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중간 무역분쟁과 상호 의존관계 변화 분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46(20쪽)
제공처
본 논문은 2017년 이후 심화되고 있는 미중간 무역분쟁이 양국간 상호 의존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은 두고 있다. 분석대상은 미중간 수출입 규모가 큰 8개 산업이며, 분석시점은 미중간 무역분쟁 전후에 해당하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은 국제산업연관모형의 레온티에프역행렬 승수분해를 도입하여 추계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중간 무역분쟁은 미국의 대중국 의존도 감소를 야기한 반면, 중국의 대미국 의존도 상승을 유발하였다. 특히 미중간 무역마찰이 본격화된 2018년 이후 중국의 대미국 의존도는 크게 상승하면서 미국 산업의 생산을 크게 유발하는 구조적 특징이 관찰되었다. 이는 향후 미중간 무역불균형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2017년 이후 미중간 무역마찰과 이로 인한 경쟁과 대립이 전개되지 않았더라면 미국의 대중국 의존도는 더욱 높아져 지금의 양국간 상호 의존관계는 더욱 강화되어 상대국의 생산을 더 크게 유발하는 산업 및 무역 연관구조가 심화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how the intensifying US-China trade dispute since 2017 has changed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analysis targets eight industries with large exports and import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analysis period is set from 2010 to 2022, before and after the US-China trade dispute. The empirical analysis was estimated by introducing the Leontief inverse matrix multiplier decomposition of the international industrial input-output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US-China trade dispute has caused a decrease in the US’s dependence on China, while it has caused an increase in China’s dependence on the US. In particular, since 2018, when the US-China trade friction intensified, China’s dependence on the U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greatly induces the production of US industries. This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ture US-China trade imbalance. In addition, if the US-China trade friction and the resulting competition and confrontation had not occurred since 2017, the US’s dependence on China would have increased further, and the current interdepend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ould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deepening the industrial and trade linkage structure that induces greater production in the other country.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