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고 펩티드 분자의 나노초 분자 동력학 모의 실험 = Nanosecon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an Oligopeptide
저자
元永道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발행기관
漢陽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The Research Institute for Natural Sciences Hanyang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Korean
KDC
40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5-315(11쪽)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 들어 고성능 전산 기기의 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있으나, 슈퍼 컴퓨터를 이용하더라도 용액상 분자 계를 수 백 피코초 이상 모의 실험 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이제까지 실행된 가장 긴 분자 동력학 궤적은 Brooks등이 한 변이 29Å인 물분자 상자에서 올리고 펩티드 YPGDV의 접힘과 풀림 과정을 2.2 ns 동안 모의 실험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용매를 효과적인 유전 매질로 처리하여 풀림 모의 실험을 되풀이하였다. 이 과정에서 물분자를 직접 도입했을 때 얻은 동력학 궤적을 재현할 수 있도록 매질의 유전 상수와 모의 실험 방식을 개발하였다. 무리 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모의 실험에서 생성된 나노초 궤적을 분류하였다. 결과로 얻어진 모의 실험 기법은 수백 개의 원자로 구성된 비교적 커다란 분자 계의 밀리초 모의 실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Even though computing power increases rapidly nowadays,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an event in solution phase is limited to hundreds of picoseconds. The longest simulation of biomolecular events is the 2.2 ns folding and unfolding dynamics of the pentapeptide YPGDV in a 29 Å cubic water box by Brooks et al. The current research repeats the unfolding dynamics simulation with treating solvent waters by an effective dielectric continuum. The most epresentative dielectric medium(the effective dielectric constant and the simulation protocol) is established by qualitatively reproducing the trajectory obtained with the explicit water solvent. A clustering method is employed to analyze very“long” trajectories. The newly established molecular dynamics protocol with the effective dielectric medium makes it feasible to run millisecond dynamics trajectories of larger systems with hundreds of atom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