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병호 가야금병창 <토끼화상>, <배타령> 고찰 = Kim Byung-ho's Gayageum Byeongchang < Tokkihwasang > and < Baetaryeong > Considere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1-399(3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김병호(1910~1968)는 음악의 여러 분야에 다재다능했던 전라남도 영암 출신의 가야금 산조 명인이다. 유년 시절 김창조에게 가야금산조를 배워 스승의 산조를 바탕으로 구성한 김병호류 가야금산조가 지금도 자주 연주되고 있으며, 그가 남긴 아쟁산조 역시 복원되어 연주,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김병호가 1930년대 남긴 유성기 음반의 절반 이상이 가야금병창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김병호의 가야금병창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어 그 실체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연구자는 1937년 유성기 음반으로 발매된 김병호의 가야금병창 <토끼화상>과 <배타령>을 채보하여 고찰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성기 음반 Okeh1996 B면에 남도잡가라고 소개된 <배타령>의 장르는 가야금병창이며 ‘가자 어서가’로 시작하는 수궁가의 <소지노화> 대목이다. 1937년 발매된 유성기 음반 6장 중 4장이 가야금병창 음반으로 김병호가 남긴 유성기 음반의 약 67%가 가야금병창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김병호의 가야금병창 <토끼화상>의 아니리는 이야기 중심의 서사적 내용을 담고 있는 보편적인 아니리와는 달리 자신이 부를 소리가 어떤 대목인지를 소개하고, 어떻게 부르고 연주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설명하는 장치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당시 다른 가야금병창 연주자가 남긴 유성기 음반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아니리의 형태를 갖춘 김병호만의 독특한 접근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김병호의 가야금병창 <토끼화상>과 <배타령>은 간주가 빈번하게 연주되었다. 연주 형태는 노래 한 장단+간주 한 장단, 노래 두 장단+간주 두 장단, 노래 1/2장단+간주 1/2장단인데, 간주는 대부분 노래를 그대로 가야금으로 옮겨 연주하는 형태이다. <토끼화상>의 간주 비율은 전체 장단의 약 38%이고, <배타령>은 약 26%이다. 이렇듯 김병호의 가야금병창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간주는 김병호의 뛰어난 가야금 연주 실력을 선보일 수 있는 수단이 되었을 것이다.
현재까지 김병호는 주로 가야금산조의 명인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가야금병창에도 뛰어난 연주력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김병호의 가야금병창에서 확인할 수 있는 아니리의 보다 자유로운 운용 방식과 간주를 활용한 가야금 연주는 앞으로 가야금병창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에 대한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고 고민하게 한다. 아직은 미진한 김병호의 가야금병창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Kim Byung-ho(1910-1968), a master of Gayageum Sanjo from Yeongam, Jeollanam-do, exhibited remarkable versatility across diverse musical domains. Having studied Gayageum Sanjo under Kim Chang-jo during his youth, Kim Byung-ho developed compositions that were deeply rooted in his mentor’s stylistic traditions. These compositions remain widely performed today, and his contributions to Ajaeng Sanjo have been revived, performed, and extensively analyzed. Despite these achievements, over half of the phonograph recordings left by Kim in the 1930s feature Gayageum Byungchang, yet little is known about these pieces, and their true essence remains shrouded in ambiguity.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examines two of Kim’s Gayageum Byungchang pieces, “Tokkihwasang” and “Baetaryeong,” released in the 1937 phonograph recordings, through the following analytical framework:
First, the piece titled “Baetaryeong,” listed as a Namdo Jabga on the B-side of the phonograph album Okeh1996, is identified as a Gayageum Byeongchang performance. This work begins with an excerpt from the Sugungga song “Sojinohwa,” initiated by the line, “Let’s go.” Four of the six phonograph recording albums released in 1937 feature Gayageum Byeongchang,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67% of Kim Byung-ho’s phonograph recordings, which underscores the prominence of this genre in his repertoire.
Second, unlike the conventional narrative-driven aniri typically found in Gayageum Byeongchang, Kim Byung-ho’s use of aniri in “Tokkihwasang” serves a distinctive purpose. Rather than advancing a storyline, Kim’s aniri functions as a tool for introducing and contextualizing the musical techniques he intends to employ. This innovative approach to aniri sets his recordings apart from those of his contemporaries, highlighting his unique interpretative style.
Third, Kim Byung-ho frequently integrated interludes into his Gayageum Byeongchang performances, particularly in “Tokkihwasang” and “Baetaryeong.” These performances followed various structural combinations, such as one song paired with one rhythm from the interlude, two songs paired with two interludes, or even fractional pairings. The majority of interludes were adaptations of vocal melodies transcribed for the Gayageum. Notably, “Tokkihwasang” comprises approximately 38% of the total pieces, while “Baetaryeong” accounts for about 26%. This significant emphasis on interlude within his repertoire suggests that it was a medium through which Kim demonstrated his exceptional technical mastery of the Gayageum.
Historically, Kim Byung-ho has been celebrated primarily as a virtuoso of Gayageum Sanjo. However, this study reveals his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Gayageum Byeongchang tradition. In particular, his innovative use of aniri and the prominent role of interludes in his work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creative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evolution of Gayageum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continued research will further illuminate Kim Byung-ho’s profound legacy within the field of Gayageum music.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