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품목별 생산조직 활동의 변화와 지역농협의 과제 = 전남 나주 세지멜론작목회 활동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1-102(32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의 목적은 영농조직의 한 형태로서 작목반 활동의 성격이 지역농업 재편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농협이 작목반 육성을 통해 농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사례조사를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사례조직인 전남 나주시 서지면의 멜론작목회가 지역의 대표적인 영농조직으로 점착하는 과정을 시기별로 개관하였으며, 공동선별-공동출하-공동계산이라는 작목반 협동활동의 기본성격이 골격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 사례조사를 통하여 필자는 현대농업에서 생산자간 협동활동은 대부분 생산과정의 조직화에 의한 생산력 발전보다는 유통과정, 즉 생산물 및 요소시장에 대한 공동대응활동을 통한 가격실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지역농협은 지역의 다양한 협동양식의 조정·관리자로서 이 유통과정의 협동을 생산과정의 조직화로 연결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을 잠정적 결론으로 제시한다.
더보기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debates on the "Organization of Regional Agriculture"(ORA) as an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rural development plans. The key concepts of ORA might be founded in its endogenous and de-centralized strategies that induce various cooperation activities of small farmers based on the community level consensus on the optimal use of regional resources, ultimately overcoming the backwardness of rural sectors. Jakmokban, the farming organization supported by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ACs) seems to be a good resource that promotes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ORA. First of all, jakmokban is the small-scale village level organization of farmers cultivating same crops, so that degrees of solidarity and consistency in the group activities are relatively high: additionally, through vertical cooperation with the regional ACs, jakmokban will have an enough potential to cope with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After all, seen from the this case study as well as other preceding ones, the activities of jakmokban have many problems to be solved to promote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ORA. First, in spite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jakmokban ought to be in the "organization of small farmers" aiming at overcoming the limit of peasant economy, in many actual cases its activities seem to be circumscribed within the "organizatio of coop members" managed for the AC`s internal businesses. So the functions of jakmokban are mainly inclined to such a limited activity as a transactional partnership with the AC`s businesses or as a passive adaptation mode to the commercial capital. Second, it must be pointed that many of the cooperation activities of jakmokban are limited within the market situations related to agricultural inputs or farm products, so being rarely founded out the cooper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process in the community level including "joint farming", "cooperative farming" and TQM. It is true that class differentiation in rural sectors raised heterogeneity of farmers, so that traditional concepts of cooperation in farming are being diminished. But if we consider ORA to be a community level development strategy, the ACs, as the institutional agencies of that strategy, should transform the activities of jakmokban to the level of cooperation, which optimally utilize regional rsources on the community base. Finally, upon the recent processes that various hybrid patterns of farmer`s cooperation, including jakmokban, are emerging in rural communities, it can not be excluded the possibilities that these processes unintentionally raise unnecessary conflicts and competitions among them, hindering the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ORA. The typical cases are founded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ACs, as the coop, enterprises, and large-scale farmer companies that, occasionally developed from jakmokban, manage various businesses similar to the ACs. Consequently, to develop rural communities by the paradigm of ORA, it is prerequisite that various types of farmer`s cooperation are coordinated through the upper-level strategic alliances and regulation mode in the community level. Moreover, seen from the the context that raison de`tre of ACs could be founded in their roles as the institutional agencies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any of these tasks are allocated to the AC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