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도시근교농업의 복합산업화와 공간 활용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70(34쪽)
제공처
소장기관
도시근교농업은 지가상승과 도시계획에 의한 개발수요의 증대, IMF, WTO 농산물재협상과 같은 농업외적 요인으로 인해 농업생산 기능만을 더 이상 고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제 이러한 농업생산 기능뿐만 아니라 `농촌`이라는 공간적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도농통합형 지역의 도시농업을 유지해 나가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도시근교농업이 갖고 있는 원래의 1차 산업적 의미인 `생산` 개념과 함께 `농촌`이라는 공간적 개념을 중시하되 2·3차 산업의 개념을 도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내용을 여기서는 `도시농업`이라고 정의하고 이의 활성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러한 `도시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으로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도시농업의 큰 물 속에서, 현존의 생산중심 농업을 어떻게 유지해 나가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는 농업도 유지하면서 농촌을 유지시켜 나가는 것이 바로 농업을 살리는 것이라는 인식 하에서 도시통합형 농촌의 공간적 개념에서 이를 어떻게 활성화하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두 번째 방법을 중심으로 도시통합형 농촌의 공간적 개념에서 이를 활성화하는 농업의 복합산업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의 구체적 내용의 하나가 `도시농업마을`의 조성이다. 이 `도시농업마을`은 `농촌`이라는 공간적 개념에서 접근하여 도심권에서 가까운 광역도시 내의 근교농업지역을 그대로 이용함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도시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농업을 유지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제 농업 그 자체만을 발전시켜 나가자는 시각에서 벗어나 농민들이 살고 있고 도시민들이 오고 갈 수 있는 `농촌`이라는 공간적 개념을 중요시하여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도시농업 속에서 농촌이 살아나면 농업도 유지될 것이라는 인식전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더보기The circumstance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suburb have been made worse than ever before due to the non- agricultural factors such as IMF-controlled economic policies, gradual increases of land demands by city-development plans, and of land prices that are currently tend to be fallen down though. So it is far more necessary to retain suburban agriculture in the areas that show the mixtures of rural and urban attributes simultaneously, making use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of both `the func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spatial utilization of suburban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is mainly to clarify the concept of suburban agriculture as a mixed industry in the areas, considering the basic concept of `agricultural production as the primary industry` and `spatial utilization as a rural village` to be focused at the same time. For vitalizing suburban agriculture fundamentally, above all the things, we have to turn away the sole idea of developing farming even 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keep up the present status of farming level.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ways of vitalization of suburban agriculture with the spatial concept of the suburban village that common urbanities are accessible to use easily. Conclusively, this have tried to show the conversion of following cognition that everything will get on well to retain the agriculture sectors, only if a farm village survive steadily in the suburban area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