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표준어와 방언의 간섭 현상으로 인한 산청 방언 문법 현상 변화 연구 = The Study of the Sancheong Dialect Grammatical Form Change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Sancheong Dialect
저자
류성기 (진주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9-324(36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Language changes continually. Dialect also changes because dialect is language. There was a linguistic rupture because of traffic inconvenience in the past. So dialects was different each other very much. But in the modern traffic was convenience, mass media was developed. And school education progressed very much. So by the standard language listening, reading, writing, speaking learning made the use of dialect reduce.
The Kyungnam Sancheong people don't use dialect as the past. The use of the Sancheong dialect grammatical form is also reduced very much. And some are used none. Pronoun ‘nae, ni, meo’, future tense ‘-geot-’, causative suffix ‘-a-’, adverb ‘silkeon, mai, hanggeoseok, bodosi’ etcs are used over the 50% by old people. Some other grammatical forms are used 10-30%, the other grammatical forms are not used by old people. But the reduction is serious in the early teens. Pronoun ‘ni, chi, meo’, adverb ‘mai, gaeni, degi’ etcs are used over the 50% by early teens. And some dialects are used by 10% bellow. But most of the dialects are not used.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방언도 언어이기 때문에 변화한다. 교통이 불편한 과거에는 지리적 이유로 언어적 단절이 생겼다. 그래서 각 지역의 언어가 많이 달랐다. 그러나 현대에는 교통이 발달하고, 텔레비전 등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표준어를 사용한 언어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이 발달하여 학교에서 표준어를 사용한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표준어의 습득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방언의 사용을 급격하게 줄였다.
경남 산청 사람들도 방언 문법 형태의 사용이 급격하게 줄었다. ‘내, 니’ 등의 대명사, ‘-걷-’ 미래 시제 형태, ‘실컨, 마이, 항거석, 보도시’ 등의 부사 등등이 6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50% 이상 쓰이고, 다른 문법 형태들은 10-30% 정도 쓰이거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10대 초반 어린이들에게서는 더욱 심하다. ‘니, 지, 머’ 등의 대명사, ‘마이, 개니, 데기’ 등의 부사가 50%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문법 형태들은 조금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대신 방언 형태 대신에 표준어 형태가 우세하게 사용되고 있다.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산청 사람들의 의식은 이들에 대한 의식 없이 언어생활을 하고 있는데, 가급적 표준어로도 말할 수 있으면 좋겠고, 때에 따라서 방언을 사용하여 말하고 싶어 한다. 이러한 의식은 10대 초반에서 강하고, 60대 이상에서는 방언에 대한 애착이 강하다. 그래서 60대 후반 이상과 10대 초반의 방언 사용량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82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