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 “Humanistic Turn” of Big History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88(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근대 역사학은 과학의 한 분과로 정립될 목적으로 연구 범위를 문자 사료가 남아 있는 과거로 한정했다. 그러다 보니 역사학이 연구하는 과거의 범위는 5,000년을 넘지 못한다. 이에 반해 과학은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은 물론 빅뱅으로까지 소급해서 과거에 대한 지식을 확장했다. 역사학이 축소지향형으로 연구의 대상을 좁혔던 반면, 과학은 확대지향형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이런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인류의 과거를 가장 큰 범위로 넓혀서 역사를 탐구할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 빅 히스토리다.
빅 히스토리는 인문학과 과학의 ‘두 문화’를 통합하는 윌슨이 말하는 ‘통섭’을 대표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크리스천이 창시한 모든 것의 기원을 탐구하는 빅 히스토리는 ‘인간 없는 역사’로 서술되기 때문에 재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성찰이 빈곤하다. 이런 기원론적 빅 히스토리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 주는 대안적 모델이 유발 하라리가 썼던 종말론적 빅 히스토리다.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새로운 임계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런 인류 역사의 전환점에서 두 유형의 빅 히스토리를 종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양으로서 빅 히스토리와 ‘초역사’로서 빅 히스토리를 제안한다.
Modern historical science has limited the research scope to the past in which the literal records are available,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branch of science. So, the scope of history research is not more than 5,000 years. Science, on the contrary, has expanded its scope of knowledge beyond the birth of Homo sapiens to the Big Bang. While history has narrowed the scope of research with a reduction-oriented approach, science has followed a expansion-oriented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is paradox, the big History has aimed to explore history by expanding the past of mankind to the greatest extent based on the knowledge of science.
Big History represents Wilson"s “consilience” that integrates the "two cultures" of humanities and science. But the big History of David Christian, which focuses on the origins of everything is described as "a history without human beings." It is not fun to read his big history, furthermore, its humanistic reflection is poor. The eschatological big story written by Yuval Harari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model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origin-oriented big history. In the age of AI, mankind stands at the crossroads of “to be or not to be”. At this critical stage, we need a new model that can synthesize two types of big histories. This paper suggests a big history as general education and a big history as ‘trans-history’.
근대 역사학은 과학의 한 분과로 정립될 목적으로 연구 범위를 문자 사료가 남아 있는 과거로 한정했다. 그러다 보니 역사학이 연구하는 과거의 범위는 5,000년을 넘지 못한다. 이에 반해 과학은 호모 사피엔스의 탄생은 물론 빅뱅으로까지 소급해서 과거에 대한 지식을 확장했다. 역사학이 축소지향형으로 연구의 대상을 좁혔던 반면, 과학은 확대지향형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이런 역설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의 지식을 기반으로 인류의 과거를 가장 큰 범위로 넓혀서 역사를 탐구할 목적으로 등장한 것이 빅 히스토리다.
빅 히스토리는 인문학과 과학의 ‘두 문화’를 통합하는 윌슨이 말하는 ‘통섭’을 대표한다. 하지만 데이비드 크리스천이 창시한 모든 것의 기원을 탐구하는 빅 히스토리는 ‘인간 없는 역사’로 서술되기 때문에 재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성찰이 빈곤하다. 이런 기원론적 빅 히스토리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 주는 대안적 모델이 유발 하라리가 썼던 종말론적 빅 히스토리다.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새로운 임계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런 인류 역사의 전환점에서 두 유형의 빅 히스토리를 종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양으로서 빅 히스토리와 ‘초역사’로서 빅 히스토리를 제안한다.
Modern historical science has limited the research scope to the past in which the literal records are available,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branch of science. So, the scope of history research is not more than 5,000 years. Science, on the contrary, has expanded its scope of knowledge beyond the birth of Homo sapiens to the Big Bang. While history has narrowed the scope of research with a reduction-oriented approach, science has followed a expansion-oriented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is paradox, the big History has aimed to explore history by expanding the past of mankind to the greatest extent based on the knowledge of science.
Big History represents Wilson"s “consilience” that integrates the "two cultures" of humanities and science. But the big History of David Christian, which focuses on the origins of everything is described as "a history without human beings." It is not fun to read his big history, furthermore, its humanistic reflection is poor. The eschatological big story written by Yuval Harari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model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origin-oriented big history. In the age of AI, mankind stands at the crossroads of “to be or not to be”. At this critical stage, we need a new model that can synthesize two types of big histories. This paper suggests a big history as general education and a big history as ‘trans-histor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