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Learner ‘Local Experience’ in Local University Innov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83-803(2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본 연구는 지역 대학 및 지역 혁신과 관련하여 진행되어온 기존 논의가 혁신의 궁극적인 주체인 ‘지역 학습자’와 이들의 ‘지역 경험’에 대해 간과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현재 진행되는 지역 대학 혁신 논의에 있어 학습자의 ‘지역 경험’이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지역 대학 혁신 사업이 지닌 교육적 기획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기존 논의에 있어 간과해 온 근본적인 문제인 지역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시도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 대학을 둘러싼 최근 환경변화 및 이슈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지역 대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정책적 접근에 있어 간과해 온 지역 대학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토대로 비교적 모범적으로 학습자의 ‘지역 경험’을 고려하여 대학 혁신을 이루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 검토를 통해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초점을 두어 지역 학습자, 지역 대학, 지역사회 공동체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결과 논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기반한 지역 대학 혁신의 방향과 관련하여 1) 지역 학습자가 지역에서 정주하면서 지역의 유⋅무형 자산을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언, 2) 다양한 주체의 호혜적 관계 형성에 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에 대한 총체적 경험을 활용하기 위한 제언, 3) 학습자의 지역 경험이 지역사회에서 실질적인 필요가 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결론 지역 대학 혁신과 관련한 정책이 여러 기관과의 상생 구도 속에서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행정적, 정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던 지역 대학 혁신 정책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문제제기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Objectives This study critically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regional universities and regional innovations have overlooked the ultimate subject of innovation, ‘local learners’ and their ‘local experiences’, and points out that the current ongoing local university innovation It was done to argue that the learner's ‘local exper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iscussion.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local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 as an educational plan, this study attemp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ocal experience’ of local learners, a fundamental problem that had been overlooked in previous discussion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and issues surrounding local universities, and attempts a conceptual examination of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at local universities,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has been overlooked in existing policy approaches to local universities. In addition, based on this series of discussions, by present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are achieving university innovation by considering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as a relatively exemplary model, focusing on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local learners, local universities, and the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practical contribution to development. Results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regional university innovation based on the learners' local experiences. The proposed directions include: 1) Suggestions for enabling local learners to settle in the region and meaningfully utiliz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f the region. 2)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holistic experience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the formation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stakeholders. 3) Suggestions for transforming learners' local experiences into practical needs within the local community. Conclusions In order for policies related to local university innovation to be implemented in an educationally desirable direction in a win-wi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local experience’ of local university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raise a new problem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for the regional university innovation policy, which has been carried out from an existing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point of view.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