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헤겔과 다마지오의 동물의 정동에 대한 해석의 차이 =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animal affects by Hegel and Damasio
저자
최일규 ((사)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5-224(30쪽)
제공처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elucidate the difference of animal affects by Hegel and Damasio. To achieve this aim, this article compare Damasio’s biologistic interpretation on Spinoza and Hegel’s concept of life and embodied mind. Animal affects by Damasio are emotions and feelings that arise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the body and the brain.
Emotions are the unconscious neural responses to this interactions, and feelings are the conscious perception of the changes in the body’s physiological state caused by stimuli.
Damasio’s theory of the embodied mind argues that the mind can know through what the body can do. This paper will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Damasio’s biologistic view and Hegel’s idealistic view of animal affects.
This paper will argue that Hegel may cirtainly accept Damasio’s theory of the embodied mind. But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Damasio’s theory of the embodied mind mis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ind that reveal itself in corporeality.
이 글은 스피노자에 대한 다마지오의 생물학적 해석을 헤겔의동물 유기체에 대한 서술과 비교하며 헤겔에게서 동물의 주체성과 정동의 기원 및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정동 개념은 인간에게 고유한 능력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비인간적이고 하부 영토적인 정동에 대한 탐구는 인간의 동물성에 대한 탐구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헤겔의 정동 개념의 자연적 토대를 현대적 정동이론에 대한 연구 맥락으로 소환해서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동물의 정동에 관해 다마지오는 신체화된 마음 이론을 주장한다. 신체의 자동적 항상성 활동 없이 마음(느낌, 의식, 자아)도 없다는 것이다. 자동적 항상성조절은 대사조절, 기본반사, 면역반응과 같은 단순한 항상성 조절에서부터 통증 및 쾌락 행동과 충동 및 동기의 단계를 거쳐협의의 정서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는 일직선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단계에 단순한 것이 포개 넣어지는 방식으로전개된다고 주장한다. 정동은 느낌으로 변화되는 아이디어들의세계이며 마음의 내용들은 정동과 함께 경험된다. 헤겔은 종의진화에 관한 이론을 알지 못했고 자신의 생명에 관한 논의에도적용할 수 없었지만, 다마지오의 신경생물학적 실험 결과와 생물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단계 발전론에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다마지오의 코나투스(항상성)에 대한 이해와 달리 헤겔은 동물의 코나투스가 식물의 코나투스와 다른 이유를 주체성의 차이에서 찾고 있다. 헤겔에게 동물의 주체성은 관념적(혼, 마음)이며 개체화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자기감정을 갖는다. 동물의구체적 보편성이 정동의 토대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