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 諸宗敎藏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Goryeo Jejong Gyoj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2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63(57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교장총록」의 분류체계’ 및 ‘현존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 등을 고찰함으로써 고려 제종교장의 가치와 의의를 導出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종교장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에 입각하여 彫印한 것이기 때문에,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1) 의천은 석가모니가 설한 각 經의 宗旨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經>論>疏>義章>師述>[法]相[之]紬繹 = 天台와 賢首 등의 敎相判釋’의 순서로 ‘공부의 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여, ‘論’부터는 각각 그 상위자료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구체화시켜 나감으로써 마침내 ‘교상판석’에 귀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교장총록 분류체계의 기준은 교상판석에 입각하였음을 증명하였다.
2) 교장총록의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① 小乘의 說(俱舍) → ② 始敎의 宗(唯識) → ③ 終頓의 旨(起信) → ④ 圓融의 門(華嚴)’으로 나아가는 이른바 ‘의천의 교학사상’에 근거한 것임을 파악함으로써, ‘교장총록의 편성에는 일정한 準則이 있음’을 立證하였다.
3) 교장총록 ‘綱’의 분류체계는, ‘의천의 교학사상’에 입각하여 元曉·賢首·天台 등의 여러 敎相判釋에서 나열·제시된 각 佛典名의 逆順으로 종합·응용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조직된 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아울러 入藏目錄을 겸할 수 있는 「신편제종교장총록」을 編成하였으며, 이 목록에 근거하여 諸宗敎藏이 彫印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제종교장의 서지적 분석의 일환으로, ① 제종교장 조조의 시기와 구성 및 전래본, ② 제종교장 현존자료와 관련 기록, ③ 현존 간본에 나타난 교감 작업에 참여한 인물, ④ 제종교장의 형태적 특징 등을 논술하였다. 그 결과 제종교장 彫印의 탁월성 등을 확인하였다.
In this research, ‘a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and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are examined to extract the value and meaning of Jejong Gyojang in the Goryeo Peri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Jejong Gyojang was carved, based on the structure of Sinpyon Jeong Gyojang Chongnok,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綱)’ from Gyojang Chongnok. The result shows that:
1) Uicheon developed step by step ‘a frame of study’ which was in the order of ‘Gyeong(經) >Non(論)>So(疏) >Uijang(義章)>Sasul(師述) 〉 [Bop]sang[ji] jusok([法]相[之]紬繹) = Gyosang Pansok(敎相判釋) of Cheongtae and Hyeonsu’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ach sutra presented by the Buddha, and figured out that from Non each step explained in detail and specified the higher step to reach the step of Gyosang Pansok. Therefore, he proved that the criteria of a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Gyojang Chongnok was based on Gyosang Pansok.
2) It is proved that the whole classification scheme of Gyojang Chongnok is based on ‘the idea of Gyohak(敎學) by Uicheon’ which proceeds ‘① Theory of Sosung (Gusa(俱舍)) → ② Principle of Sigyo (Yuji(唯識)) → ③ Moment of Jongdon (Gisin(起信)) → ④ Awakening of Wonyung (Hwaom(華嚴))’.
3) A classification scheme of ‘Gang’ from Gyojang Chongnok is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Gyohak by Uicheon’ and th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of sutras presented by Wonhyo(元曉), Hyeonsu, and Cheongtae in the reversed order of their titles. The Sinpyeon Jejong Gyojang Chongnok was compiled as a bibliography of acquisitions, and became the base of carving Jejong Gyojang.
Second, as a part of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existing Jejong Gyojang, ① the period and structure of carving Jejong Gyojang and its editions, ② the existing editions of Jejong Gyojang and the related records, ③ people who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existing editions, and ④ the physical features of Jejong Gyojang are discussed. The results confirm the excellence of carving and printing in the Jejong Gyojang.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9-06-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
2019-06-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7 | 0.937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