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교육철학 이론화의 과제: 실천학으로서의 교육철학에서 ‘이론’의 지위와 그 소용 = The Task of Theorizing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The Status and Use of “Theory” in the Pra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1-235(3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한국의 교육철학연구 60년사를 기리며 미래 교육철학연구의 ‘이론화’의 방향과 성격을 탐색하기 위하여, 지난 60년간 『교육철학연구』에 출간된 논문들을 오늘날 교육철학연구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인 ‘실천적 교육철학하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래 세 가지 단계를 거치며 그 논의가 발전된다. 먼저 시대별 연구 주제와 방법의 성격을 현장에 대한 ‘실천적 관심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여, 교육철학에서 실천을 다루는 두 가지 경향(약한 이론화와 강한 이론화)을 귀납적으로 추출한다. 둘째, 교육철학연구가 교육실천과 맺는 관계나 그 방법적 접근에 대한 전제에서의 차이에 따라, 이 두 경향성을 각각 ‘실천현장-연속성 모델’과 ‘실천현장-비연속성 모델’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모델로 정식화한다. 셋째, 이 이론화 모델을 하나의 분석의 틀로 하여, 지난 60년간 출간된 교육철학 연구물들 중 이론화 작업이 두드러진 연구의 특징 및 한계를 다시 분석하고 평가한다. 이러한 단계적 논의를 통해 연구자들은 미래 한국 교육철학연구의 방향과 지향점을 다음 몇 가지로 제안한다. 첫째, 교육철학연구의 기초적 작업으로서 ‘사상연구’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된다. 둘째, 실천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위한’ 이론화를 통한 교육철학연구의 존재 가치 확보가 중요하다. 셋째, 비연속적 모델의 이론화 출발점으로서 연구자는 ‘자기 전제에 대한 객관화’가 요구된다. 넷째, 실천학으로서 교육철학은 언제나, 즉 연속적 모델의 이론화든 비연속적 모델의 이론화든, 연구자가 발 딛고 서있는 맥락과 교육현실에서 자신의 이론적 전거를 찾고 다시 거기로 되돌아갈 때, 오랜 이론적 과제였던 학문적 식민지성을 비로소 극복할 수 있다.
더보기This paper commemorates the 60-year history of philosophy of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nd explores the direction and character of future theorization in the field. It analyzes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six decades in Philosophy of Educ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currently dominant paradigm of "doing pra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The discussion unfolds in three stages.
First, the authors classify and analyze the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ra according to the nature of “practical concerns with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is analysis, two trends in how practice is addressed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weak theorization and strong theorization—are inductively derived.
Second, based on differing assumptions about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their relationship, the two trends are theoretically formalized into two models: the Practice-Continuity Model and the Practice-Discontinuity Model.
Third, using these theorization models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paper reexamines and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notable theorization-focused studies from the past 60 years.
Through this stepwise discussion, the authors propose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research. First, we should reaffirm the importance of ideological or thought-based studies as foundational work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Second, we should secure the value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theorization about practice and for practice. Third, we should emphasize the need for objectifying one's own assumptions as a starting point for theorization within the discontinuity model. Fourth, we should recognize that as a practical discipline, the philosophy of education must always return to its theoretical foundations within the context of lived educational realities, whether through a continuity or discontinuity model. Only then can it overcome the long-standing theoretical challenge of academic colonialit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