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온라인 공연에 관한 국내 학술분야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102(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활성화된 온라인 공연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로 인해 오프라인 공연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 공연이 주요 대안으로 부상하였고, 이에 따 라 관련 연구도 급증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2년부터 2024년 7월까지 발표된 9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공연 연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라인 공연 활성화와 관객 분석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으로 사례 연구가 전체의 43%를 차지 한 반면, 양적연구와 현장 조사 기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향후 다양한 연구 방법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연 구 대상은 다양한 예술 장르를 포함하며, 특히 대중음악에서는 K-POP 관련 연구가 두드러졌다. 양적연구에서는 온 라인 공연의 선택 요인으로 콘텐츠의 질, 접근성, 시스템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온라인 공연이 관객의 예술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이 오프라인 공연의 대체재나 보완재 또는 촉매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연구 방법론의 도입과 이론적 토대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online performances that gained momentum in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s offline performances became difficult due to the pandemic, online performances emerged as a primary alternative, leading to a rapid increase in related studie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alyzing 99 papers published between 2012 and July 2024.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on online performances spans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law, business, and culture and arts. Notably, interest in the activation of online performances and audience analysis has intensifi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Case studies accounted for 43% of all research methods, whereas quantitative research and field-based studies were relatively scarce, highlighting the need for diverse research approaches that reflect audience and market demands. Research subjects covered a range of artistic genres, with studies on K-pop dominating in popular music. Quantitative studies revealed that key factors influencing audience choices for online performances include content quality, accessibility, and system st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performances can enhance audiences' artistic experience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dopting diverse research methods and conducting in-depth analyses to establish online performances as substitutes or complements to offline performances. Additionally, it calls for theoretical research to secure the artistic status of online performanc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