650
      • (2) 교회의 선교적 구조 = 650
      • 교회선교(敎會宣敎)의 역사 = 651
      • 초기선교(初期宣敎)의 역사 = 651
      • 사도(使徒)들의 선교 = 651
      • (1) 선교의 사명 = 651
      • (2) 사도시대의 선교방법 = 651
      • (3) 사도시대 선교사업의 발전 = 652
      • 초대교회시대의 선교 = 652
      • (1) 확장 = 652
      • (2) 성장과 영향 = 653
      • (3) 핍박 = 653
      • 중세시대의 선교 = 654
      • (1) 초기 유럽시대의 선교 = 654
      • (2) 중세 후기의 선교 = 656
      • 근대교회의 선교 = 657
      • 개신교 선교의 확장 = 657
      • (1) 독일의 경건주의 = 657
      • (2) 덴마크 할레 선교회 = 657
      • (3) 모라비안 선교회 = 657
      • (4) 복음적 각성 = 657
      • (5) 영국의 선교활동 = 658
      • (6) 미국의 선교활동 = 658
      • 19세기의 개신교 선교 = 659
      • (1) 선교회의 형성 = 659
      • (2) 선교사 수용상태 = 659
      • (3) 선교사들 = 659
      • (4) 선교업적 = 660
      • 20세기의 개신교선교 = 660
      • (1) 신앙선교운동 = 660
      • (2) 성서학원운동 = 660
      • (3) 학생지원자운동 = 661
      • (4) 식민주의의 붕괴 = 661
      • (5) 제3세계 선교 = 661
      • 한국교회 선교의 역사 = 662
      • 한국선교의 시작 = 662
      • (1) 한국의 개신교 전래 = 662
      • (2) 한국선교의 성공 = 662
      • 한국의 선교기구와 정책 = 663
      • (1) 선교부의 설립 = 663
      • (2) 선교정책 = 663
      • 한국선교의 발전 = 664
      • 한국교회의 선교운동(宣敎運動) = 665
      • 선교의 현대적 의미 = 666
      • 선교의 의미 = 666
      • 선교의 개념 = 666
      • 선교의 동기 = 666
      • (1) 그리스도를 향한 사랑 = 666
      • (2) 그리스도의 주권 = 666
      • (3) 하나님의 뜻 = 666
      • (4) 그리스도와의 일치 = 667
      • (5) 하나님의 백성과의 일치 = 667
      • 선교의 내용 = 667
      • 선교의 사명 및 자세 = 667
      • 선교의 새로운 이해 = 668
      • 선교구조의 변화 = 668
      • 하나님의 선교 = 669
      • (1) 선교의 개념 = 669
      • (2) 선교의 목표 = 670
      • 선교의 방향 = 671
      • 선교의 장(場) = 672
      • 흩어지는 교회의 유형 = 672
      • 도시 = 674
      • (1) 도시의 발생원인 = 674
      • (2) 도시의 종류 = 674
      • (3) 도시의 특성 = 674
      • (4) 교회의 자세 = 674
      • 농촌 = 675
      • (1) 농업과 농토의 보존문제 = 675
      • (2) 교육·행정·보건시설의 문제 = 675
      • (3) 문화적 여건의 결핍 = 675
      • (4) 교회의 위치 = 675
      • 복음전도의 원리 = 676
      • 복음전도(福音傳道)의 전략 = 676
      • 복음전도의 동기 = 676
      • (1) 자기 사랑의 실현 = 676
      • (2) 이웃 사랑의 실현 = 676
      • (3) 하나님 사랑의 실현 = 677
      • 복음전도의 목적 = 677
      • (1) 영혼의 구원 = 677
      • (2) 교회의 성장 = 678
      • (3) 하나님 나라의 도래 = 678
      • (4) 하나님의 영광 = 678
      • 복음전도의 방법 = 679
      • 복음전도의 수단 = 679
      • (1) 믿음 = 679
      • (2) 행위의 모범 = 680
      • (3) 종교적 체험 = 680
      • (4) 기도 = 681
      • 복음전도의 방법 = 681
      • (1) 교회 중심의 전도 = 681
      • (2) 교육 중심의 전도 = 681
      • (3) 현대적 전도 = 683
      • (4) 네비우스 전도방법 = 683
      • 복음전도의 상호협력 = 684
      • (1) 교회와 국가 = 684
      • (2) 기독교와 타종교 = 685
      • (3) 정통과 이단 = 686
      • (4) 구교와 개신교 = 686
      • (5) 복음주의교회의 연합전도 = 687
      • 복음전도의 효과(效果) = 688
      • 복음전도의 성과 = 688
      • (1) 복음의 전달수단 = 688
      • (2) 회개의 역사 = 688
      • 복음전도의 승리 = 689
      • 교회의 선교운동 = 690
      • 선교기구(宣敎機構)와 조직 = 694
      • 세계 선교운동 = 694
      • 세계 선교운동의 역사(歷史) = 694
      • (1) 세계 선교운동의 기원 = 694
      • (2) 해외 선교기구의 형성과정 = 694
      • (3) 세계 선교기구의 통합과정 = 694
      • 세계 선교운동의 동향(動向) = 695
      • (1) 교회의 계속적 선교활동 = 695
      • (2) 에큐메니칼 운동 = 696
      • (3) 선교의 구체화 = 696
      • (4) 선교의 전문화 = 697
      • 국제 선교기구(國際宣敎機構) = 697
      • 교파별 세계기구(敎派別世界機構) = 697
      • (1) 루터교 세계연맹 = 697
      • (2) 세계 개혁교회 연맹 = 697
      • (3) 세계 감리교대회 = 698
      • (4) 침례교 세계연맹 = 698
      • 교회연합운동 기구 = 698
      • (1) 세계교회협의회 = 698
      • (2) 아시아 교회협의회 = 700
      • (3) 보수주의적 선교 = 701
      • 초교파적 선교기구(超敎派的宣敎機構) = 703
      • (1) 청년·여성 선교기구 = 703
      • (2) 사회봉사기구 = 703
      • (3) 방송·문서 선교기구 = 703
      • (4) 기타 선교기구 = 704
      • 한국 선교기구(宣敎機構) = 705
      • 교단연합기구(敎團聯合機構) = 705
      • (1) 한국 기독교 교회협의회 = 705
      • (2) 한국 예수교협의회 = 705
      • (3) 한국 복음주의협회 = 705
      • 청년·학생선교기구 = 706
      • (1) 한국 기독학생 총연맹 = 706
      • (2)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 대한기독교 여자청년회 = 706
      • (3) 한국 기독청년 협의회 = 706
      • (4) 한국 대학생선교회 = 706
      • 사회선교기구(社會宣敎機構) = 706
      • (1) 한국 사회선교협의회 = 706
      • (2) 도시 산업선교회 = 706
      • (3) 크리스찬 아카데미 = 707
      • 사회봉사기구(社會奉仕機構) = 707
      • (1) 한국 기독교선명회 = 707
      • (2) 한국 기독실업인회 = 707
      • (3) 한국 기드온 협회 = 707
      • 방송·문서선교기구 = 707
      • (1) 방송선교 = 707
      • (2) 문서선교 = 707
      • 기타 선교기구(宣敎機構) = 708
      • (1) 베델성서 연구원 = 708
      • (2) 특수선교기구 = 708
      • 선교정책(宣敎政策)과 방향(方向) = 709
      • 세계 선교정책(世界宣敎政策) = 709
      • 선교의 고전적 이해(理解) = 709
      • (1) 선교의 어원적 의미 = 709
      • (2) 이방인 = 709
      • (3) 고전적 선교의 이해문제 = 709
      • 인간화운동(人間化運動) = 710
      • (1) 인간화운동의 시작 = 710
      • (2) 인간화운동의 신학적 이해 = 710
      • 복음화운동의 이해 = 711
      • (1) 복음화운동의 입장 = 711
      • (2) 복음화운동의 정책 = 711
      • 에큐메니칼 선교의 방향 = 711
      • 보수주의 선교(保守主義宣敎) = 711
      • (1) 복음주의연맹의 결성 = 711
      • (2) 복음주의 세계대회 = 711
      • 진보주의 선교(進步主義宣敎) = 712
      • (1) 책임사회의 건설 = 712
      • (2) 혁명의 신학으로의 전환 = 713
      • (3) 해방신학과 인종차별 투쟁사업 = 713
      • 에큐메니칼 선교의 미래 = 713
      • (1)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대립 = 713
      • (2) 상호보완과 수정의 과제 = 714
      • 한국교회의 선교정책 = 715
      • 교단별 선교운동(敎團別宣敎運動) = 715
      • (1) 감리교단의 선교정책 = 715
      • (2) 예수교 장로회(통합)의 선교정책 = 715
      • (3) 기독교 장로회의 선교정책 = 716
      • (4) 침례교단의 선교정책 = 716
      • 사회선교운동 = 716
      • (1) 현대 선교신학과 한국교회 = 716
      • (2) 도시 산업선교 = 716
      • (3) 한국교회 사회선교의 과제 = 717
      • 복음전도(福音傳道)의 실제(實際) = 718
      • 전도(傳道)의 본질(本質) = 718
      • 성서적(聖書的) 근거 = 718
      • (1) 구약성서의 전도 = 718
      • (2) 신약성서의 전도 = 719
      • 신학적(神學的) 이해 = 719
      • (1) 전도의 창시자로서의 성부 = 719
      • (2) 전도의 창시자로서의 성자 = 720
      • (3) 전도의 창시자로서의 성령 = 720
      • 전도사역(傳道使役)의 기초와 본질 = 720
      • (1) 하나님의 사역으로서의 전도 = 720
      • (2) 전도사업의 기초 = 721
      • 전도(傳道)의 현장(現場) = 721
      • 교회전도(敎會傳道)의 이해(理解) = 721
      • (1) 교회와 전도의 관계 = 721
      • (2) 교회와 사도직 = 721
      • (3) 사도직의 의미 = 721
      • 전도의 행위자(行爲者) = 722
      • (1) 조직체로서의 교회 = 722
      • (2) 유기체로서의 교회(성도) = 722
      • 전도(傳道)의 메시지 = 722
      • (1) 회개의 복음 = 722
      • (2) 구원의 복음 = 723
      • (3) 중생의 복음 = 723
      • 전도(傳道)의 분야(分野) = 724
      • 학원(學園) 전도 = 724
      • (1) 학원전도의 의미 = 724
      • (2) 학원전도의 유형 = 724
      • (3) 교회와 학원전도 = 724
      • 군선교(軍宣敎) = 724
      • (1) 군선교의 의의 = 724
      • (2) 군대의 특징과 선교 = 729
      • 병원(病院) 전도 = 729
      • (1) 일반병원 전도 = 729
      • (2) 기독병원 전도 = 729
      • (3) 결신환자 관리 = 729
      • 기독교의 사회선교 = 730
      • 도시근로자선교(都市勤勞者宣敎) = 734
      • 한국사회 속의 선교 = 734
      • 한국사회의 변화 = 734
      • 사회변화의 문제 = 734
      • (1) 인구이동 = 734
      • (2) 빈민가 = 734
      • (3) 노동계층 = 734
      • (4) 교육인구의 팽창 = 735
      • (5) 여가 = 735
      • 한국교회의 변화 = 735
      • (1) 신축성 = 735
      • (2) 다양성 = 736
      • (3) 평신도훈련 = 736
      • (4) 소그룹운동 = 736
      • (5) 협동운동 = 736
      • 근로자선교의 실태 = 736
      • 전통적인 전도방법 = 736
      • (1) 지역교회 = 736
      • (2) 노동센터 = 737
      • (3) 공장목회 = 737
      • (4) 교단의 선교활동 = 737
      • 도시근로자 선교방법 = 737
      • (1) 계몽의 의미와 목표 = 737
      • (2) 계몽의 방법 = 737
      • (3) 계몽의 자세 = 738
      • 도시산업선교(都市産業宣敎) = 738
      • (1) 역사 = 738
      • (2) 현황 = 738
      • 근로자 선교의 미래 = 739
      • 선교내용의 변화 = 739
      • (1) 공업화에 대한 이해 = 739
      • (2) 전인교육의 확립 = 740
      • (3) 복지사회 = 740
      • 선교방법의 변화 = 740
      • (1) 교구목회 = 740
      • (2) 팀목회방법 = 740
      • (3) 평신도운동 = 740
      • 청소년선교(靑少年宣敎) = 741
      • 교회청소년 = 741
      • 교회청소년 이해 = 741
      • (1) 교회의 청소년문화 = 741
      • (2) 기독교 청소년문화 형성의 배경 = 741
      • 교회청소년의 의식구조 = 742
      • (1) 신앙에 대한 반응 = 742
      • (2) 교회에의 적응과정 = 742
      • (3) 새로운 친구의식 = 742
      • (4) 가정문제 = 743
      • (5) 학교문제 = 743
      • (6) 이성문제 = 743
      • 청소년 전도활동 = 744
      • 청소년전도의 요소 = 744
      • (1) 복음전도의 주제 = 744
      • (2) 복음전도의 대상 = 744
      • (3) 청소년방문 = 744
      • (4) 청소년전도활동의 조건 = 745
      • (5) 지도자 = 745
      • 청소년전도의 과정 = 745
      • (1) 전도의 발단 = 745
      • (2) 복음의 내용 = 745
      • (3) 전도의 결과 = 747
      • 병원선교(病院宣敎) = 748
      • 병원선교(病院宣敎)의 본질 = 748
      • 병원선교의 성서적(聖書的) 기초 = 748
      • (1) 치유의 구약성서적 기초 = 748
      • (2) 치유의 신약성서적 기초 = 749
      • 병원선교의 신학적(神學的) 기초 = 750
      • (1) 치유와 하나님의 뜻 = 750
      • (2) 치유선교 = 751
      • 병원선교의 역사적(歷史的) 기초 = 751
      • 한국의 병원선교(病院宣敎) = 752
      • 병원선교의 토착과정(土着過程) = 752
      • 한국 기독병원의 역사 = 752
      • 병원선교의 실태(實態) = 753
      • (1) 병원선교의 현황 = 753
      • (2) 병원선교에 있어서의 교회의 역할 = 753
      • 원목(院牧)의 역할 = 753
      • 전도자로서의 원목 = 753
      • 상담자로서의 원목 = 756
      • (1) 상담의 정의 = 756
      • (2) 상담의 목표 = 756
      • (3) 상담자의 인격 = 756
      • (4) 상담상의 주의점 = 756
      • (5) 환자이해 = 757
      • 목회행정가로서의 원목 = 757
      • 지역교회의 봉사자 = 757
      • 직원의 신앙 지도자 = 757
      • 군선교(軍宣敎) = 758
      • 군선교운동 = 758
      • 군선교의 정의 = 758
      • 군선교의 중요성 = 758
      • (1) 교회적 중요성 = 758
      • (2) 사회적 중요성 = 758
      • (3) 한국적 중요성 = 758
      • 군선교의 특성 = 759
      • 군선교의 목적 = 759
      • 전군 신자화운동 = 760
      • (1) 시작 = 760
      • (2) 단계 = 760
      • (3) 평가 = 761
      • 군종제도(軍宗制度) = 762
      • 군종제도의 시작 = 762
      • 군종장교의 임무 = 763
      • (1) 목회활동 = 763
      • (2) 전도활동 = 763
      • (3) 군인활동 = 764
      • 군목의 자세 = 764
      • 군선교의 과제 = 765
      • 신학교의 교과과정 = 765
      • 군진신학(軍陣神學)의 필요성 = 765
      • 교회의 지원 = 765
      • 평신도운동 = 766
      • 평신도운동의 역사적 이해 = 768
      • 평신도운동의 본질 = 768
      • 교회갱신운동 = 768
      • 복음전파운동 = 768
      • 사회봉사운동 = 769
      • 평신도운동의 역사 = 769
      • 초기교회시대 = 769
      • (1) 초대교회의 출발 = 769
      • (2) 평신도의 위치 = 770
      • (3) 교회의 안정과 발전 = 770
      • 중세시대 = 770
      • (1) 교회제도의 발전 = 770
      • (2) 수도원운동 = 770
      • 종교개혁시대 = 771
      • (1) 시대적 배경 = 771
      • (2) 평신도의 활동 = 772
      • (3) 루터의 종교개혁 = 772
      • (4) 종교개혁 이후의 평신도 = 772
      • (5) 재세례파 = 773
      • (6) 영국의 개혁운동 = 773
      • (7) 퀘이커파 = 773
      • 근세시대 = 773
      • (1) 시대적 배경 = 773
      • (2) 독일의 경건주의 = 774
      • (3) 영국의 웨슬레 부흥운동 = 774
      • (4) 미국의 대각성운동 = 775
      • (5) 진젠돌프와 모라비아 형제단 = 775
      • (6) 근세선교의 시작 = 775
      • 한국교회 평신도운동 = 775
      • 기독교전래와 평신도의 역할 = 775
      • 천주교의 평신도선교의 의의 = 776
      • 개신교의 평신도운동 = 776
      • (1) 개신교 선교 초기 = 776
      • (2) 1910년대 = 777
      • (3) 1920년대 = 777
      • (4) 1930년대 이후 = 778
      • 평신도운동의 신학적 이해 = 779
      • 평신도의 의미 = 779
      • 성서적 이해 = 779
      • (1) 하나님의 백성 = 779
      • (2) 평신도의 명칭과 기원 = 780
      • 평신도의 의미변화 = 780
      • (1) 역사상 평신도의 의미 = 780
      • (2) 종교개혁으로 인한 근본적 변화 = 781
      • (3) 여자 평신도 = 781
      • 평신도신학의 필요성 = 782
      • 평신도신학의 요구 = 782
      • 평신도신학의 근거 = 782
      • 만인사제론(萬人司祭論) = 784
      • 평신도 신학의 이해 = 784
      • 세계를 위한 교회 = 784
      • 교회의 선교(宣敎) = 785
      • 교회의 봉사(奉仕) = 786
      • 평신도의 참여(參與) = 787
      • 평신도의 직무 = 788
      • 평신도의 위치(位置) = 788
      • 개인의 고백성(告白性) = 788
      • 교회의 구성요소(構成要素) = 788
      • 목회적(牧會的) 사명 = 789
      • 평신도의 사회성(社會性) = 790
      • 평신도(平信徒)의 교회적 역할 = 790
      • 개인적인 훈련(訓練) = 790
      • (1) 기도와 성경공부 = 790
      • (2) 임무에 따른 개별적인 훈련 = 790
      • 교회의 봉사자(奉仕者) = 791
      • 교회갱신(更新)의 주체자 = 792
      • 교육의 실천자(實踐者) = 792
      • (1) 각 기관의 교육담당 = 792
      • (2) 사회에서 전문분야 담당 = 792
      • 평신도의 사회적 역할 = 793
      • 성실한 사회 일군 = 793
      • 지도자적(指導者的) 역할 = 793
      • 평신도운동(平信徒運動)의 실제 = 794
      • 평신도운동의 기구(機構) = 794
      • 평신도훈련의 필요성(必要性) = 794
      • 교회내의 평신도운동기구 = 794
      • 사회 속의 평신도운동기구 = 795
      • 평신도운동의 정책(政策) = 796
      • 목적설정(目的設定)과 조직 = 796
      • 평신도의 훈련계획(訓練計劃) = 796
      • 평신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 = 797
      • 평신도운동기구의 협력관계 = 797
      • 평신도운동의 실태(實態) = 798
      • 과거의 평신도운동 = 798
      • 최근의 평신도운동 = 799
      • 평신도운동의 미래(未來) = 799
      • 교회성장 = 800
      • 교회성장(敎會成長)의 본질(本質) = 802
      • 교회성장운동의 동향(動向) = 802
      • 십자군 전도운동 = 802
      • 삼투전도(渗透傳道) 운동 = 802
      • 십자군전도와 삼투전도 = 803
      • (1) 결신자 사후관리문제 = 803
      • (2) 전도운동의 올바른 목표설정문제 = 803
      • 교회성장운동 = 804
      • 교회성장의 요소(要素) = 805
      • (1) 교회성장의 형태 = 805
      • (2) 교회성장의 요인 = 805
      • 교회의 성장기획(成長企劃) = 806
      • 교회성장의 진단(診斷) = 806
      • (1) 교회성장 진단의 필요성 = 806
      • (2) 정확한 신자 통계 = 806
      • (3) 교인증가지역의 확인 = 807
      • (4) 교회성장유형의 파악 = 808
      • 교회성장의 처방(處方) = 809
      • (1) 교회침체의 원인 = 809
      • (2) 라일 샬러의 대책 = 810
      • (3) 개교회에 알맞는 교회성장전략 개발 = 810
      • 교회성장(敎會成長)의 신학적 이해 = 812
      • 교회성장학 = 812
      • 교회성장학파 = 812
      • 맥가브란의 교회성장이론 = 812
      • (1) 신학적 근거 = 812
      • (2) 균형있는 사회참여 = 813
      • (3) 실제적 교회실태 파악 = 813
      • (4) 수용력있는 시대 = 813
      • (5) 선교의 지상명령 = 813
      • (6) 과학적 연구 = 814
      • (7) 연구결과 발표 = 814
      • (8) 과학적 방법 사용 = 814
      • (9) 전통적 전도개념 = 814
      • (10) 신학교육 개조의 필요성 = 814
      • 교회성장학의 주요원리 = 814
      • (1) 동질집단 원리 = 814
      • (2) 대중운동 원리 = 815
      • (3) 수용성 원리 = 816
      • (4) 사회과학 = 817
      • (5) 토착신학 원리 = 817
      • (6) 기타 전략 = 817
      • 교회성장학의 과제 = 819
      • (1) 성경해석의 과제 = 819
      • (2) 동질집단 원리의 과제 = 819
      • (3) 대중운동의 과제 = 819
      • (4) 성장개념의 과제 = 820
      • 교회성장의 필요조건 = 820
      • 교회성장의 요소 = 820
      • 하나님 뜻의 발견 = 820
      • 전교회적인 관심 = 821
      • 평신도 지도자 = 822
      • (1) 평신도 지도자의 선택 = 822
      • (2) 동기부여 = 823
      • (3) 분명한 목표설정 = 829
      • (4) 현장경험의 교육 = 829
      • (5) 새 신자에 대한 즉각적인 교육 = 829
      • 자원 봉사자 = 830
      • 교회성장의 전략(戰略) = 831
      • 교회성장의 성서적 원리 = 831
      • 교회성장의 필요성 = 831
      • 교회성장의 성서적 원리 발견 = 832
      • (1) 성경의 권위 인정 = 832
      • (2) 잃은 자 = 832
      • (3) 만인을 위한 하나님의 사랑과 관심 = 832
      • (4) 유일한 구원의 길 예수 그리스도 = 832
      • (5) 성령의 인도하심에 대한 순종 = 833
      • (6) 계속적인 기도생활 = 833
      • (7)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 833
      • 하나님의 섭리 인식 = 833
      • 교회성장의 실제 = 834
      • 효율적 전도전략 수립 = 834
      • (1) 반대의견에 대한 설득 = 834
      • (2) 실질적인 교회성장 계획 = 834
      • (3) 지속적인 평가 = 835
      • 교회상황 파악 = 835
      • (1) 그리스도의 몸의 개념 = 835
      • (2) 성장의 저해요인 제거 = 835
      • (3) 그리스도의 몸을 분별하는 훈련 = 836
      • 지역사회의 이해 = 836
      • 전도자훈련 = 837
      • 새로운 관계형성 = 837
      • (1) 새로운 관계의 의미 = 837
      • (2) 성서적 근거 = 837
      • (3) 교회개척을 위한 준비 = 837
      • 교회성장 정책의 실천 = 838
      • 교회성장 촉진과정 = 838
      • 신앙적 성취 = 839
      • 한국교회 성장사(成長史) = 840
      • 한국교회 정착기 = 840
      • 초기의 전도 = 840
      • (1) 개신교의 한국선교 = 840
      • (2) 최초의 교회들 = 840
      • (3) 초기의 선교정책과 방법 = 841
      • 개신교의 정착(定着) = 841
      • (1) 폭발적인 교인증가 = 841
      • (2) 좌절의 시대와 부흥운동 = 842
      • (3) 독자적인 교회의 조직 = 843
      • (4) 한일합방과 한국교회 = 844
      • 삼일운동과 한국교회 = 844
      • (1) 3·1운동과 교회성장 = 844
      • (2) 재조직된 복음전도운동 845
      • (3) 지도자의 빈곤 = 845
      • 압제하의 한국교회 = 845
      • 한국교회 성장기 = 847
      • 광복과 남·북 분열 = 847
      • 한국동란과 교회의 분열 = 847
      • 새 터전 형성 = 848
      • 최근의 한국교회 = 848
      • 한국교회의 성장원리(成長原理) = 850
      • 한국교회의 성장정책 = 850
      • 네비우스 선교방법 = 850
      • 사경회 = 850
      • 순회전도 = 851
      • 의료정책과 교육정책 = 851
      • 한국교회 성장의 미래 = 852
      • (1) 성령운동 = 852
      • (2) 공동체운동 = 852
      • (3) 에큐메니칼 운동 = 852
      • 한국교회의 성장요인 = 852
      • 종교적(宗敎的)요인 = 852
      • (1) 샤머니즘 = 852
      • (2) 부흥운동 = 852
      • (3) 신앙의 정열 = 853
      • 문화적(文化的) 요인 = 853
      • (1) 단일민족성 = 853
      • (2) 성서번역 = 853
      • 신학적(神學的) 요인 = 853
      • 방법적(方法的) 요인 = 854
      • (1) 네비우스의 선교전략 = 854
      • (2) 구역제도 = 855
      • 사회적(社會的) 요인 = 855
      • (1) 사회적 상황 = 855
      • (2) 가족제도 = 855
      • 교회부흥 = 856
      • 교회부흥의 본질과 원리(原理) = 860
      • 교회부흥의 본질(本質) = 860
      • 교회부흥의 의미(意味) = 860
      • 교회부흥의 내용(內容) = 860
      • (1) 수적 부흥 = 860
      • (2) 물질적 부흥 = 861
      • (3) 지역적 확대 = 862
      • 교회부흥의 필요성(必要性) = 863
      • (1) 개척교회 = 863
      • (2) 기성교회 = 863
      • 교회부흥의 원리(原理) = 864
      •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主權的役事) = 864
      • 교회부흥의 요소(要素) = 864
      • (1) 목회자의 바른 사역 = 864
      • (2) 그리스도인의 바른 신앙훈련 = 865
      • 한국교회 부흥운동사 = 868
      • 초기선교시대(1900∼1920년) = 868
      • 시대적 배경 = 868
      • 부흥운동의 시작과 발전 = 868
      • 부흥운동의 성격 = 869
      • 부흥운동의 결과 = 870
      • (1) 정치사회에 끼친 영향 = 871
      • (2) 해외선교에 끼친 영향 = 870
      • (3) 교회부흥에 끼친 영향 = 871
      • 수난시대(1920∼1950년) = 871
      • 시대적 배경 = 871
      • 부흥운동의 성격 = 871
      • 부흥운동의 쇠퇴 = 872
      • 해방 전·후의 부흥운동 = 872
      • 성장시대(1950∼현재까지) = 873
      • 시대적 배경 = 873
      • 부흥운동의 성격 = 874
      • 부흥운동의 결과 = 874
      • (1) 부흥운동의 영향 = 874
      • (2) 부흥운동의 실태 = 875
      • 교회부흥운동의 과제 = 876
      • 교회부흥집회의 의의(意義) = 876
      • 부흥집회의 현황 = 876
      • (1) 부흥회의 성격 = 876
      • (2) 부흥회의 내용 = 877
      • (3) 부흥회의 성과 = 877
      • 부흥집회의 실태 = 878
      • (1) 부정적인 사조의 영향 = 878
      • (2) 부흥강사의 바른 역할 필요 = 879
      • (3) 설교의 바른 태도 필요 = 879
      • 부흥집회의 미래(未來) = 880
      • 부흥집회의 전망 = 880
      • 부흥운동의 과제 = 881
      • 찾아보기 = 8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