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적 고찰을 통한 유아 디지털 놀이의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Walter Benjamin’s media aesthetic reflection of young children’s digital play
저자
강주희 (배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열린유아교육연구(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3(33쪽)
제공처
본 연구는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해 디지털 놀이를 이해하고 벤야민의 매체 미학적 고찰을 토대로 유아 디지털 놀이에 대한 종합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포함과 배제의 기준을 사용해 유아의 직접적 놀이 경험을 다룬 질적 연구물 7건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유아 디지털 놀이 구성요소는 ‘신체, 시간, 확장, 변형, 관계, 주도성’의 6개로 범주화되었고, 놀이 구성요소와 관련된 하위 놀이 현상은 벤야민의 매체 미학적 고찰과 깊은 관련이 있어서 이를 적용해 하위 놀이 현상을 종합해 확장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신체, 주도성’과 관련된 놀이 현상은 벤야민의 제1 기술 및 제2 기술의 작용을 통해서, ‘확장, 변형’과 관련된 놀이 현상은 기술과 매체의 발전에 따른 모방과 유희의 확장이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 있었고, ‘관계, 시간’과 관련된 놀이 현상은 매체와 인간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놀이의 다양한 현상을 종합한 확장적 해석을 거치며 뉴미디어 시대에 디지털 놀이가 갖는 독특한 가치성을 재고해 볼 수 있게 해 준 점에서 연구의 의의와 가치가 있었다.
더보기This study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sights into digital play for young children based on a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Benjamin’s media aesthetic reflections. Seven qualitative studies focusing on young children’s direct play experiences were selected using pre-established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components of digital play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six themes: body, time, extension, transformation, relationship, and agency. The subsequent analysis aimed to apply Benjamin’s media aesthetic reflections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and expand these sub-phenomena of play. As a result, phenomena related to “body” and “agency” in play were understood through Benjamin’s concepts of first and second technologies, while phenomena related to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reflected the expansion of imitation and playfulness because of technological and media advancements. Phenomena related to “relationship” and “time”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interactions between media and huma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considering the unique value of digital play in the era of new media through a comprehensive and expanded interpretation of various digital play phenomen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