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6세기 퇴계학파의 서당 경영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9-169(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18세기 그려진 김홍도의 풍속화 속 이미지처럼 일반적으로 서당은 훈장에 의한 초등교육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훈장이 어린아이들을 가르치는 동몽서당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조선후기 서당은 이보다 다양한 존재 양상을 보인다. 이황이 계상서당과 도산서당을 건립하여 강학한 이래로 16세기 안동 지역에서는 그의 서당관에 영향을 받은 서당이 건립되었다. 퇴계학파는 기본적으로 세속으로부터 떨어져 조용하고 풍광 좋은 곳에 서당을 세워 藏修講學處로 활용하였다. 관직 생활을 한 이황ㆍ김성일ㆍ류성룡은 모두 조정에서 물러나 강학처로 서당을 활용하였는데, 이황과 김성일이 문인에게 학문을 전수하는 공간으로 서당을 활용한 반면, 류성룡은 자신의 수양을 주요 목적으로 서당을 건립하였다. 이에 따라 김성일은 석문정사와 옥병서재를, 류성룡은 원지정사와 옥연서당을 경영하였다. 한편, 조목은 기존의 가숙서당인 월천서당을 확장하여 문인들에게 학문의 기본을 다지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도학형 서당을 경영하였으나, 각자의 상황과 학문적 성향 및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서당을 경영하였다.
더보기Like the image in Kim Hongdo s paintings drawn in the 18th century, the Seodang is generally known as an elementary education space. It was not that there was not a Dongmong Seodang(童蒙書堂) which teacher teaches young children.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dang showed various forms of existence.
In the 16th century Andong(安東) area, the Seodang, which was influenced by Yi Hwang(李滉) s aspect of Seodang, was erected since he built the Gyesang Seodong(溪上書堂) and Dosan Seodang(陶山書堂). The Toegye school basically settled in a quiet and scenic place, away from the world, and used it as space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Yi Hwang, Kim Seongil(金誠一), and Ryu Seongryong(柳成龍), who had been in office, withdrew from the mediation and used the Seodang as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By the way, while Yi Hwang and Kim Seongil used the Seodang as a place to teach their disciples, Ryu Seongryong built the Seodang as the main purpose of his discipline. Accordingly, Kim Seongil erected the Seokmun Jeongsa(石門精舍) and the Okbyeong Seojae(玉屛書齋),
and Ryu Seongryong ran the Wonji Jeongsa(遠志精舍) and the Okyeon Seodang(玉淵書堂). On the other hand, Jo Mok(趙穆) expanded the Wolcheon Seodang(月川書堂), which was the traditional Jo s family school, and used it as a space for students to learn the basics of their studies.
They basically managed the Seodang for self-discipline and education. However, they managed to ru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academic tendency and personal preferen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