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보험사고와 인과관계가 없는 고지의무 위반에 대한 계약해지권 행사의 적정성에 관한 판례연구 : 대법원 2010. 7. 22. 선고 2010다25353 판결 = A case study about whether the insurers have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unless there is an connection between the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and the los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01-526(26쪽)
제공처
소장기관
상법에서 고지의무를 둔 이유는 본래 보험계약 청약자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는 위험에 관하여 동일한 정보를 보험자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보험자는 위험의 성질에 관하여 올바른 평가를 내릴 수 있게 되고, 불량위험을 배제함으로써 도덕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지의무를 위반한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에 대해서 상법은 보험자의 계약해지권 인정과 보험금의 지급책임을 면제하고 있는데, 문제는 고지의무를 위반한 사실과 보험사고의 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을 경우에도 보험자에게 계약해지권이 인정되느냐의 다툼이다.
이는 상법 제655조의 단서 조항에는 단순히 “고지의무에 위반한 사실이 보험사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음이 증명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규정하고 있어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학설과 판례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의 의미를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해 왔고,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 결정은 비록 인과관계가 없더라도 보험자는 계약 해지를 할 수 있다고 결정해 오고 있어서 통일적인 법해석 기준이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 대상 판결에서 고지의무에 위반한 보험계약은 위반 사실과 사고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고 하더라도 보험자는 해당 보험금을 지급한 후에는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판결하면서 그 구체적인 사유에 대해 고지의무 제도의 취지와 관련법 조문들과의 관련성을 들어 명확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하겠다.
다만 아쉬운 점은 기존의 대법원 선례와 다른 판단을 하려면, 전원합의체에 의함이 바른 처리방법이었을 것인데도, 본건 판결은 대법원 부(部)판결로 선례에 저촉되는 판단을 한 사례라 할 것이고, 이러한 태도는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Commercial Act, Article 651(Termination of contract due to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is defined as “if, at the time of making the insurance contract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by fraud or gross negligence, fails to disclose or not to misrepresent material facts, the insurer may terminate the contract within one month after it knew the non-disclosure or misrepresentation or within three years after the contract was made.” Also, according to Article 655(Termination of contract and Right to demand Insured amount), is defined as “…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when it was provid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insured events was not affected by the non-disclosure or misrepresentation or by a substantial alteration or increase of the risks insured.”
Generally a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may take the form of ‘misrepresentation’ which may be either innocent or fraudulent and ‘non-disclosure’ which may be innocent or fraudulent(sometimes called concealment). In each case, and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fraud or not, the insurers have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ab initio’(from the beginning). The effect is that the contract is cancelled retrospectively so that the insurers are not liable for any claims arising between the making of the contract and the time when it is avoided.
Therefore, the right to avoid the contract does not depend upon there being any connection between the non-disclosure(or misrepresent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loss. If insurers discover an actionable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they can avoid the contract at any time, that is question.
According to this Supreme Court case, the insurers may terminate an insurance policy for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unless there is an connection between the breach and the loss.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was no connection at all between the non-disclosure of past medical history and the loss, the insurers would have the right to terminate the policy. this is because it is the relevance of a particular fact to the risk as a whole which is the issue, not its relevance to the circumstances of any particular claim. Also in principle, the issue of breach of 'duty of disclosure' usually arises when there is a dispute about a claim under the policy. the insurers do not have to wait for a claim to happen before doing so.
In conclusion, I strongly support this Supreme Court case, because the judgement made it clear the implication and extent under the Commercial Act, Article 655.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