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종족 (宗族) 집단의 형성과 변동 = 충청남도 당진군의 한 종족마을의 사례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1-292(32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은 한국 종족 집단의 형성과 그 역사적 변화의 과정을 한 종족 마을(桃李里)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종족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하나의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종족은 전통사회의 중층적인 부계친족집단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종족은 양반문화의 전통을 만들고 이를 유지하는 토대였고, 전통사회 사람들의 사회적 신원(身元)의 주된 근거였다. 종족의 형성과 발전은 종족마을의 형성·발전과 표리의 관계를 갖는다. 또 종족 성원들의 결속은 문중으로 조직됨으로써 강화된다. 문중은 제사를 위한 물질적 토대를 마련하고 종족내 질서를 확립하며, 종족을 통합하는 정치적 기능도 갖는다. 그러나 그것은 제사와 그 속에 구현된 유교적 의례를 실천하는 범위에 제한된 것이었다. 따라서 종족은 경제적·정치적 단체로서의 성격이 매우 약하다. 이 점이 일본의 도조쿠(同族)나 중국의 쭝쭈(宗族)와 다른 중요한 차이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종족은 무엇보다 사회적·문화적 단체로서의 의미가 강했고, 그것이 추구하고 실현한 것도 물리력에 기초한 지배가 아니라 명예과 평판에 기초한 지배였던 것이다. 종족이 갖는 이러한 특징은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의 종족에 계승되고 있다. 물론 종족이 존립할 수 있는 환경은 크게 바뀌었고, 종족의식도 많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종족은 제사 관행의 지속과 문중의 대외적 활동을 통해 전통을 지키고 나아가 이를 재창조하려고 하기도 한다. 종족적 아이덴티티와 선조의 업적에 대한 과시는 돈(경제력)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사회적 명예 표현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점이 종족 집단이 선조(특히 派祖)의 현창 사업에 몰두하는 이유가 된다.
더보기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Chongjok(宗族 lineage group) in Korea, through the case study of a Chongjok village, Dori-ri(桃李里), and proceeds to present a theoretical explanantion of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Chongjok group. The Chongjok has played the key role among the multilateral partrilineal kin groups in traditional Korea, Chongjok was the base which formulated and sustained the tradition of Yangban(兩班) culture and the main basis of social identity of people in traditional societ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ongjok ha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ose of Chongjok village. And the solidarity of Chongjok members has been strengthened with their being organized to Munjung(門中). The Munjung, which is the organizational repesentation of Chongjok, prepared material basis for ancester worship, established the hierarchical order among Chongjok members, and had the political functions to integrate them. But those were mainly confined to performing sacrificial rites(察祀) and practicing Confucian rituals embodied in them. Therefore the traits of Chongjok as economic and political organizations were very weak, which was main point of difference comparing with Tozoku(同族) of Japan and Zongtsu(宗族) of China. The Chongjok in Korea, first of all, entailed the traits of social and cultural organizations, and purported to realize the hegemonic domination by honor and reputations, not by physical power. Such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ongjok has been succeeded to today`s Chongjok in spite of many changes. Of course, the social environment which Chongjok was based on has greatly been changed and Chongjok consciousness has been weakened too. But Chongjok members try to preserve and reinvent their traditions by way of the continuation of sacrificial rites and facilitating external activities. They believe that showing off Chongjok`s identity and ancester`s achievements will be the important bases enhancing the social honor of their own, not acquired only by money. This is the reason why Chongjok group are hung up the appraisal of their ancesters (especially their founding father).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